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neglect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3초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neglect and Suicidal Ideation in Older Adults of Korea

  • Jeong, Kyuhyoung;Jang, Daeyeon;Nam, Boyoung;Kwon, Soyoung;Seo, Eunsol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5권5호
    • /
    • pp.436-443
    • /
    • 2022
  • Objectives: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self-neglect, which may be a sign of elder abuse, can result in suicide among older adults. The signs of self-neglect and its impact on the risk of suicide may differ by gender. Thus, this study explored the association between self-neglect and suicide risk in older Korean adults and examined the potential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this relationship.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56 Korean adults aged 65 or older through an online surve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First, the associations between 4 sub-dimensions of self-neglect (i.e., daily life management issues, personal hygiene issues, financial management issues, and relational issues) and suicidal ideation were examined. The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these relationships was investigated by including interaction terms. Results: Self-neglec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in older adults. Aspects of self-neglect related to daily life management and relational factors were key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Gender significantly moderated the effect of the relational dimension of self-neglect on suicidal ideation. The relational dimension of self-neglect wa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in older women than in older men.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screening older adults with signs of self-neglect for suicide risk.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older women who experience relational issues as a high-risk group for suicidal ideation. Public programs and support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daily life management and promote social relationships among older adults.

부모의 학대, 방임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Abuse, Neglect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 Adolescent)

  • 이윤아;최진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3호
    • /
    • pp.331-339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on school life adjustment mediated by self-esteem in adolescents. Participants consisted of 2,259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2012. Secondary questionnaire data on parental abuse and neglect,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are used for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Cronbach's 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ron and Kenny's method determined the mediation effect. SPSS ver 18.0 was adop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buse and neglec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dolescent school life adjustment; however self-estee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olescent school life adjustment. Secon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dolescent school life adjustment was influenced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parental abuse had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school life adjustment and also had an indirect effect on mediated by self-esteem. Parental neglect had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 school life adjustment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adolescent school life adjustment mediated by self-esteem.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esteem plays a crucial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abuse and the school life adjustment. Also, self-esteem plays a crucial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neglect and school life adjustment.

어머니의 정서적 확대와 방임 및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아동의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ther's Emotional Child Abuse and Neglect and of Child's Capacity for Self-Regulation on Child's Depressive Tendencies(DT))

  • 조옥자;현온강
    • 아동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41-161
    • /
    • 2005
  • The 612 4th- and 6th-grade subjects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 and two-way ANOVA, Pearson's 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erceived mother's emotional abuse and neglect predicted child's depressive tendencies(DT). Abusive mothers were hostile and showed lack of concern for children's safety. Male children reported more neglect by mothers than female children. Younger mothers were more abusive. Higher maternal educ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neglect and positively related to lower DT. Mother's having a job was positively related to neglect. Mother's emotional abuse and neglect was the greatest predictor of child's self-regulation; children who experienced more emotional abuse had lower self-regulation capacity and higher DT. Self-regulation of male children was positively while that of female childre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 PDF

부모의 방임과 학대가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교사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neglect and abuse by parents on the emotional problems of you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 남태현;한창수;김보영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3호
    • /
    • pp.381-400
    • /
    • 2019
  • 본 연구는 부모로부터의 학대·방임 경험이 자아존중감과 교사관계, 정서문제 변화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동시에 학대·방임경험과 정서문제 변화량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교사관계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자료 중 중1 패널의 최근 2개년도 데이터(6차년도, 7차년도)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로부터 방임 경험은 청소년의 우울, 사회적 위축, 신체 증상 등의 정서문제의 증가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으며, 자아존중감과 교사관계와도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교사관계가 학대·방임과 정서문제 변화량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대경험과 교사관계의 상관계수가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함에도 불구하고 직접 경로의 회귀계수는 반대 방향으로 유의하여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기 청소년들의 정서문제에 대한 개입 방안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아동이 인식한 방임과 학대, 자아존중감, 그리고 인권의식의 경로분석연구 (Path analysis on child abuse and neglect, self-esteem, and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among children at community children centers)

  • 김용회;한창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8호
    • /
    • pp.141-170
    • /
    • 2017
  •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아동에 대한 방임 및 학대와 같은 아동인권침해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저소득 빈곤가정 지역아동센터 아동이 인식한 부모의 방임과 학대가 아동의 인권의식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과 그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역할을 살펴보는 목적을 가지고 시행되었다.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중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2015년 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 5학년(2기 패널) 총 630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임과 학대는 각각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인권의식에 직접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은 인권의식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자아존중감은 방임과 인권의식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학대와 인권의식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인권의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지역사회 인권친화적 양육환경 조성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방임 및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 조절효과 (Self-respect Moderating Effects on Adolescents with Emotional Problems due to Neglect and Abusive Experiences)

  • 김숙향;김형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6-3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방임 및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방임수준보다 학대경험 수준이 높았으며, 일반적 특성인 성별, 주관적 가정형편이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임과 학대경험 수준이 높은 청소년은 정서문제인 우울수준, 사회적 위축, 공격성, 신체증상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임 및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중감의 강력한 조절 효과를 가지지는 못하지만, 학대경험과 정서문제 간에 응답자의 자아존중감 평균을 중심으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은 기울기 검정 결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방임 및 학대경험 청소년이 정서 문제에 미치는 영향 간에 부정적 정서 상태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강력한 변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후속연구로 제언하고자 한다.

어머니 거부/방임적 양육태도, 유아의 기질 및 보육 경험이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Associations of Aggression, Maternal Rejection/Neglect, Child Temperament, and Daycare Experienc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 이성복;신유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3호
    • /
    • pp.73-80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aggression and rejection/neglect by mothers, child temperament, day care experience for preschoolers;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was investigated. The subjects were 338 preschool children.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that assessed aggression and self-regulation. Mothers reported on the temperament of children and parenting behavior. The rejection/neglect by mothers, child temperament, and daycare experience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ggress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was found only in daycare experience, which suggests that high self-regulation protects aggression from day care experience.

융복합시대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성인용매체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ent's Neglect on Adolescents' Sexual-Materials Addiction in the Times of Converge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Identity)

  • 조옥선;백진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349-35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시대에서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성인용매체 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 있어서 자아정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 KCYPS 중1 패널 3차 년도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본 연구에 부합되는 2,157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방임, 자아정체성 및 청소년의 성인용매체 몰입에 대한 경로분석 모형을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성인용매체 몰입에 정(+)적인 영향성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성인용매체 몰입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아정체성을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영향이 확인되었다.

부모의 방임과 아동의 학업성취의 관계 :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ense of Community)

  • 박은정;이유리;이성훈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55-76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218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e third wave sample of the 2012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For data analysis, the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y (1986) was performed and the Sobel tes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ediation effects. The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ub-component factors of achievement value, mastery goal orientation, behavioral control, academic time-management reveale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sense of community also showe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 viewpoint to deeply observe the problem of parents' neglect in connection with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ense of community, and can be used as practical data to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the benefit of improving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성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arents' Neglect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Identity and Life Satisfaction)

  • 송순만;백진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327-337
    • /
    • 2016
  • 본 연구는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자아정체성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 조사의 5차년도(2014) 자료를 활용하였고, 본 연구에 적합한 2,035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변수간의 위계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방임은 청소년의 자아정체성과 삶의 만족도 및 학교생활적응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정체성과 삶의 만족도는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아정체성과 삶의 만족도는 부모방임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간에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자아정체성과 삶의 만족도,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