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evaluation factor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판 전문직 간 학습에 대한 자기 효능감 척도의 타당화 (Validity of the Self-efficacy for Interprofessional Experimental Learning Scale in Korea)

  • 권오영;박경혜;박귀화;강영준
    • 의학교육논단
    • /
    • 제21권3호
    • /
    • pp.155-161
    • /
    • 2019
  •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can promote high-quality patient care and good medical outcomes through teamwork among health professionals. However, there are no valid measurement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IPE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test a Korean version of the Self-efficacy for Interprofessional Experimental Learning Scale (SEIEL). The original SEIEL was translated into Korean by two experienced medical professors, and 36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third and fourth year).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EIEL, a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Cronbach's ${\alpha}$ was used to evaluate reliability. Results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dentified two functions: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and "interprofessional team evaluation." A significant cross-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two functions (r=0.690, p<0.001), with a Cronbach's ${\alpha}$ value of 0.932.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EIEL was identified in this study. This tool can be helpful in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IPE in Korea.

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에 대한 조선업 근로자 자가평가와 전문가 관찰 방법 비교 (Comparison of Shipyard Worker Self-reported and Expert-observed Method using the Same 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

  • 이윤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3-89
    • /
    • 2005
  • This study aims to compare a self-reported and expert-observed method on ergonomic risk factor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The checklist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symptoms of WMSDs were obtain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1,029 shipyard workers. The risk factors were assessed through the self-report by workers and video analysis by ergonomists. The symptom prevalence at the low back (59.2%), shoulders (50.8 %), and knees (49.7%)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at other body parts. Odds ratios (ORs) by body parts were 2.48 to 2.90 for the risk job, and the 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low risk job. The risk factor scores by body parts between workers and ergonomist were very high correlation(r=0.82 to 0.92). The rates of self-report from risk job were 54.0% (elbow and arm) to 72.1 % (low back), but sometimes overestimated(105.7 to 122.6%) than those by ergonomists. The checklist,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an efficient tool for the evaluation of risk jobs using self-report by workers.

전공에 따른 해부학 가상강의의 자기평가요인, 가상강의실 활용도,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 비교 (Correlation between Self-Evaluation Factor, Satisfaction, Utilization Frequ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yber Anatomical Education according to Major)

  • 김광환;김지희;이영일;박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81-287
    • /
    • 2011
  • 해부학 교육에 있어 가상강의 방식을 활용하는 것은 학문적 특성에 부합되는 교육방식이다. 본 연구는 해부학 교육의 개선 방안의 일환으로서, 가상강의의 도입 및 확대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자체개발한 해부학 가상강의 컨텐츠를 바탕으로 2007-2009년 3년 동안 간호학과 및 스포츠과학부 학생들에게 가상강의를 실시하였다. 강의 종료후, 수강학생 중 총 231명을 대상으로 가상강의실 게시판 및 컨텐츠 활용 빈도, 개별 설문조사, 학업성취도 자료를 바탕으로 자기평가요인, 가상강의실 활용도 및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전공의 구분 없이 모두 만족도, 난이도, 흥미도, 전공연계성 등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또한 가상강의실 이용의 편의성 및 과제에 대해서도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로그인 횟수와 게시판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도 높았다. 학업성취도는 학과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가상강의실의 로그인 횟수와의 상관관계(r=0.246, p<0.01, 간호학과; r=0.234, p<0.05 스포츠과학부)는 높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자기평가요인은 간호학과의 경우 난이도(r=0.218, p<0.01)였으며, 스포츠과학부는 만족도, 난이도, 흥미도 등(r=0.499, p<0.05)이었다. 따라서 해부학 가상강의는 해부학 강의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전공 분야의 학생들의 교육 수요를 적극적으로 흡수하고, 부족한 해부학 전공 강의요원들의 교육 부담을 경감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지속적인 컨텐츠 개발과 운영 효율성에 대한 제고를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수법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캄보디아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사 이미지, 이미지 결정요인, 자아존중감 사이의 관계 모형 구축 (Construction of a Structural Model Incorporating Nurse Image, Image Determinants, and Self-esteem for Evaluation of Cambodian Nursing Students)

  • 최성녀;박현주;채영란;하윤주;김진하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5
    • /
    • 2015
  • Purpose: This study, on the basis of a structural model that includes nurse image, image determinants, and self-esteem of Cambodian nursing students influenced by the Korean nursing education system, demonstrates distinctions between senior and junior according to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from 194 nursing students in Cambodia and subsequently analyzed using the STATA IC 12 program. Results: First, image determinants and their sub-factors-subjective, institutional, and media-effect both the nurse image and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s. Second, the study confirms that nurse image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Also, the individual factor, a sub-factor of nurse image, possesses a weak relationship with nurse image. Third, the structural model mediating between senior and junior reveals differences resulting from experiences derived from clinical practice. Conclusion: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Cambodian nursing students, who are rarely studied in terms of nurse image, have been systemically analyzed via a structural model incorporating image determinants and self-esteem.

말기 암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고통경험 척도개발 (Development of A Nurse는s Suffering Experience Scale)

  • 조계화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43-25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urse's Suffering Experience Scale and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Method: The subjects used to verify the scale'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220 nurses who were taking care of the end stage cancer patients, while working at university and general hospitals in Daegu and Kyungbuk province from April 20. to July 10, 2001.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WIN 8.0 program. Results: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items that had a factor loading more than .40, and an eigen value more than 1.0. were selected. The factor analysis classified a total of seven factors statistically, and it's communality was 44%. The explanation of factors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content are as follows: The first factor was expanding self consciousness, the second factor was forming empathy with family, the third factor was professional challenge, the fourth factor was change of values, the fifth factor was spiritual sublimation, the sixth factor was helplessness, and finally the seventh factor was rejection to death. Cronbach's coefficient to test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8665 for total of 44 items. The Scale for Nurse's Suffering Experience developed in the study was identified as a tool with a high degree of reliability and validity. Therefore this scale can be effectively utilized for the evaluation of the degree of nurse's suffering experience in clinical settings.

Self-rated Health and Its Indicators: A Case of the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Ahn Byung-Chul;Joung Hyo-Jee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8권1호
    • /
    • pp.38-43
    • /
    • 2006
  • There were numerous evidences that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was a powerful indicator for morbidity and mortality in many countries. Since self-rated health (SRH) was a reasonable health measure, identifying predictors for SRH would be beneficial for assessment of overall health, monitoring health status, and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Health risks, health behavio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were potential indicators for SRH. We examined association. between SRH and indicators such as health risk factors, subjective living condition, income, education level and dietary variety score. Total 4,262 subjects, aged between 20 and 69 years old, were selected from KNHANES 2001; those who completed health examination, nutrition survey, and provided their socioeconomic information.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it was likely to have better SRH for those who were younger, male and have higher education, higher income, better living condition, no metabolic syndrome and higher dietary variety.

의류 제품 구매시 소재의 영향과 소비자 소재 선호 구조 분석 (The Analysis of Fabric Impact and Consumer′s Preference for Fabric on Clothing Purchase)

  • 정인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3-94
    • /
    • 2002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fabric impact on decision-making process for clothing purchase, to determine evaluation factors of clothing, and to analyze consumer's preference for fabric on clothing purchase. 396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correlation, facto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abric impacted on the pre-purchase evaluation and the post-purchase process. (2) 4 factors - physical properties, outer-consciousness, self-satisfaction, and appropriateness- were determined as evaluation factors. Though fabric was included in the physical properties, fabric presented high correlations with other evaluative elements. (3) The most preferred fabric was being composed of natural fiber in fiber contents and having softness in sensation. As a result of multidimensional scaling, 2 dimensions of fabric sensation were developed as 'soft-hard'and 'thin-thick'.

자활사례관리가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자활사례관리 수행에 대한 자활참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Effects of the Self-Sufficiency Case Management on the Emotional Self-Sufficiency: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 이은지;조준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19-29
    • /
    • 2019
  • 본 연구는 근로능력이 미약한 빈곤층을 대상으로 하는 자활사례관리가 자활참여자의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개입관점과 참여자의 인식에 기반한 자활사례관리 척도를 구성하고, 춘천지역에서 시장형 및 비시장형 자활사업단 참여자 142명에 대해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자활사례 관리를 사회적 지지망과 임파워먼트 요인으로 구성한 뒤, 이에 따른 정서적 자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자활사례관리, 그중에서도 특히 사회적 지지망 유형의 사례관리가 자활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업단 유형에 따른 자활사례관리의 차별적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변화하는 자활환경에서 갈수록 강조되는 자활사례관리의 효과성에 대한 실증자료를 제공하고, 사업단 유형을 뛰어넘는 사회적 지지망 중심의 자활사례관리 확대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방문자의 자아 구성, 자아 존중감, 성별이 개인 웹사이트에 드러난 자기 제시(self-presentation)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construals, Self-esteem, and Gender on the Evaluation of Personal Web Sites' Self-presentation Styles)

  • 이윤미;양혜영;이민아;김주환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6권
    • /
    • pp.254-286
    • /
    • 2006
  • 본 연구는 흔히 미니 홈피로 불리는 개인 웹사이트(personal website)의 자기 제시(self-presentation)에 대한 평가가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 받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성별, 자아 구성, 자아 존중감, 자기제시 방식을 주요 설명변인으로 놓고 개인 웹사이트 주인에 대한 호감도와 유능감을 종속변인으로 한 구조방정식모형(SEM)을 검증해 보았다. 또한 잠재평균분석(LMA)을 통해서 구인된 변인들 간에 남녀 집단에서 차이가 존재하는지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여성이 남성에 비해 상호의존적 자아구성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녀 모두 동성보다는 이성의 자기 제시에 대해 높은 호감도를 보였고, 동성의 과시형 자기 제시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호감도를 보였다. 한편, 지각된 유능감 측면에서도 남녀 모두 이성의 자기 제시에 대해 보다 유능하다는 평가를 하고, 여성의 경우에는 과시형 자기 제시를 한 남성에 대해 더욱 유능하다고 평가한 것으로 나타나, 자기제시자의 성별에 따라 평가가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자아구성과 자아존중감은 성별의 효과에 비해 일관적이지도 않고 상대적으로 약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오프라인에서의 자기제시에 대한 기존의 많은 연구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결과다. 이러한 차이가 웹사이트라는 특성에 기인한 것인지의 여부에 답하기 위해서는 다른 조건들을 동일하게 놓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자기제시 효과를 비교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방문자에게 호감을 주는 개인 웹사이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방문자의 특성(특히 성별)을 고려한 자기 제시 유형을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함을 암시한다.

  • PDF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보안수준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Model about Level of Security in National R&D Program)

  • 배상태;김주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73-80
    • /
    • 2013
  • 정부는 최근 연구개발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미래 성장잠재력 확충 및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선진기술을 모방하는 추격형 R&D에서 탈피하여 선도형 R&D로의 변환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한 기초 원천 연구분야 및 국가 중요핵심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보안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다양한 보안진단 및 평가가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보안수준 평가는 보안관리 관점에서 도메인으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평가지표를 제시하여 연구자의 자율적인 연구보안평가 시 한계점을 노출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 연구관리 프로세스 관점으로 도메인을 설정한 후 그에 따른 연구보안 평가지표를 설계하여 연구보안 수준의 자가진단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