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원 생물학 강좌에서 역동적 복합 수업 모형(DCIM)의 적용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학습 동기 유형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Application of Dynamic Complex Instruction Model (DCIM) to a Biology Class in the Graduate School and Its Effect in Chang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Motivation Types)

  • 오순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2호
    • /
    • pp.295-306
    • /
    • 2011
  •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중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 교수자 주도의 강의, 세미나, 토론 수업 모두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일정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역동적 복합 수업 모형(dynamic complex instruction model, DCIM)이 오순애(2010)에 의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DCIM을 대학원 생물 교과에 적용하였을 때, 대학원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 여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측정 검사 도구로는 유귀옥(1997)이 번안한 West & Bentley(1990)의 자기주도적 학습 준비도 척도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하위 요인인 학습 동기 척도 측정에는 오순애(2001)가 번안한 Hayamizu (1997)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구광역시 소재 K 대학교 2010년 1학기 2개 대학원생 생물 수업을 대상으로 DCIM이 적용되었으며, 수업 전 후에 척도를 이용한 검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교수자 주도의 일방적 강의 수업을 실시한 통제 집단에 비해 DCIM 적용 수업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학습 동기는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대학원 수업에 DCIM의 적용이 대학원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 PDF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업성취도가 핵심역량, 학습동기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n Core Competency, Learner Motivation, and Learne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 조미경;김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61-17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핵심역량, 학습동기,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다양한 학습법을 적용할 때 대상자의 핵심역량, 학습동기,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법을 개발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S시에 위치한 E대학교 간호대학생 2, 3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34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은 2학년보다는 3학년에서 높았고,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 학습동기와 학습만족도 모두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평균이상인 학생이 평균미만인 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업성취도 3개의 변수로 구축된 핵심역량에 대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5.1%이었고,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4개의 변수로 구축된 학습동기에 대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7.5%이었으며,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습동기 2개의 변수로 구축된 학습만족도 모형의 설명력은 43.4%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핵심역량과 학습동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 주도학습 준비도와 함께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동기를 고취시키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중재가 필요하겠다.

'동료 튜터링'에 참가한 목표달성 집단과 미달성 집단의 차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 학습전이를 중심으로 (Differences i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Transfer between Low-Achievers Participating in Peer Tutoring)

  • 황순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81-592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저성취 대학생을 위한 '동료 튜터링(학습 튜터링)'의 참가 영향을 분석하여, 유관 프로그램 개선 및 운영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참가자 중 목표달성 집단(학점 상승)과 미달성 집단(학점 하락)의 차이를 학점 변화 및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 학습전이의 차이로 비교, 분석해보고, 둘째, 세 변인의 관련성이 어떠한지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세종시 소재 H 대학교, 학습 튜터링 참가자 15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t-검정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간략한 연구 결과는, 첫째, 튜터링 참여 후 목표달성 집단(124명, 80.52%)은 학점이 상승하였고, 참가자 전체의 학점 평균도 상승하였다. 둘째, 성별, 학년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 학습전이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목표달성 집단은 미달성 집단보다 세 가지 변인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고, 그 차이는 유의하였다. 넷째, 세 가지 성과 변인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으며,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이 학습전이의 71%를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동료(학습) 튜터링에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학습실재감 향상을 위한 활동 전략 개발 및 적용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의과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성향 연구 : A의대 사례 (A Study on Self Directed Learning Readiness Among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Focused on the Case of 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채수진
    • 의학교육논단
    • /
    • 제10권2호
    • /
    • pp.9-17
    • /
    • 2008
  • A self directed learning(SDL) has been identified as an important ability for medical gradu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measure the SDLR of medical students, 2) to compare the relationship among the student perceptions of assessment,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with SDL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006 at 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 instrument applied to this study was SDLR. Korean version of Guglielmino's SDLR for Adults. The $SPSSwin^{(R)}$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statistics such as correlation. F-test, and Chi square test. Firstly. the mean scores of the SDLR of first, second. fourth year were 114.8, 107.9 and 106.2. This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years (p<.001).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 perceptions of assessment and SDLR was insignificant. The SDLR high scores students had a tendency to favorite "Discussion" and "Bedside teaching". This study found out the problems of medical education to enhance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medical students. Further study is needed so that suitable instructional methods for medical students can be conducted in curriculum.

문제중심학습이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과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BL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 유명란;최윤정;강명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6-55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BL on ability of nursing students in Self-Directed Learni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For the experimental group PBL was used during one semester (14 weeks). Instruments for data collection wer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Kim, 1997),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 (K won et al., 2006) and Problem Solving Process Scale (Lee, 1979). The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 ANOVA.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elf-Directed Learning and Critical Thinking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PBL.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BL has a positive effect on nursing students' education. Therefore, PBL should be used for more subjects in the nursing curriculum.

  • PDF

COVID-19 대유행 이후 간호대학생의 온라인 학습 만족도 예측요인 (Predictors of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after COVID-19 Pandemic)

  • 안준하;손장훈;김수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451-461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COVID-19 대유행 이후 시행된 온라인 학습의 만족도와 교수의 강의역량, 학습자의 온라인 학습 준비도, 전공 만족도가 온라인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연구이다. 5개 지역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8월 17일부터 10월 5일까지 구글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130부의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온라인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은 강의역량 중 교육방법(β=.43, p <.001)과 온라인 학습 준비도 중 자기주도적 학습(β=.33, p <.001), 전공 만족도(β=.21, p <.001)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기존 on-campus 방식을 탈피하여 온라인에 적합한 교육 방법을 고안할 필요가 있으며, 자기주도적 학습이 될 수 있는 교육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arner Motivation and Teacher-student Interaction on Learne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 조미경;김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68-47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새로운 학습법을 도입할 때 대상자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소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핵심역량, 스트레스와 학습동기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준비도 검사, 교사-학생관계척도, 대학생 핵심역량, 대학차원의 스트레스 측정도구, 학습동기 측정표, 학습만족도 측정도구를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에 위치한 E대학교 간호대학생 2, 3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32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학습만족도는 자기주도학습 준비도(r= .21, p= .018), 교수-학생 상호작용(r= .39, p<.001), 핵심역량(r= .21, p= .014), 학습동기(r= .75,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학습동기는 자기주도학습 준비도(r= .24, p= .005), 교수-학생 상호작용(r= .38, p<.001), 핵심역량(r= .21, p= .018)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동기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었으며, 이 2개의 변수로 구축된 회귀모형의 학습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59.7%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동기를 고취시키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중재가 필요하겠다.

플립러닝을 활용한 건강사정 및 실습 교육 효과 (Effect of Flipped Learning Education in Physical Examination and Practicum)

  • 조미경;김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81-9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플립러닝을 적용한 교육방법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플립러닝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핵심역량을 파악하고, 플립러닝을 적용한 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습만족도, 학습동기를 파악하여, 플립러닝 적용 후 각 변수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단일군 전후 비교 연구로 대상자는 경기도 S시 일개 간호대학에서 플립러닝을 활용하여 건강사정 및 실습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분석은 6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전 사후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각 변수간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종속변수인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단계적 다중회귀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는 사전 사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핵심역량은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플립러닝교육 후 학습동기는 자기주도학습 준비도(r=0.33, p=.006), 대학생 핵심역량(r=0.51, p<.001), 교수-학생 상호작용(r=0.72, p<.001), 학습만족도(r=0.79,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모든 다른 변수들 간에도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었으며, 이 2개 변수로 구축된 회귀모형의 학습동기에 대한 설명력은 71.3% (F=80.66, p<.001)였다. 따라서 플립러닝 교육을 적용하였을 때 학습동기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학습만족도를 증진시키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활발히 하는 전략의 마련이 필요하겠다.

e-Learning기본간호실습 콘텐츠를 이용한 자기주도학습이 간호학생의 지식, 자신감,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 Directed Learning Applying Basic Nursing Practice Contents of e-Learning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Self Confidence and Satisfaction)

  • 조현숙;박은영;최정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504-514
    • /
    • 2013
  • 본 연구는 인천 소재 G 대학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e.learning기본간호실습 콘텐츠를 이용한 자기주도 학습을 했을 때 지식, 자신감과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로 연구대상은 실험군 31명, 대조군 32명, 총 63명의 1학년 간호학생이었고, 연구기간은 2011년 9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였다. 중재 기간 2주 동안 실험군에게는 기존의 강의 중심의 전통적 실습교육과 더불어 e-learning기본간호실습 콘텐츠를 이용한 자기주도학습(Mosby's Nursing Skills 중 피부와 점막의 투약, 수혈 및 중심정맥관 간호에 관한 9개 항목)을 주 3회 이상씩 총 120분 이상 제공하였으며, 대조군에게는 전통적 실습 교육만을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지식과 교육만족도가 증가되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자신감은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부와 점막의 투약, 수혈 및 중심정맥관 간호의 기본간호 실습에서 전통적인 실습과 함께 e-learning기본간호실습 콘텐츠를 이용한 자기주도학습은 간호학생의 기본간호 술기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효율적인 교수학습 전략이 될 수 있다.

사이버교육 효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공공조직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Critical Success Factors in Implementing the Web-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 In Case of Public Organization.)

  • 정해용;김상훈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1권1호
    • /
    • pp.51-7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web-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First of all, four critical success factors are theoretically derived from reviewing previous research. They are: (1) learner-related factor including the variables such as teaming ability, learning attitude, and attending motivation, (2) environmental factor including the variables of physical and mental support for learners, (3) instructional design factor represented by one variable, the degree of appropriateness of learning contents, and (4) the factor concerning the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embracing the variables such as curiosity for learning, openness towards challenge of learning and affection for learning. Subsequent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four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are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data for empirical analysis of the research are collected from 1,020 respondents who have already passed the web-based distance learning courses which have been implemented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fficials Training Institute. Out of 1,020 responded questionnaires, 875 data were available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web-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is shown to be the instructional design factor, and in the next place,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factor, the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learner-related one in sequence. Secondly, additional analysis of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instructional design factor shows that availability of practical information and knowledge is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 and next, interesting composition of contents, reasonable learning amount, optimal level of instruction, and understandable explanation are significantly important in the descending order. Lastly, among learning motivators, strong intention of acquiring business knowledges and skills i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satisfier in the web-based distance learning.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comprehensive model of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implementing the web-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fficient and effective guidelines for developing and operating the web-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in the various kinds of organiz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