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elf-Control Efficacy

Search Result 1,05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무용전공 여고생에서 섭식장애 인지와 비만도에 따른 체중조절 태도 및 식이 자기효능감, 섭식행동 (The Weight Control-Related Attitudes, Dietary Self-Efficacy and Eat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Eating Disorder and Obesity Index in Dancing Major High School Girls)

  • 석혜경;허은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3-391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dietary self-efficacy and eating behavior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of weight control attitudes according to eating disorder perception and obesity index for high school girls majoring in dance. Almost half (45.5%) of the subjects perceived eating disorders, and the rate of underweight group was 45.7%. Forty-four percent of the group that perceived eating disorders were in modern dance, while 55.0% of the group that did not perceived eating disorders were in Korean dance (p < 0.05). For the obesity index, a similar rate was shown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dance for the underweight group, but in the normal group, 54.5% were in Korean dance (p < 0.05). Most (82.0%) of the group that perceived eating disorders had fears on obesity, while only 53.3% of the non-perceiving group had fears on obesity (p < 0.01). Over half (58.3%) of the underweight group had fears on obesity, while 77.2% of the normal group showed fear in that (p < 0.05). For necessity of weight loss to do dance performances, 25.0% of the underweight group and 57.9% of the normal group need that (p < 0.05). Most of the group that perceived eating disorders (92.0%) answered that they had experience in very low calorie diets, while only 40.0% of the non-perceiving group had experience (p < 0.001). For necessity of calorie education, 42.0% of the group that perceived eating disorders and only 20.0% of the non-perceiving group answered is needed (p < 0.05). For eating behavior, the group that perceived eating disorders had lower total scores compared to the non-perceiving group (p < 0.001), The group that perceived eating disorders showed lower scores for restraint eating (p < 0.01) and emotional factors (p < 0.001) except by external eating. This study showed that high school girls majoring in dance have high interest in weight control and problems with wrongful body images and eating behaviors, as well as need for calorie education were suggested.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execute a proper weight control education program for the subjec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4) : 383${\sim}$391, 2009)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원 및 질병관리를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health and quality of life among allergy and asthma patients: With specific focus o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health management)

  • 김의철;홍천수 ;이정권 ;박영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1권2호
    • /
    • pp.143-181
    • /
    • 2005
  • 이 연구의 주된 관심은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하는데 있다. 신체적인 증상과 생리적인 기능 외에, 심리적인 기능과 인간관계가 건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을 위해, 알레르기 비염과 천식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하였다. 연구자들이 제작한 반구조화된 질문지에서는 여섯 개 영역을 측정하였다 : 질병 발생의 원인, 심리적 특성, 질병의 관리, 신뢰, 사회적 지원, 신체증상과 삶의 질 지각. 상호작용모형 (Bandura, 1997; Kim & Park, 2005)을 기초로 분석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건강회복과 질병악화의 순환과정에 대한 잠정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모형은 발병 단계, 대처 과정, 결과적 증상의 세 단계로 구성되었다. 첫째, 발병 단계에서는 개인요인과 환경요인이 포함되었다. 둘째, 대처과정에서는 세 측면이 다루어졌다. 환자의 심리적 기능과 관련된 특성으로는 자기효능감(자기조절 효능감, 주위사람도움 효능감, 환경통제 효능감, 어려움극복 효능감), 긍정적 성격과 목표의식, 스트레스, 대리적 통제가 포함되었다. 인간관계는 의미있는 주위 사람들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원(재정적, 정서적, 정보적)과 신뢰(의사환자관계, 가족관계)가 포함되었다. 질병 관리 행동으로는 적절한 병원 진료, 의사처방 이행정도, 환경관리, 일상생활 관리가 포함되었다. 셋째, 결과적 증상으로 신체증상 및 삶의 질에 대한 주관적 지각이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와 제안된 모형에 토대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논의가 있었다 : 생리적, 심리적, 관계적, 환경적 요인들이 상호작용하고 나아가서 건강과 삶의 질에 관련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자기효능감 가족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원, 의사에 대한 신뢰, 의료 복지를 위한 사회적 체제가 건강한 삶과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핵심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학문적이고 토착적이며 문화심리적인 시각에서의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서울, 천안, 농촌지역 중 고교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Internet Addiction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Cheonan, and Rural Area)

  • 이석범;이경규;백기청;김현우
    • 정신신체의학
    • /
    • 제12권2호
    • /
    • pp.145-156
    • /
    • 2004
  • 연구목적: 인터넷 중독이란 '과도한 인터넷 사용에 의해 현실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 '인터넷에 과도한 시간을 사용하거나 현실세계에서의 진정한 인간관계가 가상공간에서의 표면적인 관계로 대치되는 것', '인터넷 사용에 대한 자기조절 능력이 현저히 약하고 사용을 금지할 경우 심리적 혼돈과 무기력에 빠지게 되는 상태' 등으로 정의되는 새로운 형태의 중독 현상을 지칭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문화적, 지리적 여건이 다른 서울, 천안, 농촌지역 중고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율, 인구학적 변수들, 컴퓨터 사용성향, 불안성향, 우울, 그리고 가상공간을 통한 자기 효능감이 각 지역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군은 서울, 천안, 천안근교 농촌 소재의 남녀 중고교생 171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에 대한 문항들, the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를 김정택이 번안한 한국판 상태-특성 불안척도, 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을 이중훈이 번안한 한국판 자기평가 우울척도, 인터넷 사용 성향을 묻는 문항들, Young, K. S.의 인터넷 중독 진단 척도를 윤재희가 번안하였고 본 연구자가 청소년에 맞게 수정한 인터넷 중독척도, J. W. Henry & R. W. Stone이 개발한 computer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scale과 Paulhus, Delroy가 개발한 Spheres-of-Control Battery Item을 송원영이 번안, 수정하여 사용한 가상공간 활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결과기대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해당학교장의 협조를 받아 교실 내에서 학생들이 작성하는 방식으로 연구가 시행되었다. 결과: 연구결과 전체 대상군의 인터넷 중독율은 2.9%였으며 세 지역간에 인터넷 중독율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전체 대상군의 경우 농촌이 서울이나 천안에 비하여 높은 불안, 우울정도를 보였고, 서울, 천안, 농촌 순으로 높은 가상공간활용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보였으며 천안, 서울, 농촌 순으로 여가생활을 혼자 지내는 비율이 높았으나 중독군 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이러한 차이가 없었다. 전체 대상군의 경우 인터넷에 접속하는 장소에 있어서 서울, 천안, 농촌 순으로 가정이 많았으며 인터넷 접속방법에 있어서도 서울, 천안, 농촌 순으로 초고속 인터넷의 사용율이 높았으나 중독군 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이러한 차이가 없었다.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전체 대상군의 경우 서울, 천안, 농촌의 순으로 인터넷에 중독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중독군 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이러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번 연구결과를 보면 인터넷 중독율은 세 지역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불안, 우울, 가상공간활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여가형태, 인터넷 접속장소, 인터넷 접속방법,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전체 대상군에서는 세 지역간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독군의 경우에는 이러한 차이가 없어 지역간 중 고교 학생들의 심리적 상태, 여가형태, 인터넷 환경,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으나 인터넷에 중독되면 이러한 차이가 없어지고 비슷한 형태의 중독군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수공예활동이 자아존중감과 공감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ndicraft Activities on Self-Esteem and Empathy Quotient)

  • 장철;김은지;김영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9-68
    • /
    • 2018
  • Purpose : In this research, I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handwork activities through group activities on self-esteem and sympathy index. Method : In this research, for men and women enrolled in K university, we explain sufficiently the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 and randomly assign to 20 training group and 20 control group for those who agreed with experiment we divided handwork activities twice a week from november 18, 2016 to December 6, six times in total for 30 minutes. Results : Compared with self-esteem among groups, group training exercises showed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n control group, and self-accepted items and self-efficacy items decreased. empathy comparison that group fits according to arbitration period compared with group control training group, group of training exercise high emotional sympathy items and social skills items appear high, cognitive sympathy items are low. Conclusion :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turned out that the activities of handwork by group impro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motional sympathy and social skills. In light of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can be considered that better results can be obtained when applied to children and young people who are forming self-esteem and cognitive sympathy. In future research, further studies based on age, sex and further research corresponding to each situation, student's self esteem and a broader material for developing program necessary for cognitive sympathy can be obtained.

Self-Help Education as Outreach Program for Osteoarthritis Patients in Rural Korea

  • Lee, Kyung-Sook;So, Ae-Young;De Gagne, Jennie C.;Choi, Jung-Sook;Lee, Eun-Hee;Suh, Gil-Hee;Choi, Sun-Ha;Heitkemper, Margaret M.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70-281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if osteoarthritis (OA) patients living in rural Korea would have a benefit from a structured group program focused on self-help strategies. Methods: A hundred and twenty-six patients with OA were recruited from nine Primary Health Care Post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6-week self-help education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usual care. T-tests and c2-tests were used to determine th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treatment program. To guard against such likelihood, the level of significance of t-test was determined by Bonferroni correction within the study constructs. When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study variables at baseline, analysis of covariances (ANCOVAs) were used for group comparisons of outcome variable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fatigue, difficulty with physical activity, depression,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and health behaviors than di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improvements in range of motion and muscle strength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A self-help group education program was an effective and powerful strategy to promote physical and psychosocial health in OA patients

산업체 근로자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자각증상과 사회심리적 요인과의 관계 (Relations between Self-reported Symptoms of Industrial Worker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sychosocial Factors)

  • 고대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463-1469
    • /
    • 2012
  • 본 연구는 산업체 근로자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과 사회심리적 요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K산업체 재활센터를 이용하는 남성근로자 중 구조화된 설문지를 자발적으로 조사에 응한 120명 중 응답이 불충분한 근로자와 과거 근골격계 증상 부위에 사고를 경험이 있는 근로자 18명을 제외한 102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자각증상 유무는 흡연, 육체적 부담정도, 자기효능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는 결론으로부터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을 예방 관리하기 위해서는 그 발생원인의 다특성적인 측면을 이해하여야 하며, 심리적인 요인, 특히 자기효능감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근골격계질환에 관여하는 사회심리적 요인이 다양한 수준에서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질환과 요인 간의 원인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장기적인 추적 연구와 사회심리적 요인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를 시행하고 그 효과를 평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루브릭의 인지여부가 코딩교육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cognition of rubrics on the learning effect of coding education)

  • 이애리;김창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01-211
    • /
    • 2017
  • This study provided a rubric prior to the performance of a task in a coding class and aimed to verify its effect. As for the research contents, this study redesigned the rubric developed in the preceding stud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sented that to the students and conducted a verification of its effects on the computer 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conducting a class. For this purpose, with 41 stud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rubric was presented to conduct the class and 39 students in a control group to which the rubric was not presented to conduct the class, this study conducted a six-week class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ir self-efficacy in the computer and a test to measure their academic achievemen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s a result, there were more positive effects on both computer 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group to which a rubric was presented and in which a rubric evaluation was conducted than in the control group.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noted that the evaluation method presenting more specific and more detailed standards for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the standards would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learners' learning.

극소저출생체중아 어머니를 위한 병원중심의 추후관리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Hospital Based Follow-Up Program for Mothers with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김민희;지은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79-89
    • /
    • 2016
  • Purpose: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a hospital centered follow-up program 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coping for mothers with very low birth weight (VLBW) infants. Methods: The follow-up program consisted of home visiting by an expert group and self-help program for 1 year.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70 mothers with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were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s (n=28), which received the family support program; and a control group (n=27), which received the usual discharge educ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test, t-test, and ANCOVA with IBM SPSS statistics 20.0. Results: Mothers' parenting stress (F=5.66, p=.004)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also significant increases in parenting efficacy (F=13.05, p<.001) and coping (F=8.91, p=.002)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a follow-up program for mothers with VLBW infants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decreas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o enhance parenting efficacy and coping.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Korean society)

  • 김의철;박영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2권5호_spc
    • /
    • pp.1-28
    • /
    • 2006
  • 이번 특집호는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과 관련된 내용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에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5년 8월과 12월에 실시된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심포지움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수정 보완하여 이번 특집호가 제작되었다. 이 글은 이번 특집호에 포함된 논문들과 관련 연구 결과들에 대한 종합을 통해, 현대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에 주된 관심을 두고 있다. 여기에서는 다양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크게 여섯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1)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본적 자원으로서 경제력, (2) 원만한 인간관계의 중요성, (3)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핵심 요인으로서 정서적 지원, (4) 심리적 특성으로서 통제감의 중요성: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 (5) 학업성취를 통한 높은 삶의 질에 대한 기대, (6) 신체적 건강과 기타 요인들.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기본적으로 경제적 안정이 중요하다고 사람들이 지각하고 있으나, 가정 학교 직장과 같은 구체적인 집단 내에서 한국 사람들의 삶의 질은 인간관계로부터 받는 정서적 지원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신의 삶을 통제하고 조절하는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이외에도 학업성취, 건강, 여가생활 등이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하는 요소로 포함되었다.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과정에서, 한국인의 토착심리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이 시사되었다.

항암치료환자에게 시행한 자기간호교육과 자원동원성 수준이 적극적 대처행위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 of Self-Care Education and Level of Resourcefulness on Active Coping in Patients with Chemotherapy)

  • 서순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639-647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internal and external coping resources influenced active coping in the process of stress-coping. The model was established theoretically by comparing and integrating the following theories : Stress-Coping, Self-Care, and Resourcefulness. The subjects consisted of sixty eight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experimental group 34, control group 34) at two general hospitals from January to July, 199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After self-care education, the active coping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active coping score of the high resourcefulnes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low resourcefulness group.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elf-care education and resourcfulness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Specifically as to such scores of seeking social support, problem-oriented strategy and self care behavior,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high resourcefulness group than in each of the other groups. Considering them both, self-care education and resourcefulness are effective nursing strategies to promote active coping including self-care. Consequently, the synthesis and testing of theories of stress-coping, self-care, and resourcefulness in this study are mostly proven to enhance the explanation and prediction of the change of active coping including self-care.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in the development of practice theory of nursing. A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reevaluate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elf-care education and resourcefulness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resourcefulness and self-efficac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