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4초

학습전략 게임 활용 학습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효과 분석 (Effects of Learning Strategy Game-Based Instruction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 김나영;김성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6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2호
    • /
    • pp.175-178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학습전략 게임 활용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습전략 게임 활용 학습이 학습자의 학습전략 수준에 따라 자기조절학습능력 신장에 주는 효과성을 검증하여 효과적인 게임 활용 학습 환경 설계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서 103명의 초등학생에게 학습전략의 수준을 측정하고 4주간 10차시에 걸쳐 학습전략 게임 활용학습을 실시한 후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전략 게임 활용 학습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인지조절, 동기조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습전략 게임 활용 학습은 학습전략 수준별 상, 중, 하 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향상 차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중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PDF

코로나19 상황에서 성인간호학 비대면 혼합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복합적 요인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on Non-face-to-face mixed clas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박슭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401-41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실시간 원격수업과 비실시간 원격수업을 함께 적용한 성인간호학 비대면 혼합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융합적인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A시에 소재한 간호학과 재학생 109명을 대상으로, 2021년 12월 15일부터 12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x2 tes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은 3.41±0.61점, 자기조절학습능력은 3.69±0.66점, 학습만족도는 3.98±0.61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만족도는 학습몰입(r=.416, p<.001), 자기조절학습능력(r=.752,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전공만족도 순으로 나타났으며(F=39.20, p<.001), 모형의 설명력은 60.6%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높이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교육 환경 변화의 요구를 고려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협동기술을 적용한 구성주의적 수업의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Constructivist Instruction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Skill)

  • 황희숙;김주안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224-24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nstructivist instruction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skill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science inquiry ability, self-regulated learning, and science related attitud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57 2nd grad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Pusan.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Two groups received 14 sessions training for about 1 month which was done by researcher. The experiment group received constructivist science instruction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teacher-centered instruction. Constructivist science instruction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skill consists of five phases: problem recognition, hypothesis establishment, experiment observation, clarification, and application ph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nstructivist science instruction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skil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self-regulated learning and science attitude impro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but had no significant improvement of science inquiry ability. And constructivist science instruction had an effect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improvement of the students having high level science inquiry ability. Research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are discussed.

  • PDF

부모의 사교육비 및 감독.애정, 자녀의 학습가치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의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expenses, parents' monitoring.affection, their children's learning valu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on middle-school boys's and girls' academic achievement)

  • 임양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13-131
    • /
    • 2014
  • 본 연구는 남녀 중학생의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에 대한 부모의 사교육비 및 감독 애정, 자녀의 학습가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에 참여한 중학교 3학년 자료를 활용하여 수집되었으며, 현재 우리나라 사교육 참여율이 가장 높은 과목이 수학과 영어라는 현실을 고려하여 수학과 영어과목의 사교육 경험이 있는 중학생 1,123명과 그 부모가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조사도구는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 월평균 사교육비, 부모의 감독 애정, 중학교 자녀의 학습가치, 중학교 자녀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자기기입식 설문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성별과 상관없이 부모의 월평균 사교육비 수준과 부모의 감독수준이 높을수록, 중학생이 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는 정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남녀 중학생 모두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으로 제시된 반면 그 밖에 남자 중학생의 경우 학습가치 및 부모 감독의 순으로, 여자 중학생의 월평균 사교육비만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녀 중학생 모두 사교육비가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모의 감독 애정 및 중학생의 학습가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조절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학생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부모 및 '가정교과'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 PDF

LCMS를 이용한 학습자 수준별 맞춤형 학습 콘텐츠 구성 (Construction of Tailored Learning Contents by Learner's Level using LCMS)

  • 정화영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65-172
    • /
    • 2010
  • 웹 기반 학습시스템에서 학습자의 학습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자기조절학습, 자기주도학습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고려한 방법이지만 학습자의 정확한 학습능력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수준별 학습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고려한 학습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설정하기 위하여 문항반응이론을 사용하였으며, 학습 콘텐츠와 학습문항은 각 난이도에 따라 개발 및 적용되었다.

블랜디드 러닝 환경에서 수업만족 영향요인의 구조적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Students' Satisfaction in the Blended Leaning Environment)

  • 허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35-143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블랜디드 러닝 학습 환경을 경험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전통적 수업의 장점과 온라인 수업의 장점을 접목시킨 최근의 블랜디드 러닝 학습 환경을 대학 수업에 적용한 사례를 통해 학습자의 만족도와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교직 수업에 참여하고 설문에 응답한 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을 통하여 응답한 결과를 바탕으로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학습동기, 사전경험, 정보활용능력,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만족도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a) '학습동기'와 (b) '사전경험'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c)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

예비초등교사의 학습동기 전략에 관한 연구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김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6권2호
    • /
    • pp.55-64
    • /
    • 2002
  • According to changing the society rapidly in the 21s1 century,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s considered as an ability of which people should carry on their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mathematics teaching method class in terms of the following areas: (1) the degree of their abilities shown the lower level factors of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such as self-efficacy, intrinsic value, anxiety, cognitive strategy use, and self-regulation (2) relations between factors of motivated strategies for loaming and performance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bove the mean valu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and there are positive relations among lower level factors of motivated strategies fur learning except anxiety, positive relation between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and achievement. In order to help th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 to improve their motivated strategies fur learning in their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method lecture, several methods such as mathematical connections to real world problem, history of mathematics and interview with mathematicians and application of feller's ARCS model to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are suggested.

  • PDF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D대학 대학생들의 자기조절 학습능력 수준에 관한 조사 (A Study on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for Students attending Tutoring Program)

  • 정현자;표창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70-18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D대학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과 연령에 따른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차이와 튜터와 튜티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차이를 인지조절과 동기조절 및 행동조절로 분류, 조사하여 효율적인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2010년 4월 26일부터 6주간 실시된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15개 학과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관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기입식 응답법으로 응답한 183명의 자료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 중 20세이상의 대학생들은 자기조절학습능력 중 조직화, 메타인지전략의 사용, 계획, 자아효능감, 학업시간관리 능력이 유의 하게 높았다(p<0.05). 또한 튜터는 튜티에 비하여 인지전략의 사용, 시연, 조직화, 메타인지전략의 사용, 계획, 점검, 숙달목적지향성, 자아효능감, 성취가치, 행동통제와 도움을 구하기 능력이 높았다(p<0.05). 결론적으로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이 1~2년의 학습과정을 통해 전반적인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대학에서는 상대적으로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부족한 신입생 및 복학생들을 대상으로 상대적인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우수한 튜터를 양성하여 튜터링 프로그램과 같은 양질의 학생지원 프로그램을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성적이 우수한 선배가 후배들을 지도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한다면 튜터링 프로그램이 점차 차별화되고 효율적인 자기 조절 학습능력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동영상을 활용한 사전학습과 역할학습이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the Effects of Pre-learning and Role Learning Using Video on Self-regulat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 강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47-256
    • /
    • 2018
  • 본 연구는 동영상을 활용한 사전학습과 역할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에 의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군 소재 간호학과 2학년 학생으로 실험군 84명, 대조군 76명으로 총 160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3월 2일부터 6월 20일까지였다. 실험군에게는 동영상을 활용한 사전학습과 역할학습을 진행하고 대조군에게는 교수시범의 전통적 방법을 진행한 후 자기조절학습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chi}^2-test$, independent t-test, ANCOVA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조절학습의 인지적 구성 요소인 시연, 초인지에서, 동기적 구성요소인 자기효능감에서, 자원관리 구성요소인 도움구하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을 도모하고 효과적인 실습 교육을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자기조절학습과 UDL설계 학습모형을 적용한 e-멘토링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UDL study model Implementation for e-mentoring system)

  • 이정훈;우진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91-99
    • /
    • 2011
  • 성인학습자는 일반적으로 자기조절학습이 뛰어나 학업성취도와 학업지속성이 높지만,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는 오랜 기간 학습의 중단과 과거 집합교육에 익숙하여 성인학습자의 장점인 자기조절학습이 쉽지 않아 학업저하 및 학업포기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과 UDL설계 학습모형을 개발하고 이것을 적용한 e-멘토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실험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H 사이버대학교 신.편입 학습자를 대상으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별 100명을 대상으로 학습동기전략질문지(MSLQ)를 기반으로 총 36문항의 질문지로 구성된 학업만족도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학업성취도와 학업지속성에 대한 영향을 알고자 1학기의 성적, 재등록률, 학습시간을 추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는 실험집단에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성적)와 학업지속성(재등록률, 학습시간)이 높음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원격대학교 성인학습자들에게 새로운 형태의 e-러닝 교육 부적응 문제를 해결을 할 수 있는 방향과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