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assertiveness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32초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성명론(性命論)" 천인성명(天人性命) 구조 속에서의 심욕론(心慾論) (Theories on the Covetous Desire in the Quaternary Paradigm of Heaven-Human-Nature-Course within "Donguisusebowon (東醫壽世保元): Theories on Nature and Conduct (性命論)")

  • 이준희;이의주;고병희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5
    • /
    • 2010
  • 1. Objectives: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general overview of the theories on the covetous desire and the relevant theories on cultivation mentioned in "Donguisusebowon (東醫壽世保元): Theories on Nature and Conduct (性命論)". 2. Methods: The theories concerning the covetous desire introduced in Dong-Mu's manuscripts, including "Gyukchigo 格致藁)", "Yougocho (遺稿抄)", "Dongmuyougo (東武遺稿)" and "Jaejungsinpyun (濟衆新編)",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Furthermore, the significance of the theories on the covetous desire and the relevant theories on self-cultivation were studied within the context of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Theories on Nature and Conduct (性命論)". 3. Results and Conclusions: 1) Among the four covetous desires (selfishness (私心), indiscretion (放心), indolence(逸心), acquisitiveness (慾心)), selfishness and acquisitiveness are the interpersonal components that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whereas indiscretion and indolence are the intra-personal or self-concerned components that deal with the internal desires within the individual. 2) In the early concepts on the quaternity explaining the perspective on the human being as introduced in Dongmu's earlier manuscripts, the four covetous desires are thought of as the most important etiological components, that are also intimately related to the theories of self-cultivation. 3) Among the concepts introduced in "Donguisusebowon (東醫壽世保元): Theories on Nature and Conduct (性命論)", viciousness (邪心) and negligence (怠心) are primary, intra-personal (self-concerned) desires that are henceforth matched to indiscretion and indolence, respectively, while selfishness (arrogance, assertiveness, indiscrimination and exaggeration (驕矜伐夸)) and acquisitiveness (violation, extravagance, slothfulness and stealthiness(奪侈懶竊)) are secondary, interpersonal desires. 4) 'Preserving the mind (存其心)' and 'rectifying the body (修其身)' are Methods of overcoming viciousness (indiscretion) and negligence (indolence), the intrapersonal desires, while 'nurturing the nature (養其性)' and 'propping the course (立其命)' are Methods of eliminating selfishness and acquisitiveness, the interpersonal desires, which ultimately each leads to the completion of Nature (性) and Conduct/Course (命).

간호대학생의 성희롱 인식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Awareness of Sexual Harassment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 이수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955-962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희롱 인식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J 도에 소재한 2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366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3월 19일부터 3월 30일까지 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이변량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성희롱 인식은 평균 3.45점이었으며 성별,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성희롱 인식은 자아존중감, 성 역할 고정관념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성희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성 역할 고정관념,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으며 본 모형의 설명력은 13.4%이었다.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에 관한 연구 (Relations of Self-esteem to Teaching Aptitude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정원;전선옥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7-18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의 전반적인 양상을 파악하고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이 교직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강원도와 경기도에 소재한 3년제 영유아교사 양성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44명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에 관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들 중 타인과의 관계와 관련된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존중과 관련된 자아존중감은 자아존중감의 다른 하위요인들과 비교해볼 때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적성의 하위요인들 중 특히 수용성 및 민감성과 관련된 교직적성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정서와 관련된 교직적성이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교직적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예비유아교사의 지도력과 인기, 자기주장,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와 관련된 자아존중감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적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영유아교사 교육과정에서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북한이탈 여대생의 외상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와 성적 자율성의 관련성 (Association of Traumatic Events,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Sexual Autonomy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of North Korean Defectors)

  • 이영진;김혜원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6-59
    • /
    • 2019
  • Purpose: To determine associations of traumatic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with sexual autonomy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exual autonomy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of North Korean defector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performed with a total of 103 female students who completed a structured online self-report survey from January 7 to March 31, 2018.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on interpersonal trauma scale, the Traumatic Scale for North Korean Refugees (TSNKR), and sexual autonomy measurement for college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PSS WIN 23.0 program. Results: Traumatic events, PTSD, and sexual autonomy scores were $3.96{\pm}3.07$, $31.47{\pm}10.75$, and $52.66{\pm}6.89$, respectively. PTS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raumatic events (r=.22, p=.030). Sexual autonomy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PTSD (r=-.25, p=.010). Contraceptive use, PTSD, and voluntary sexual debut explained 26% of sexual autonomy of participants. Conclusion: To improve sexual autonomy of young women from North Korea, reproductive intervention programs including contraception, sexual assertiveness training, and psychoeducation to reduce PTSD need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대학생 인성리더십 프로그램이 인성과 자아존중감 및 리더십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 Humanity Leadership Program on Personality, Self-Esteem, Leadership and Life Satisfaction)

  • 최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441-448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 인성리더십 프로그램이 인성과 자아존중감 및 리더십과 삶의 만족도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I시 소재의 대학교 1학년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45명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조사는 2017년 9월 5일부터 11월 28일까지로 매월 2회씩 총 6회기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본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1회기 시작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6회기 프로그램 종료 후에 사후검사를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였다. 검사는 인성, 자아존중감, 리더십, 삶의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로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실험집단내 사전 사후 점수 차이에 대한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성과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성 하위영역에서는 정직이, 자아존중감 하위영역에서는 타인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주장 등 3가지 영역에서 그리고 삶의 만족에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대학생 인성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제시 및 프로그램 개발 내용에 있어서 정직을 핵심으로 하고 타인과의 관계 형성을 통하여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나아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간접흡연 노출에 대한 비흡연 대학생의 주장행위에 관한 연구 -건강신념모형과 ASE model 적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sertive Behavior Among Non-smoking College Students Under Secondhand Smoke Exposure)

  • 김명수;김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187-5195
    • /
    • 2012
  • 본 연구는 비흡연 대학생이 간접흡연에 노출되었을 때 금연을 주장하는 행위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B광역시 2011년 10월부터 11월까지 2개월간 일개 대학의 비흡연 대학생 246명으로부터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되었으며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비흡연 대학생의 간접흡연 노출시 금연을 주장하는 행위와 관련된 요인은 남학생인 경우(OR 3.173, 95% CI 1.676-6.005), 가족 내 흡연자가 있는 경우(OR 1.679, 95% CI 1.056-2.983), 주장행위에 대한 지각된 유익성이 높은 경우(OR 2.821, 95% CI 1.044-7.623), 주장행위에 대한 사회적 영향이 큰 경우(OR 3.753, 95% CI 1.845-7.634), 주장행위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경우(OR 4.140, 95% CI 2.159-7.941)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성인 초기의 대학생들의 간접흡연 노출 시 금연에 대한 주장행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주장행위의 유익성과 사회적 영향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가 필요하다.

주장훈련이 간호사의 스트레스 반응과 주장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ssertiveness Training on the Stress Response and Assertive Behavior of Nurses)

  • 하나선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9-167
    • /
    • 1999
  • This study was designed and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ssertiveness Training on the stress response and assertive behavior of emergency room nurses from September 22, to December 21. 1997. The subjects were 45 emergency room nurses of three general hospitals of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25 assigned for the experimental and 20 for the control group. The Assertive Training Program was composed of cognitive training, behavioral training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the 15-minute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according to recorded-tape once a day for 6 weeks. The cognitive and the behavioural training were conducted by the investigator for 5-8 subjects at a time for 9 series, at an interval of 4-5 days. Post-measurement were administered to all sujects in two groups three weeks after the last session. The level of general stress (Cline, 1992), job stress (Kim & Koo, 1984), physiological response to stress (cortisol, epinephrine, norepinephrine), symptoms of stress (Lee, 1984) and assertive behavior (Kim, 1982) were measured before the first and after the last experiments. Data were analysed by x2, t, paired t, Wilcoxon signed rank tests Wilcoxon rank sums tes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level of general str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234) was revealed. 2. A significant reduction of job stress was revealed in the experimental group (P=0.017). 1) A significant reduction of interpersonal confli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vealed (P=0.018). 3. The physiological stress-response were analyzed as follows : 1) A decrease of Cortisol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was noticed,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991). Pre-and post-measurement of the level of Corti sol revealed that a notable de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ay-day subjects (P=0.765), a significant decrease was noted on the level of Cortisol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night-night nurses (P=0.036). 2) An increase of Epinephrine in both groups was noticed, however, a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P=0.082). Pre-and post-measurement of the level of Epinephrine revealed that a notable de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ay-day subjects (P=0.136). increases were noted on the level of Epinephrinel of both groups in the night-night nurses (P=0.136), 3) The level of Norepinephrin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20). Pre-and post-measurement of the level of Norepinephrine revealed that a notable de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ay-day subjects (P=0.073). a significant decrease was noted on the level of Norepinephrin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night-night nurses (P=0.036), 4. Symptoms of stress were reduced in both group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P=0.127). 1) The physical stress symptoms were reduced in both group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P=0.386), 2) The cognitive-behavioral stress symptom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P=0.037). 3) The emotional stress symptoms were reduced in both group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110). 5. The assertive behavio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P=0.000). This study signified the Assertiveness Training as an effective mean of self intervention for the reduction of stress of nurses assigned to emergency rooms.

  • PDF

방과후체육활동 참여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변화 (Change of Psychological Well-being by Participating in an after School Physical Training Activity)

  • 임태희;김동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453-465
    • /
    • 2014
  • 이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계획된 방과후체육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변화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하기 위하여 K시 M중학교 남학생 중 방과 후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 100명을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는 박정희(2007)가 개발한 청소년 심리적 안녕감 측정도구를 타당도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은 1주에 2차시씩 총 12주 동안 계획된 방과후체육활동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 교과과목 수업에 참여하였다. 실험설계는 사전 사후로 나누어 두 차례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된 방과후체육활동에 참여한 집단과 교과활동에 참여한 집단은 가족관계 요인의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다. 둘째, 두 집단은 교사관계 요인의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다. 셋째, 두 집단은 자기인식 요인의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다. 넷째, 두 집단은 자기 주장성 요인의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다. 다섯째, 두 집단은 심리적 안녕감 중 친구관계 요인의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다. 여섯째, 두 집단은 심리적 안녕감 중 학습 주도성 요인의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다. 종합해 볼 때, 중학생 시기에 계획된 방과후체육활동은 가족이나 부모에 대한 관심과 사랑에 대한 느낌을 확장시킬 수 있고,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과 삶에 대한 태도를 가질 수 있으며, 친구들과 친밀한 관계를 가짐으로써 상호신뢰를 쌓아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 비교 (Comparative Study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Common Students in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 이정화;류성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63-8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수학영재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을 비교분석 함으로써 초등수학영재의 특성을 이해하며,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교육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D광역시 소재의 대학영재교육원, 교육청 영재교육원, 초등학교 영재학급의 초등수학영재 237명(5학년 98명, 6학년 139명)과 D광역시 소재의 영재교육 대상학생, 특수아를 제외한 일반학생 221명(5학년 92명, 6학년 129명)이다. 연구 결과 초등수학영재가 일반학생보다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초등수학영재가 자기 자신에 대한 자신감이 크고, 스스로에 대한 신념이 강하며, 그로 인해 자기 관리 및 과제의 난이도를 적절히 배려하여 비교적 높은 수준의 과제를 선호하는 등의 습관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초등수학영재의 전체적인 진로태도성숙이 일반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하위요인 중 결정성, 준비성에서는 p< .01 수준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확신성에서는 p< .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 모두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태도성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수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은 물론 일반교육과정에서도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아동의 기질 및 주장적 행동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 Temperament, Assertive Behavior,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Academic Achievement in Late Childhood)

  • 조희원;박성연;지연경
    • 아동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5-32
    • /
    • 2011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mechanisms by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temperament influences academic achievement in late childhood.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effects of child temperament on achievement would be mediated by assertive behavior on the part of childre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self-report questionnaires completed by 657 elementary school children (343 boys, 314 girl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emonstrated that child temperament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both assertive behavior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his was evidenced across the entire sample. Child temperament (approach-withdrawal, mood quality, persistence) also had a number of positive effects on assertive behavior (directiveness, social assertiveness, defense of rights and interests) and maternal parental behavior (warmth-acceptance, guidance). These results were found to be the case for both boys and girls.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vealed tha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temperament and achievement for boys, whereas assertive behavior played the same role for girl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different approaches in developing programs to improve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which give due consideration to child temperament and social behavior as well as parenting, based on child gen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