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Control Efficacy

검색결과 1,052건 처리시간 0.03초

간호대학생의 임부간호교육에서 성찰일지를 이용한 팀 기반학습의 효과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using Reflection Journal on Pregnancy Nursing Course for Nursing Students)

  • 김진영;이미경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04-413
    • /
    • 2018
  • Purpose: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a team-based learning using reflection journal in Women's Health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ha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Participants were 140 third-yea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n=70) received twice team-based learning using reflection journal about pregnancy nursing course while the control group (n=70) received only team-based learning.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x^2$ test, Fisher's exact test, and independent t-test using SPSS 23.0 program. Resul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critical thinking (t=2.03, p=.044). Problem-solving, self-leadership, or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eam-based learning using reflection journal is an effective teaching strategy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of nursing students.

뇌졸중 환자를 위한 팀접근 재활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a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on the Rehabilitation of Stroke Survivors)

  • 조복희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7-15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program for stroke survivors, and to identify its effects on their rehabilitation. The team was composed of 7 members: a rehabilitation nurse, a physician, a physical therapist, an occupational therapist, a therapeutic recreational therapist, a nutritionist, and a researcher. A quasi-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with 36 subjects: 1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8 in the control group, using a noneq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4 times in rehabilitation programsfocused on information and emotional support provided by the rehabilation team-and received telephone counseling from the researcher.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a)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had an ischemic stroke within the last year, (b) patients free of any communication disorder, (c) and those having a primary caregiver who could assist in filling out the form assessing the level of AD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who had been discharged from a tertiary hospital, between October 1st, 1999 and September 30th, 2000. The data were analysed by $X^2$ test, Fisher's exact test, ANCOVA, Wilcoxon's rank sum test, and Wilcoxon's signed rank test using an SA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erms of physical variables (blood pressure, grasp power, and ADL)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pressure between the two groups (systolic pressure P= .012, diastolic pressure P= .050). 2)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sp power between the two groups (affected side : P= .012, unaffected side : P= .010). 3)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level of ADL between the two groups. 2. In terms of psychosocial variables (depression, self-efficacy, self-esteem, and social activitie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all four psychosocial variables showed a tendency to improv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only two variables (depression and self-efficacy) showed a simalar tendency in the control group. 2) The level of social activities in the contro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a month (P= .050). 3.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improved in both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Stroke has high recurrence rate and requires considerable follow-up care.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and designed for stimult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of stroke survivors. Through the program period of one month (meetings were held weekly), a positive effect was detected in physical variables, although the psychosocial variables did not improve significantly. In retrospect, a one month period may not be an adequate length of time to improve the psychosocial variables, as the stroke survivors were complicated cases, and most of them were elderly. Further research is therefore recommended by increasing the length of program, so that its effect can be more noticeable.

  • PDF

COVID-19로 인한 온라인 중심 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의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in the On-line-Based Education by COVID-19)

  • 차혜경;김한송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459-469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온라인 중심 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의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자신감 향상을 위한 교수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C시에 소재한 N대학 간호학과 14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및 Duncan test를 활용한 차이 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 자신감은 자기 주도 학습준비(r=.368, p<.001), 학습 동기의 하위영역인 내재적 동기(r=.232, p=.005), 외재적 동기(r=.344, p<.001), 과제 가치(r=.237, p=<.001), 학습통제신념(r=.262, p=<.001), 자기효능감(r=.443,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자신감 영향 요인으로는, 4학년(β=0.413, p<.001), 학습 동기의 하위 영역 중 외재적 동기(β=0.307, p<.001), 자기효능감(β=0.316, p=.005)이었으며, 설명력은 35.8%였다(F=8.354, p<.0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자신감 증진을 위해서 간호대학생의 외재적 동기,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수법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며, 이는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자신감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온라인 중심의 간호교육 전략 마련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경영진 역할과 보호동기 요인이 정보보안정책 준수 의지에 미치는 영향: 계획행동이론을 기반으로 (Role of Management and Protection Motivation's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Compliance with Information Security Policie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신혁;강민형;이철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69-8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정보보안정책 준수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Ajzen(1991)이 제시한 계획행동이론을 토대이론으로 활용하여, 계획행동이론이 정보보안정책 분야에서 활용된 선행연구 사례를 분석하고, 경영진 역할 및 보호동기 요인이 계획행동 선행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조절력을 매개변수로 정보보안정책 준수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연구모형을 설계하여 가설을 검증하고, 경쟁모형을 활용하여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비교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모형에서 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경영진 신뢰, 반응효용성, 반응비용 및 자기효용성과 준수 의지간의 매개역할을 하고, 지각된 행동조절력은 경영진 신뢰와 자기효용성과 준수 의지간의 매개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경영진 역할, 보호동기 요인과 준수 의지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있어 매개변수를 활용한 연구모형이 경쟁모형보다 적합도 검증을 통해 우월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반자율주행 차량의 제어권 전환 상황에서 효율적 정보 제공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t Information Delivery of Take-Over Request for Semi-Autonomous Vehicles)

  • 박천규;김동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70-82
    • /
    • 2022
  • 4단계 이전의 자율주행은 반자율주행 단계로 차량이 주행을 하다가 운전자에게 빠르게 제어권을 넘겨야 하는 상황이 반복적으로 벌어진다. 하지만 지금의 자율주행 차량은 제어권을 넘길 때 일괄적으로 간단한 메시지와 경고음만을 사용해 운전자에게 알림을 주고 있어 개개인의 특성에 대한 고려나 다양한 위급 상황에 대한 설명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 차량의 판단에 대한 시·청각 정보 제공 정도와 운전자의 운전 효능감이 제어권 전환 요청 상황에서 운전자의 판단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제어권 전환 요구 시 제공된 시·청각 정보 조합 방식에 따른 운전자의 인지 부하, 신뢰도, 안전감, 사용성 및 유용성의 설문 항목에서 조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운전자의 운전 효능감에 따라 제어권 전환 상황에서 요청을 전달하는 효율적인 정보 제공 방식이 달라진다는 인사이트를 발견할 수 있었다. 급박한 제어권 전환 상황에서 운전자의 특성을 고려한 요청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전자와 소통할 수 있는 자율주행 차량을 설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훈련이 독해력, 초인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reading strategies developing through reciprocal teaching on reading comprehension, metacognition, self efficacy)

  • 김미정;은혁기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2호
    • /
    • pp.299-320
    • /
    • 2012
  • 본 연구는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학습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독해력, 초인지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소도시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에 5주 동안 총 10회기의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학습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학습상담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독해력과 그 하위 요인인 사실적 이해와 감상적 이해 영역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학습상담프로그램은 초인지의 하위요인인 조정 영역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학습상담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새로운 읽기전략에 대한 경험과 또래집단 구성원간에 주고받는 도움과 성공 경험이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학생의 활동보고서 및 연구자의 관찰결과와 함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실시한 결과에서 초등학생들이 협동학습을 통해 학습 집단에서 공동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함께 노력하여 다른 구성원에게 도움을 주고받으며 즐겁게 참여하는 것이 긍정적인 프로그램 효과에 기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학습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독해력, 초인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 PDF

부산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체형 인식도, 식생활 태도, 식이 자기 효능감 및 영양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ception about Body Image, Dietary Attitude,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ent Intake of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 이정숙;윤정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95-301
    • /
    • 2003
  • 고등학생의 체형인식과 식생활태도, 영양섭취 상태 및 식이자기효능감을 조사하여 이들 간의 상호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시내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5개교를 선정하여 1학년과 2학년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법을 이용하여 2002년 4월 8일부터 4월 22일까지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부족군에서의 46.0%, 정상군에서의 53.9%, 체중과다군의 61.8%,비만군의 48.2%만이 스스로의 체격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체 격 에 관계없이 체중조절에 관심을 높게 가지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도가 높을수록 체중조절을 경험한 빈도가 높았고, 각 체중군별 사이에 식생활태도 점수 분포의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비만도가 높을 수록 식이자기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비만도는 부모의 비만도와 유의적인 상관을 보였다. 부모의 학력과 자녀의식 생활태도도 양의 상관을 보였으나, 어머니의 비만도와 식생활태도는 음의 상관을 보였다. 간식비는 식생활태도와 식이자기효능감과 음의 상관을 보이고, 에너지 섭취량이 식이자기효능감과 음의 상관을 보인 반면, 식생활태도와 식이자기효능감은 양의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체형 인식 정도나 식이자기효능감이 식생활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볼 때, 체형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전제된 균형된 식생활이 가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구체적 인 영양교육과 식이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음으로 미루어 부모영양교육을 병행함으로써 가정과 연계하여 지도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것으로 사료되므로, 이를 감안한 지속적인 영양교육이 계획되고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점심, 저녁 ,간식으로 구분하여 결과를 볼 수 있고, 동ㆍ식물성 식품 섭취 및 기간별 영양소 변화 등은 각각의 영양소별로 그 섭취 상태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경향은 없었으며 간 사이토졸네 GST 활성도는 에탄올 급여군 중 $\beta$-carotene과 retinyl acetate 공급군이 각각의 pair-fed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간조직내 $\beta$-carotene함량은 $\beta$-carotene, 공급군에서만 검출되었고 에탄을 급여군이 pair-fed군에 비해 6배정도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혈장과 간조직 내 retinol 함량은 에탄올 급여로 낮은 함량을 보였으나 비타민 A형태 중 retinyl acetate 공급군이 가장 높았다. 간조직 내 retinoic acid 함량은 에탄을 급여군 중 $\beta$-carotene과 retinyl acetate 공급군이 각각의 Pair-fed 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상기 연구 결과를 보면 에탄올 급여로 지질과 산화물 함량이 증가되고 관련 항산화 효소계의 활성도 변화로 보아 간 손상에 지질과산화 반응이 관여된 것으로 보여 지며 에탄올의 영향에 대한 비타민 A의 효과에는 retiny1 acetate가 항산화제로 작용하여 간조직의 급격한 손상을 효율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time 활동에 대해서 간단하게 소개하고 마치도록 하겠다. 현재 디지털 방송기술, 비디오 스트리밍 기술이나 MPEG 등과 같은 기술수준으로도 충분히 이러한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으며 소비자들도 이러한 욕구를 서서히 느끼고 있다.

기업가적 리더십의 양면성: 구성원의 조절 초점 성향에 따른 패러독스 효과 (Two Faces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The Paradoxical Effect Reflecting Followers' Regulatory Focus)

  • 권상집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4호
    • /
    • pp.165-175
    • /
    • 2023
  • 벤처창업 연구에서 기업가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혁신행동 및 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핵심 고리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기업가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고려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구성원의 개별 성향과 복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기업가적 리더십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구성원의 조절 초점 성향을 토대로 기업가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성향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혁신행동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변수 간 인과관계 검정을 위해 중소벤처기업에 재직 중인 구성원을 대상으로 점화 기법 기반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 참가자를 2(기업가적 리더십 점화 집단 vs. 통제 집단)×2(조절 초점: 성장 초점 집단 vs. 예방 초점 집단), 네 가지 집단에 각각 무작위로 배분하였다. 연구결과, 기업가적 리더십은 성장 초점의 구성원들이 지닌 자기효능감과 혁신행동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업가적 리더십은 예방 초점 성향 구성원들의 자기효능감과 혁신행동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실험연구 결과, 기업가적 리더십과 조절 초점 성향의 상호작용이 자기효능감을 토대로 혁신행동에 양면적인 효과를 발휘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장 초점 성향의 사람들이 예방 초점 성향의 사람들보다 리더가 기업가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 훨씬 더 혁신행동을 발휘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업가적 리더십이 구성원에게 미치는 양면적 효과는 자기효능감에 의해 매개되고 있다는 점도 연구를 통해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리더의 기업가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어떻게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기업가적 리더십과 조절 초점 성향, 혁신이론에 중요한 학문적 기여도를 제공하였으며 실무적 관점에서도 벤처기업 및 스타트업에서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조직운영 프로세스에 관한 의미 있는 기여도를 제공하였다.

  • PDF

대구지역 일부 중학생이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 (The Related Factors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aegu Area)

  • 김경희;한창현;권진희;이성국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5-8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well the middle school students are practicing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the factors relating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 Questionnaire survey on 922 middle school students attending 6 middle schools (three middle schools for each sex) located in Taegu City from the 7th through 19th of Feb. 2000 were conducted. The following were as follows; 1. The perceived health status is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students(p〈0.01). And the ratio of the students' feeling that they are healthy becomes also high in proportion to their economic status, and their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their parents' interest in health(p〈0.01). The perceived importance of health is high in proportion to the students' economic status, and their parent's interest in health. 2. In case of the Health Locus of Control in Personality, the students with both parents have higher trend of inner control than the students with single mother or single father. The perceived self efficacy i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students(p〈0.01). And it becomes significantly high in-proportion to the students' economic status and their parents' educational level and interest in health(p〈0.01). It is also higher in the students who had no diseases. 3. In case of the perceived benefit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ratio of the students responding that it is high is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students(p〈0.01). It also becomes high in proportion to the students' economic status, and their parent's educational level and interest in health(p〈0.01). The barriers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found to have no variables that are related to itself. 4. According to the data from Multiple Regression of Analysis which has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practice as a subordinate variable, in male students' case the degre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practice becomes high in proportion to their parents' interest in health, a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Their degre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practice is also in proportion to their perceived self efficacy and the perceived benefit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practice. But in case of the barriers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practice, the result is the opposite. As to the female students, their health behavior practice becomes high in proportion to their parents' interest in health. It also becomes high in proportion to the perceived health status,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the health, the perceived self efficacy and the perceived benefit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But in case of the barriers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it was the same as the male students' case.

  • PDF

Effects of an Anti-Smoking Program to Prevent Lung Cancer among Urban Aboriginals in Taiwan

  • Lin, Mei-Hsiang;Huang, Sheu-Jen;Shih, Whei-Mei Jean;Wang, Pao-Yu;Lin, Li-Hui;Hsu, Hsiu-Ch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451-6457
    • /
    • 2013
  • Background and Purpose: Indigenous people who leave their hometowns and move to the city to earn a living became urban aboriginals. During the process of adapting to urban living situations, they may use various coping strategies such as smoking to overcome their stress. Therefore, it is crucial to provide health education including smoking prevention, increasing knowledge regarding of tobacco hazard, self-efficacy of anti-smoking, and adjusting smoking behavior so as to empower their anti-smoking motivation to prevent lung can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an anti-smoking program on urban aboriginals in Taiwan.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design with purposeful sampling was employed. A total of 125 aboriginal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two local churches at Shu Lin area in northern Taiwan.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 =64 ) and a control group (n = 61). Both took pre-tests in order to set baseline values, and onl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for 3-weeks in the anti-smoking program classes. Both groups took post-tests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immediate effects of the teaching program, and a follow-up test was conducted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COVA, and repeat measure ANCOVA. Results: After controlling for confounding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efficacy of anti-smoking and smoking behavior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immediately post-test and the follow-up test (p < 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hazards of smoking at eiter time point.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anti-smoking program effectively improved self-efficacy of anti-smoking, and decreased the smoking behavior in urban aboriginals. They provide useful information as a reference regarding of aboriginal health promotion to health providers. It is imperative that anti-smoking be reinforced for those regular smokers to prevent induction of lung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