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ior Employment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5초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Policy Suggestions for Senior Employment Promotion Programs for Improving Life Quality for the Elderly)

  • 박경순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9권4호
    • /
    • pp.1-17
    • /
    • 2015
  • This study is aimed to discover the deciding factors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The dependent variable used in this study was the quality of elderly persons. Personal and familial characteristics, and the community involvement of the elderly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encouraging the elderly to participate in a senior employment promotion program was previous experience of senior employment programs. Second, health condition, residence in city areas, experience of volunteer work, and knowledge of senior employment program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men and women. However, living arrangements had an effect solely on elderly men, and home ownership and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had effects solely on elderly women. Third, the life quality of the elderly was affected differently by sex. Health condition had the greatest effect on male elderly persons, whereas, the effective variable, the composition of the family had the most effect on female elderly persons. Thus, active campaigns through various mass media and information sessions are needed to promote participation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according to the above mentioned deciding factors. In particular infrastructure providing the elderly with more volunteer work opportunity needs to be built for baby boomer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In addition, diversified senior employment programs are needed. Because the elderly living in city areas are more willing to participate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specialized programs suitable for the elderly in city areas are needed. The government should also prepare programs that help the elderly stay healthy while they are working.

노인일자리사업 연구경향 분석 (An analysis of Trends in Senior Employment Project Research)

  • 김대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97-20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일자리사업을 주제로 하는 학술 연구의 경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술검색 엔진을 활용한 키워드 검색으로 연구 결과를 수집하여 총 133개 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분석자료의 내용을 비교 검토하는 기술적 연구방법(descriptive study)의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을 활용하여 각 연구의 출처,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연구 대상 등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일자리사업을 연구 주제로 한 학술연구에서 사업 참여노인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사업의 효과를 확인하는 양적 연구가 지금까지 가장 주도적인 연구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노인의 노동이나 사회적 역할 등을 노인일자리사업과 연결하여 이해하려는 철학적 윤리적 검토가 연구로 나타난 경우는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연구 경향에 기반하여 노인일자리사업 내 다양한 참여 주체들뿐만 아니라 사업 참여 노인까지도 연구의 주된 관심사에서 제외된 상황을 비판하고 후속 연구에서는 이 같은 경향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시니어클럽의 현황 및 정책과제: 노인일자리사업을 중심으로 (Current Status and Policy Issues of Senior Clubs: With Focus on Senior Employment Programs)

  • 원영희
    • 한국노년학
    • /
    • 제32권2호
    • /
    • pp.525-54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니어클럽의 현황 전반에 대해 살펴보고, 노인일자리사업을 중심으로 시니어 클럽의 정책과제를 모색함에 있다. 시니어클럽의 현황에서 법적 근거, 조직, 사업 유형, 재원, 사업 성과, 그리고 운영상 어려움(낮은 수익 산출, 높은 노동 강도와 저임금, 부족한 예산 지원, 사업수행의 법적 근거 미약)에 대해 살펴 보았다. 향후 시니어클럽의 정책과제로 1) 시니어클럽의 역할 정립(지역노인일자리사업의 거점, 지역특성에 적합한 시장형 노인일자리사업 수행 주체, 노인인식 증진 및 노인역량 강화를 통한 지역사회 변화의 구심체), 2) 노인일자리의 질적 향상(욕구반영 및 지속 가능한 노인일자리 창출, 노인일자리사업 교육의 내실화, 실무자의 근무여건 향상, 민·관 지원연계 및 파트너십 구축), 3) 노인일자리사업 관련 법 제·개정 등을 제시하였다.

노인일자리 참여 유형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of Participation in the Senior Employment and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gainst Depression-)

  • 박명옥;문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29-637
    • /
    • 2019
  • 본 연구 목적은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노인 일자리 참여 유형이 우울감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규명하고,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노인 일자리 참여와 우울감은 정(+)적인 영향이, 우울감은 삶의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 공익형 일자리 참여 횟수가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게, 민간형 일자리 참여시간이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익형 일자리에서는 매개변수인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로 향하는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고 매개효과도 없었다. 그러나 민간형 일자리에서는 우울감이 매개변수인 삶의 만족도로 향하는 경로가 유의하여 유의미한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노년기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노인의 일자리에 대한 민간형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안을 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 등이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농촌노인의 일자리사업 참여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of Rural Elderly People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Satisfaction Level and Needs)

  • 하경분;주민경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4호
    • /
    • pp.1149-117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농촌노인들의 일자리사업 참여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도를 살펴봄으로써 농촌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노인들은 노인일자리사업 중에 공익형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었으며, 환경개선사업 활동을 가장 많이 하고 있었고, 생계비 마련을 위해 가장 많이 참여하였다. 둘째, 노인일자사업 중에는 소속기관 실무자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급여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셋째, 농촌노인들은 노인일자리사업 교육에 있어 가장 우선적으로 노인의 차이와 다양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강화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으며,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교통문제로 인해 가장 많은 어려움을 느꼈다. 이런 결과를 볼 때, 농촌노인들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보다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공과 교통편의 제공을 통해 참된 자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시니어계층의 취업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연구 (Study on the Policy Directives for Activation of a Senior Employment)

  • 권기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24-136
    • /
    • 2014
  • 본 연구는 세계에서 유례없이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우리의 현 상황 속에서, 시니어계층의 삶의 질 확보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시니어계층 취업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국, 영국, 일본의 법적, 제도적 측면의 정책을 조사하였고, 이를 근거로 시니어계층의 취업활성화와 관련한 기존 정책의 문제점을 법규적 측면, 정책 프로그램적 측면, 사회적 환경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법규적 측면에서는 정년 나이 제한, 권고조항의 강화, 법규제정 주체의 일원화, 정책 프로그램적 측면에서는 목표설정의 방향조정, 교육프로그램의 운영기간 및 다양화 측면, 운영프로그램간의 네트워크화, 65세 이상으로 교육 대상의 확대, 사회적 환경측면에서는 민간차원에서의 적극적 정책시행 및 시니어계층을 대하는 인식의 변화와 관련한 홍보정책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으며, 그에 대한 대책을 제안하였다.

노인일자리의 고용유사성이 참여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Employment Continuity on Life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 최혜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1호
    • /
    • pp.247-270
    • /
    • 2013
  • 본 연구는 은퇴 전 고용과 노인일자리의 고용유사성이 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했다. 연속이론과 유사모델에 근거해 고용유사성이 첫째,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둘째, 직무만족과 자아효능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분석하고자 했다. 비례층화표집을 통해 추출한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 700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고용유사성 가운데 직종유사성만이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여유사성과 표현된 유사성은 자아효능감을 매개로 참여노인의 우울은 낮추고 삶의 만족도는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 유용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29-13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참여노인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임파워먼트 및 노인의 생활만족도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임파워먼트는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임파워먼트가 높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일자리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둘째, 새로운 사회적지지망 형성과 자원 개발 연결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들의 일자리 욕구에 부합되는 맞춤식 일자리 제공과 같은 임파워먼트 접근이 필요하다.

전공의 적성진로부합도와 취업전망도가 졸업태도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학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Major Aptitude and Career Fit, and Employment Prospects on Graduation Attitude and Dropout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Year)

  • 김재경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4호
    • /
    • pp.21-32
    • /
    • 2021
  •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undergraduate students' dropout intentions consisted of aptitude and career fit of student's major, employement prospects of student's major, and graduation attitude were presented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year on the path coefficeint presented in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Undergraduate students are grouped into senior year (3rd and 4th grades) and junior year(1st and 2nd year) by the year in the university, As a result of analyzing 454 undergraduate students (105 in the junior group and 349 in the senior group), it was found that graduation attitude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dropout intention in both junior and senior group. The effect of employment prospects, and major aptitude and career firt on graduation attitude was not found in the junior group. However, in senior group, the effect of employment prospects, and major aptitude and career firt on graduation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indicating that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year does exist.

전남 동부도시 노인복지관의 공간적 특성 (The Space Characteristics of Senior Welfare Centers in Eastern Cities of Jeonnam Province)

  • 정금호;김준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27-34
    • /
    • 2021
  • The senior welfare centers should provide integrated welfare services to the elderly whose needs are in change. So this paper tried to find a direction for improvement by identifying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centers which are in Yeosu, Suncheon and Gwangyang. Classification of spaces of senior welfare center followed the guidelines 2020 for senior welfare center fro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hich are consultation, medical rehabilitation, day or short-term protection, social education, home welfare, employment, welfare and public relations and PR planning and by adding management and public space. The above factors are inves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analysis of seven senior welfare center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urvey,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senior welfare centers surveyed showed that the larger the size is, the dominantly lager the social education space is. Second, the space for day or short-term care, and employment is less than 1% of the total area, and most senior welfare centers do not have a basic space for this. Third, the space related to home welfare and counseling is very small, and more than half of the senior welfare centers do not have space related to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