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reliance safety system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자가용전기설비의 사용전 자율검사제도 도입추진방안 (Research on Pre-service Inspection on Electrical Installations for Private Use based on Self-reliance)

  • 김한영;류기현;황민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설비
    • /
    • pp.112-114
    • /
    • 2005
  • It is obvious that electrical safety cannot be secured soley by the efforts from public sector including government. With the global trend of deregulation as WTO/TBT agreement comes into effect, foreign countries strive to minimize unnecessary and inefficient regulations in every field by sharing responsibilities with the privae sector to secure international competency in trade. To this same end, in this paper 2 level approach plan is suggested to pave the way to the self-security system in electrical field by introducing self-reliance safety system by stage for pre-service inspection on the electrical installations for private use based on product requirements in terms of performance.

  • PDF

실업자 보호정책의 개편 방향: 실업급여와 연금 통합을 중심으로 (Toward A New Scheme for Unemployment Protection - UI Benefit vs. Self-insurance Through Borrowings -)

  • 윤정열
    • 노동경제논집
    • /
    • 제27권1호
    • /
    • pp.77-105
    • /
    • 2004
  • 본고는 저축을 통한 자가보험이나 실업급여가 현실적으로 제한되어 있는 상황에서 실직자에게 실업급여뿐 아니라 미래 연금을 담보로 한 대출을 허용하는 새로운 실업자 보호 제도를 제시하고 그 실증적 효과성을 패널자료에 의해 분석하고 있다. 이 제도는 실직자들이 미래 소득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효과적 자가보험을 갖도록 함으로써 실업급여에 비해 구직유인을 유지하게 할 뿐 아니라 소비 균등화 및 실직위험 부담 완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한다. 본고는 경제활동인구조사에 근거한 1998~2002년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하였고 그 결과 기존 실업급여제도 하에서 보조를 받고 있는 저학력 계층도 실업급여보다는 연금담보 대출을 더 선호한다는 사실을 보고하고 있다. 이 결과는 연금담보 대출의 소비 균등화 및 구직유인 강화에 의한 후생증대 효과가 매우 강력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제한적인 효과밖에 갖지 못하는 기존 실업급여제도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실직자 보호정책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A Study on Distributed Self-Reliance Wireless Sensing Mechanism for Supporting Data Transmission ove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 Caytiles, Ronnie D.;Park, Byungj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3호
    • /
    • pp.32-38
    • /
    • 2020
  • The deployment of geographically distributed wireless sensors has greatly elevated the capability of monitoring structural health in social-overhead capital (SOC) public infrastructures. This paper deals with the utilization of a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DMM) approach for the deployment of wireless sensing devices in a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SHM). Then, a wireless sensing mechanism utilizing low-energy adaptive clustering hierarchy (LEACH)-based clustering algorithm for smart sensors has been analyzed to support the seamless data transmission of structural health information which is essentially important to guarantee public safety. The clustering of smart sensors will be able to provide real-time monitoring of structural health and a filtering algorithm to boost the transmission of critical information over heterogeneous wireless and mobile networks.

석탄화력발전소 보일러 연료제어 알고리즘과 분산제어시스템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Boiler Fuel Control Algorithm and Distributed Control System for Coal-Fired Power Plant)

  • 임건표;이흥호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2권1호
    • /
    • pp.36-44
    • /
    • 2013
  • This paper is written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oiler fuel control algorithm and distributed control system of coal-fired power plant by the steps of design, coding, simulation test, site installation and site commissioning test. Fuel control algorithm has the upper algorithm and it is boiler master control algorithm that controls the fuel, feed water, air by generation output demand. Generation output demand by power load influences fuel control. Because fuel can not be supplied fast to the furnace of boiler, fuel control algorithm was designed adequately to control the steam temperature and to prevent the explosion of boiler. This control algorithms were coded to the control programs of distributed control systems which were developed domestically for the first time. Simulator for coal-fired power plant was used in the test step. After all of distributed control systems were connected to the simulator, the tests of the actual power plant were performed successfully. The reliability was obtained enough to be installed at the actual power plant and all of distributed control systems had been installed at power plant and all signals were connected mutually. Tests for reliability and safety of plant operation were completed successfully and power plant is being operated commercially. It is expected that the project result will contribute to the safe operation of domestic new and retrofit power plants, the self-reliance of coal-fired power plant control technique and overseas business for power plant.

석탄화력발전소 보일러 노내압력 제어알고리즘과 분산제어시스템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Boiler Furnace Pressure Control Algorithm and Distributed Control System for Coal-Fired Power Plant)

  • 임건표;허광범;박두용;이흥호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2권3호
    • /
    • pp.117-126
    • /
    • 2013
  • This paper is written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oiler furnace pressure control algorithm and distributed control system of coal-fired power plant by the steps of design, coding, simulation test, site installation and site commissioning test. The control algorithms were designed in the shape of cascade control for two parts of furnace pressure control and induced draft fan pitch blade by standard function blocks. This control algorithms were coded to the control programs of distributed control systems. The simulator for coal-fired power plant was used in the test step and automatic control, sequence control and emergency stop tests were performed successfully like the tests of the actual power plant. The reliability was obtained enough to be installed at the actual power plant and all of distributed control systems had been installed at power plant and all signals were connected mutually. Tests for reliability and safety of plant operation were completed successfully and power plant is being operated commercially. It is expected that the project result will contribute to the safe operation of domestic new and retrofit power plants, the self-reliance of coal-fired power plant control technique and overseas business for power plant.

고등학교 「식품안전과 건강」 워크북 개발 및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Food Safety and Health' Workbook for High School)

  • 박미정;정난희;유난숙;최성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9-80
    • /
    • 2022
  • 본 연구는 「식품안전과 건강」과목의 수업과 평가를 지원할 수 있는 워크북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워크북 개발은 「식품안전과 건강」교육과정과 식생활 교육자료, 워크북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워크북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영역별 활동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전체 구성을 설계하였다. 이후 초안을 개발하고 3차에 걸쳐서 교차 검토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검토와 수정을 반복하여 편집본을 개발하였고, 9인의 전문가와 44인의 가정과교사들에게 타당도 검증을 받아 수정·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워크북을 완성하였다. 워크북은 4개 영역으로 '식품선택' 영역의 학습 주제 10개 36차시, '식중독과 식품 관리' 영역의 학습 주제 10개 36차시, '식품의 조리' 영역의 학습 주제 11개 43차시, '건강한 식사' 영역의 학습 주제 11개 55차시로 총 42개 학습 주제 170차시로 구성하였다. 워크북은 실천적 문제해결 역량, 생활자립 역량, 창의적사고 역량, 공동체 역량을 고루 배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문제를 인식하고 실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발견학습을 통해 학습과제를 수행하고, 실험한 내용에 대해 심화 탐구학습을 진행하며, 평가를 통해 자가진단을 할 수 있도록 맥락적으로 구성하였다. 워크북의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학생 참여형 수업과 평가를 운영하고, 실험·실습을 강화하여 탐구하는 수업 분위기를 형성하는데 매우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시행과 개별 학생의 학습 선택권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가정계열 선택과목의 외연을 확장하고, 탐구 중심으로 학생이 주도하는 교실 수업을 구현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생태전환교육 도입을 위한 가정과 교과서의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 (Analysis of Eco-Citizenship Contents Elements in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the Introduction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 조성미;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0
    • /
    • 2023
  • 이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생태전환교육 도입을 위해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에서 활용하고 있는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의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현직 중학교 가정과 교사 6인에게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S-CVI 값이 0.97로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의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가정과 교과서에서 추출한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242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영역에 따른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는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 가장 많았고, '자원 관리와 자립' 영역,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태시민성 요소의 범주에 따라서는 가치⋅태도, 과정⋅기능, 지식⋅이해 범주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과서 구성 체계별로는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가 그림, 본문, 활동, 보충 자료의 순으로 추출되었고, 출판사에 따라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의 수가 차이가 크게 나타나 교과서 집필진의 인식이나 해석, 집필 방향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교과의 생태전환 교육 도입을 위한 생태시민성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생태전환교육이라는 교육과정의 새로운 지향점에 부합하는 생태시민성 교육을 가정교과에서 실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밝히는 동시에 가정교과에서의 생태시민성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