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 certification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4초

방연마스크에 대한 사용자 인식, 인증 현황 및 착용성 조사 (Investigation on Users' Perception and Certification Status and Donning of Smoke Masks)

  • 손현우;박영은;이응우;김은지;최영보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1권1호
    • /
    • pp.68-73
    • /
    • 2023
  •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 화재 대피용 방연마스크에 대한 관심과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시중에 유통되는 방연마스크의 성능 인증 여부와 일반인들이 방연마스크를 적절하게 착용할 수 있는지에 관한 조사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방연마스크가 화재 현장에서 피난안전성을 실제로 높일 수 있는지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본 연구는 방연마스크에 대한 일반 사용자의 인식 현황 및 사용 경험을 조사하고, 교육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유통 중인 방연마스크 제품들이 국내외 성능 기준에 따라 인증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아울러 실험을 통해 방연마스크의 착용 신속성 및 활동 편의성을 평가하였다. 235명의 응답자 중 방연마스크를 실제 사용해 본 응답자는 22%에 그치고, 23%는 방연마스크를 모름에도 불구하고, 93%의 응답자는 방연마스크가 화재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기대했다. 국내에서 유통 중인 54개의 방연마스크 중 약 41%의 제품이 성능 인증을 받지 않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국내외 다양한 성능 기준들 중에서 ASTM E 2952 및 KFIS 024만 방연마스크의 착용 신속성을 30초 이내로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4가지 형태의 방연마스크를 대상으로 착용 신속성을 실험한 결과, 후드형 방연마스크와 자급식 방연마스크는 30초 이내로 착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정화식 방연마스크에 비해 자급식 방연마스크를 착용하면,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심리적/물리적 불편감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방연마스크의 착용 교육을 받은 경우, 착용 시간은 약 19%, 오착용 횟수는 약 89% 감소하여, 적절한 착용 교육과 훈련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미국, 유럽의 휠체어동력보조장치 규제 현황 (Regulations on Wheelchair Power Assist Add-ons in Korea, Europe and United States)

  • 최기원;이석민;문인혁;박상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525-531
    • /
    • 2023
  • 초고령사회에 접어 들고 있는 한국은 자립 보행이 어려운 노인 환자의 급증이 예상되며 보행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기능의 휠체어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수동 휠체어에 장착하여 추진 동력을 제공하는 휠체어 동력 보조 장치가 개발되어 국내 및 세계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미국, 유럽에서 휠체어 동력 보조장치 제품들이 의료기기 인증을 받는 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은 2등급 의료기기 인증과정이 2021년 개발되었으며, 미국 FDA에서는 기존의 전동휠체어와 같은 Class 2에 해당하여 510k 인증과정을 통과해야 한다. 유럽의 경우에는 특이하게 Class I으로 규정되어 상대적으로 쉬운 자가적합선언을 통하여 CE 마크를 부착할 수 있다. 유럽의 새로운 의료기기 규정인 MDR인증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의 의료기기산업계에서는 상대적으로 쉬운 휠체어 동력보조장치 제품의 세계 시장 진출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복수 K-FIDO 기기 환경에서의 인증키 관리 (Certified Key Management in Multi K-FIDO Device Environment)

  • 이병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293-303
    • /
    • 2017
  •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기존의 패스워드를 대체하기 위한 FIDO(Fast IDentity Online)[1,7] 기술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FIDO 기술은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편리한 사용자 인증과 스마트카드 기술을 이용한 안전한 키관리 기능을 제공하지만 사용자 신원인증 기술이 함께 제공되지 않아 사용자가 FIDO 기기를 원격 서버에 초기 등록하는 과정에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신원인증 방식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K-FIDO[3]는 이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FIDO 기술과 인증서기반 기술을 하나의 기기에 접목시킨 것으로 사용자의 초기등록 과정에서 인증서 기반 인증을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복수의 K-FIDO 기기를 사용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이 빠르게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런 환경에서는 만일 기존의 방식대로 하나의 인증서를 여러 기기에 복사하여 사용하거나, 기기별로 별도의 인증서를 발급받아 사용하게 된다면 많은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자체확장인증[4] 방식을 이용하여 복수 K-FIDO 기기 환경에서 인증키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개인 바이오인증 기술 융합과 smart key 기능이 탑재된 wearable device 개발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 with smart key function and convergence of personal bio-certification and technology using ECG signal)

  • 방걸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637-642
    • /
    • 2022
  •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신호를 이용한 본인 인증기술은 기존의 바이오 인증을 대체할 수 있는 본인 인증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디지털 전자키를 인식하는 장치를 차량에 탑재하여 자동차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고, 스마트폰 등을 활용해 자동차의 차 문을 잠금 또는 해제하거나, 시동을 걸 수 있는 기능을 스마트폰을 통해 차량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키는 보안에 취약하여 이를 해결하고 운전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바이오 인증기술을 적용한 스마트키를 연구하였다. 심전도를 이용한 개인인증 알고리즘을 시계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탑재하여 바이오인증을 하고 개인인증이 완료되면 자동차의 스마트키 기능을 할 수 있었다. 인증율 95%를 달성하였다. 운전자는 스마트키를 소지할 필요가 없고, 분실 및 해킹에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대안으로 스마트키를 제안한다. 심전도를 이용한 개인 인증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키는 개인인증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고 향후 심전도를 이용한 본인확인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할 계획이다.

HACCP 인증 현황 및 발전방안 (HACCP certification status and development plan)

  • 구경민;김태웅;한선하;안영순;전예정;이제명;황수진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4권2호
    • /
    • pp.62-72
    • /
    • 2021
  • HACCP 인증업체의 자율관리 능력을 제고하고 관리가 미흡한 업체 등에 대한 집중관리 등 선택과 집중을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더불어 스마트 HACCP의 확대, 보급을 통해 HACCP 운영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향상 시켜야 한다. 이처럼 HACCP 제도의 내실화와 스마트화 뿐만 아니라 동시에 적용분야를 지속적으로 발굴, 확대하는 것이 우리나라 HACCP이 나아가야할 방향이다.

첨단기술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 및 진단장비 성능인증체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Certification System of Inspection and Diagnostic Equipment for Infrastructure using Advanced Technologies)

  • 홍성호;김정곤;조재용;김도형;김정렬;김영민;이동욱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97-111
    • /
    • 2021
  • 연구목적: 지속가능한 기반시설 관리 기본법 시행으로 시설물관리가 강화되면서 다양한 시설물 진단장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다양한 융합장비에 대한 시장요구에 맞춰 합리적인 수준의 인증제품 공급하기 위한 인증제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첨단 기술을 이용한 시설물 진단장비에 대한 인증체계 도입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방법: 기존 국내 유사인증제도에 대한 상세분석 및 비교를 통하여 인증제도의 기본적인 요소와 체계 및 절차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카탈로그방식, 최소성능기준(표본조사, 전수조사)에 대하여 진단장비 개발자(제조자), 발주자, 장비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설문결과 발주자는 최소성능기준 전수조사 방식을 선호하였으며, 장비사용자 역시 최소성능 전수조사 방식과 표본조사를 거의 비슷한 비율로 선호하였다. 반면, 장비개발자는 카탈로그방식을 선호하였다. 결론: 진단장비의 사용자 입장인 발주자와 사용자는 품질에 대한 신뢰가 중요하므로 최소성능기준제시를 선호하였다. 반면, 개발자(제조자)는 다양한 제품의 개발에 규제가 되므로 자기인증방식인 카탈로그방식을 선호하였다. 현재 사용자가 요구하는 최소성능기준 방식의 도입에 필요한 최소성능기준에 대한 구체적 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구체적인 최소성능기준 마련에도 상당한 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므로 무리하게 인증 제도를 도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국내 시설물진단 및 검정장비 시장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카탈로그 방식을 중심으로 일정기간 제도를 운영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향후 필요에 따라서 최소성능기준에 대한 구체적 방안이 마련되면 시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는 범위에서 인증 제도를 확대 및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효과적이다.

냉동 컨테이너용 경질 폴리우레탄 폼 단열재 표준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Polyurethane Soft Foam for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

  • 이준혁;박용근;주아람;정용안;이순홍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8-114
    • /
    • 2017
  • According to an increase in demand for polyurethane soft foam for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ased on redefining existing rigid polyurethane foam insulation KS standard which has been limited to building material-based authentication techniques. Since there are arising concerns of consumer rights and safety due to humidifier fungicides and urethane track incidents, there are elements to be further researched on rigid polyurethane foam insulation for refregerated containers. Thus, we reviewed the prior standards for rigid polyurethane foam insulation and verified the validity of certification testing method for the new standard with self-foamed polyurethane.

A Study of th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 Kim, Moon 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43-50
    • /
    • 2018
  • In this study, It is utilized 103 management panic data about social enterprises in Chungnam area (Chungnam, Daejeon, Sejong) region from 2011 to 2017.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type, type of certification, company's region, external grants, paid employee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with economic performance (sales) and social performance (employment of vulnerable class) as dependent variables. We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and confirmed the correlation between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les as economic performance. External grants have no positive effect on the economic performance (sales) of social enterprises, while paid workers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economic performance. Second,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ployment of the vulnerable class, which is social performance. Only the paid work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ocial performance of the social enterprise.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economic performance (sales) and social performance (employment of the vulnerable class), which is the result of social enterprise, is shown. This can enhance a social enterprises' sustainable growth and self-sufficiency by improving the employment of vulnerable people, the economic performance of a social enterprise, which is sales and social performance, and ultimately can manifest the value and purpose of the social enterprise.

확산형 LED램프와 백열램프의 각도별 광속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Luminous Flux by Degree of Non-directional LED Lamps and Incandescent lamp)

  • 박창용;서정현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8권8호
    • /
    • pp.32-39
    • /
    • 2014
  • In general, non-directional LED lamps including high transmittance cover are more advantageous than directional LED lamps, which are efficient enough to improve luminous efficacy and obtain certification, allowing wide manufacture, sale, and distribution. Although KS C 7651(Self-ballasted LED lamps-Safety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was revised in July 2013, however, many companies are having a lot of difficulties in keeping the certification and product development for the lack of the photometric analysis for non-directional LED lamps. In this paper, through the measurement of the angular distribution of luminous flux of incandescent lamp and non-directional LED lamps, we examined the reasonability of non-directional LED lamps' standards as suggested in KS C 7651. According to the results, even if non-directional LED lamps satisfy KS C 7651, when compared to an incandescent lamp, they showed less diffusive than the incandescent lamp and the distribution of the luminous flux depending on the angle fluctuated greatly even among LED lamps. Judging by the result, the current standard of the non-directional LED lamps, KS C 7651, has been comprehended that the angular distribution of the luminous flux needs to be presented after being much more thoroughly standardized.

태국의 전자거래법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전문 및 일반규정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Legal Study on the Electronic Transactions Act in Thailand)

  • 심종석;오현석
    • 통상정보연구
    • /
    • 제12권4호
    • /
    • pp.405-427
    • /
    • 2010
  • This legal study is to compare the Electronic Transactions Act in Thailand(hereinafter 'ETA') with mainly other countries electronic transactions acts, such as UNCITRAL MLEC, UECIC, VETA, UCITA and Korea' Electronic Transactions Act The ETA is consisted of 6 chapters which included preamble and definitions. Each chapter's main point as follows. Preamble is related to the name, time of legal effect, scope and definitions. Chapter 1 is not only general principles of electronic transactions, required restriction in addition to specify the limit of application, documentation, evidential weight in reference to the data message, but also the conditions of offer and acceptance through data message, time and place of dispatch and receipt of data message, certification between origination and addressee. According to media-neutrality and the effectiveness security requirement of data message under the information system, legal certification is related to the exchange's declaration of intention, define about origination-addressee of data message. Chapter 2 is composed to provide expressly about the effectiveness security in electronic signature. Those contents are to compare the MLEC, UECIC and Electronic Transactions Act in Korea. Chapter 3 is related to legal definitions that present legal requirement about service relating electronic transaction which contents accept domestic law, the adequate requirement as eligibility, satisfied matter, self-reliance ratio of finance and other detail standard Chapter 4 is deal with the transaction which are public sector and those application requirements. And also this chapter are composed regulations about direct-indirect purpose of Thailand domestic electronic govern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