• 제목/요약/키워드: Sensibility Factor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21초

의류소재의 구조적 특성이 감각특성 및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abric Structural Characteristics on the Image and Sensibilities)

  • 이윤숙;신정원;안미영;김은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1408-141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shion trends of last three years and how the trends were imaged b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s. The characteristics for 897 fabrics were analyzed from four kinds. eleven volumes of fashion trend magazines. From these magazines, three panels categorized by their frequencies as nine images such as natural, innocent, ethnic, childish, casual, classic, modern and technical, Sub-images of each image such as rustic, irregular, decorative, etc were also categorized. For the each image, fiber content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weave type, weight, density, yarn size, twist and fabric finishe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frequency, range and mean, Results showed that chiffon and organza seemed to have very specific images and used to represent specifically the romantic or ethnic images; whereas voile and jersey was used to represent various images. For S/S seasons, most popular fiber type was cotton. The weave type was not the important factor to give variations in images; plan weave exclusively used irrespective of image. For the romantic, ethnic and innocent images, rather light fabrics were used. For the childish and natural, medium weights, and for the technical, modern and classic images heavy weight fabrics were used. Vaious finishes were employed to represent specific images.

  • PDF

무용의상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창작무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Dance Costume Design -Based on Korean Creative Dance-)

  • 윤여정;이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3_4호
    • /
    • pp.310-32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larif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dance costume design and analyse stage effect based upon the formative factors. Classified design element of dance costumes by line, silhouette, color, material, lighting, and also this based on content analysis method about each formative factor of costumes that showed 10 dance performances which practically be performed and made. And individually interviewed the professional dance composers and dancers who participated in the performances fer objectivity and specialty of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ance costume contains and harmoniously expresses theme of a dance work, formative characteristic of fashion design, movement and character of the dancers, lighting effect. 2. Korean creative dance costume is effectively expressed with formative factors of traditional costumes and modem sensibility and symbolic expression of image-centered. 3. Costume line is affected by dancer's movement and it's possible to be different effect that the atmosphere or stage effect by the original form of line and the expression method. 4. Costume color is effective to inform that dancer's character and image of a dance work. 5. Costume material is most important to consider that the dancers and the atmosphere and the image of a dance work. 6. Lighting effect can inform various feel of dancer's dance.

브랜드 이미지 강화의 한 요인으로써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제품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roduct development with the storytelling technique as one factor of brand image reinforcement)

  • 경준혁;김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18-23
    • /
    • 2008
  • 과거의 전통적인 마케팅 방법론들과 그 이론을 믿어온 기업의 경영자들은 소비자의 사고 과정을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행위라고 규정하였다. 하지만 최근 발표되는 다양한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소비자의 사고 과정은 무의식적 영역에서 감성에 의해 일어나는 행위에 가깝다. 이러한 소비자의 사고 과정은 제품을 구매하는 과정, 즉 소비자의 구매 결정 과정에도 영향을 미친다. 소비지는 제품 구매 시, 가격, 성능, 품질 등의 다양한 이성적 기준에 의해 제품을 판단하지만 결국 구매는 제품에 대한 좋고 나쁨의 감성적 기준에 의해 결정된다. 브랜드 이미지는 소비자의 무의식적 영역에서 형성된 브랜드에 대한 심상으로 감성적 가치를 갖으며 소비자의 제품 구매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긍정적인 감성의 결합을 통한 제품 개발은 감성적인 제품 이미지의 구축으로 연결되는 제품의 판매와 브랜드 이미지 강화의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브랜드 이미지 강화의 한 요인으로써 효율적이고 감성적인 의사 전달 방식인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제품 개발 프로세스의 제안을 목표로 하여 내용을 구성하였다.

  • PDF

남성 정장용 양모 직무의 질감 이미지와 선호도 분석 (Texture Image and Preference of Men's Wool/Wool blend Suit Fabrics)

  • 배현주;김은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318-132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men's suit fabrics on the texture image and the preference,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and the practical sales ratio. In addition, the texture images and the preference of fabric and jackets made of the same fabrics were compared. As specimen, jackets for men's suit of 2002' S/S and their fabrics were collected. Questionnaires composed of 22 sensibility related and 21 fabric image related adjectives were developed. For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texture image, both jackets and fabric samples were tested. Tests were performed with 100 female subjects in clothing department and apparel industry. For the objective evaluati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fiber contents, yarn twist, fabric count, thickness and weight were analyzed. Total Hand Value were calculated from mechanical properties determined by the KES-FB system. Factor analysis showed sensibilities were classified into 6 categories; "surface roughness", "weight", "density", "stiffness", "elasticity" and "wetness". Fabric images wer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classic", "original", "practical", and "stuffy". Depending on the method to show the specimen to the subjects, whether it is suit or fabric,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a number of adjectives for sensibilities and fabric images. The results of THV of KES did not agree with the preference of subjects, which suggests that we should be careful when using the KES system, which was developed for Japanese people. Price was considered to be another factor besides the texture image that influenced on purchase.

백화점 소비자의 의복쇼핑 성향과 점포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and Store Choice Criteria on Department stores Consumers)

  • 차인숙;이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84-29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n Department stores consumers and to compare consumer characteristics among shopper types and department store types. For this purpose an ethnographic approach which is a kind of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first. And th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00 female consumers over twenties and residing in Pusan Finally 499 data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1. The results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study were as follows :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those who patronize department stores were recreational/convenience shoppers. From quantitative analysis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were factor analyzed. which resulted in eight factors ; Recreational Shopping Convenience Shopping. Sensibility Seeking Well-Known Brand Preference Fashion Seeking Economic Shopping Sel-confidence in clothing shopping Convenient store shopping. 2. The results of store choice criteria study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concentrative observation eight store choice criteria dimensions were categorized : Service Store Atmosphere Promotion/Facilities Product Convenience Advertisement VMD Traffic/Location Convenience. From quantitative analysis eight store choice criteria factors emerged; Service Store Atmosphere Promotion/Facilities Assortment Shopping Convenience Advertisement VMD Traffic/Location Convenience. 3. According to the factor scores of recreational shopping and Convenience shopping consumers were segmented into four shopper types ; High Shopping-involved Shopper Recreational Shopper Convenience Shopper and Low Shopping-involved Shopper. Department types were divided into a large enterprise department stores and local department stores. Consumer characteristics such as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store choice criteria purchase behavior variables and demographic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hopper types and department store typ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and tore choice criteria.

  • PDF

시선이동에 따른 실내공간의 시지각 특성에 관한 연구 - 주시(注視)시간에 따른 디자인 요소의 주시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perty of visual perception of interior space according to eye movement - Based on the observation properly according to observation time of the design element -)

  • 김종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35-42
    • /
    • 2009
  • In this study, the author aims to examine that the image for specific space coming through vision is to reveal how people perceive the space through vision and whether the perceived space includes the role as the catalyst that causes the following activities. It is believed that the fact which elements are remembered as the whole expression as well as the memorized images that humans have regarding the space should act as the important factor in terms of space perception.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1)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observation time that were obtained from the examinee, it was possible to classify the property of observation with S areas. Besides, it was possible to the meanings that the design elements have in each area. The establishment of the areas are considered as the important factor to examine which design elements have drawn the attention. 2) In case of I area which showed the most design factors that would lead examinee's vision or have interests in the examinee views, it showed that it stared the lower parts from the middle of the Image spatially, which was the most stable position from the image with strong tendency for staring at this area. 3) The most frequently stared area was the lower part of the middle, however, while the I area gazed the right side of the middle, II area faced the left side more so that it was revealed that it stared at the lower part of the middle and right side, then, moved to left. 4) Despite the frequent observation, some areas had very low or few observation data records and the area which was designed with monotonous color with relatively large size was also involved here so that it was identified that the simply treated area in design was rarely gazed.

흡연 부스 디자인의 선호도 조사 연구 (A Study on Preference of Smoking Booth Design)

  • 양근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83-192
    • /
    • 2017
  • 본 연구는 흡연자와 비흡연자 모두를 위해 담배 연기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는 흡연 부스를 디자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흡연부스에 대한 의식조사, 둘째 제품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조사, 셋째 감성어휘에 의한 흡연부스 감성평가 조사를 하였다. 흡연부스에 대한 의식조사결과, 대부분 모든 사람들이 터미널, 역에 흡연부스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디자인 선호도에 조사결과로 첫째, 외부 흡연자를 위한 디자인부스는 딱딱하고 투박한 이미지 보다는 멀리서도 알기 쉽고 거부감이 들지 않는 형태의 디자인으로 제작되어져야 한다. 둘째, 원색 계열의 색상보다는 화이트와 파스텔 톤의 난색계열 및 밝은 색상을 적용하여 디자인한다. 셋째, 흡연부스이므로 내부 순환 필터 문제가 잘 관리 될 수 있도록 한다. 감성어휘에 의한 감성평가결과 자극물에 대하여 4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인지하고 있었다. 각 인자의 함축 언어로 1인자에 대한 대표 이미지 언어는 '기능적 감정' 2인자의 대표 이미지 언어는 '심리적감정' 3인자의 대표 이미지 언어는 '색상감정' 4인자의 대표 이미지 언어는 '형태감정'으로 정의하였다. 흡연자와 비 흡연자 양쪽 모두를 위해 담배연기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어야 하며 혼자만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디자인이 필요하다.

Backster ZCT를 사용한 폴리그라프 검사절차의 일반화가능도: 관련 질문의 개수, 반복측정 횟수, 채점자의 수에 따른 신뢰도의 변화 (Generalizability of Polygraph Test Procedures using Backster ZCT: Changes in reliability as a function of the number of relevant questions, the number of repeated tests, and the number of raters)

  • 엄진섭;한유화;지형기;박광배
    • 감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553-56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이용하여 폴리그라프 검사에 사용된 관련 질문의 개수와 반복측정 횟수 (차트의 수), 채점자 수가 폴리그라프 검사의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검찰청에서 형사피의자를 대상으로 Backster ZCT를 사용한 폴리그라프 검사자료 중 31명의 폴리그라프 검사자료를 표본추출하였으며, 31명의 검사자료를 13명의 채점자가 수치적 채점방법을 이용하여 채점한 점수에 대하여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피검사자의 변량성분이 43.97%로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잔여오차변량성분이 16.84%, 피검사자와 반복측정 횟수의 상호작용오차변량성분이 12.17%, 피검사자와 반복측정 횟수, 관련 질문 개수의 삼원상호작용오차변량성분이 10.31%였으며, 나머지 변량성분은 모두 7% 미만이었다. 관련 질문의 개수와 반복측정 횟수, 채점자의 수에 따른 일반화가능도 계수를 산출한 결과, 바람직한 일반화가능도 계수인 0.80 이상을 보이는 조건은 관련 질문 2개 이상과 반복측정 3회 이상, 채점자 2명 이상의 조합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넥타이 문양디자인 선호 (Preference of Neck-tie Pattern Designs according to Male Consumers' Fashion Life Style)

  • 송하영;고영림;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489-500
    • /
    • 2008
  • 본 연구는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넥타이 문양디자인 선호도와 구매 의도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유형은 '유행 지향', '보수 전통지향', '과시적 브랜드 지향', '개성 지향', '실용 지향', '패션 무관심' 형으로 분류되었다. 각각의 패션 라이프스타일 요인들을 군집 분석하여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집단을 '개성 추구', '실용 & 브랜드 추구', '보수 전통 & 개성 추구', '유행 추구', '패션 무관심'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넥타이 문양 선호와 구매 의사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 지향'형은 '무지단색', '원', '페이즐리'의 넥타이 문양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꽃' 문양은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 전통지향', '과시적 브랜드지향', '실용 지향'형은 '줄', '체크'의 넥타이 문양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유행 지향', '과시적 브랜드지향', '개성 지향'형은 '무지단색', '꽃', '동물'의 넥타이 문양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 지향'형은 '무지단색', '꽃', '동물'의 넥타이 문양에 대한 구매 의사가 있는 반면, '실용 지향'형은 '원' 문양에 대한 구매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지향'형은 '원' 문양에 대한 선호 및 구매 의사가 동시에 있었고, '유행 지향'형 역시 '무지단색', '꽃', '동물' 문양에 대한 선호 및 구매 의사가 동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수 전통지향' 및 '과시적 브랜드 지향'형이 '줄', '체크' 문양에 대한 선호가 높았으나, 구매 의사는 '페이즐리' 문양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선호하는 넥타이 문양과 구매하고자 하는 문양 간에 차이를 보였다.

  • PDF

스마트 폰 잠금 해제 과정에서의 감성적 UX 요소가 전반적 기기 사용 경험과 향후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 Emotional Factor on User Experience with Smartphone Unlocking Process)

  • 이선화;신영수;임채린;백한나;이성호;김진우
    • 감성과학
    • /
    • 제17권4호
    • /
    • pp.79-88
    • /
    • 2014
  • 스마트폰의 발전에 따라, 오늘날의 현대인들은 인터넷 뱅킹이나 결제, 금융, 상거래에 이르기까지 생활의 많은 업무들을 스마트폰을 통해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스마트폰의 유실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 문제가 대두되면서, 사용자들의 불안감 또한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최근에는 스마트 기기의 잠금장치와 관련한 다양한 보안 시스템 및 기술들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잠금장치와 같은 보안기능들은 역설적이게도 사용자들에게 잠금 해제 과정에서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제공하게 된다. 이는 곧 사용자의 편리한 사용이라는 가치와 기기 내 저장 정보 자체의 안전한 유지라는 가치 사이의 상반 관계를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연구에서는 잠금 해제 과정에서의 안전함과 편리성 사이의 상반 관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자기은폐성'이라는 개념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에 기반을 둔 실험을 통하여, 스마트폰 사용 경험과 향후 사용의도에 대한 측정도 시도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자기은폐성이 적용된 보안기능은 스마트폰 사용 경험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향후 스마트폰 사용 의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스마트 기기의 잠금 해제 과정에서 보다 최적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