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 Disclosure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7초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Perceptions Toward Grandparents and Their Intimate Behavior

  • Jung, Min-Suk;Ko, Eun-Kyo;Rho, Joseph Y.;Lee, Seung-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5권4호
    • /
    • pp.19-29
    • /
    • 2009
  •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intimate behavior and the level of perception towards their grandparents. Their perceptions are related to factors such as proximity, similarity, superiority, favorableness, and self-disclosure. We clarified the relation between intimate behavior and perception using effect factors of children's behavior regarding their grandparents so that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n elementary material in developing a solution to improve grandparent-grandchild relationship where the grandparent actively encourages grandchildren's intimate behavio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s a hypothesis testing method. The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perception factors affect active intimate behavior in the order of favorableness, superiority, self-disclosure, and similarity. Second, perception factors affect intimate behavior will in the order of favorableness, superiority, and self-disclosure. Lastly, it was shown that a child's active intimate behavior has an influence on their intimate behavior will.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도적 반추, 자기 노출,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Post-traumatic Growth and it's associations with Deliberate Rumination, Self-disclosure, and Social Support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 민새미;김희준;김춘자;안정아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0-63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ntensive care units (ICU) nurses'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deliberate rumination, self-disclosure,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PTG), and to explor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Methods : Participants were 157 nurses who have provided direct patient care for six months or more in ICUs at a university hospita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s, Pearson correlation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s using the SPSS/WIN version 23.0. Results : The PTG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liberate rumination (r=0.36, p<.001), self-disclosure (r=0.39, p<.001), and social support (r=0.54, p<.001). Factors that affect PTG significantly were found in the order of social support (𝛽=0.40, p<.001), self-disclosure (𝛽=0.25, p<.001), and deliberate rumination (𝛽=0.24, p<.001). The final regression model explained 40.1% of the variance of PTG (F=26.33, p<.001). Conclusion : The influencing factors identified in this study on PTG, including social support, self-disclosure, and deliberate rumination should be included in programs to promote PTG for ICU nurses who may experience traumatic events repeatedly.

의인화된 챗봇의 자기노출과 감정표현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 금융서비스에서의 대화 오류 상황을 중심으로 (Effect of Anthropomorphic Chatbot's Self-disclosure and Emotional Expression on User Experience - Focused on Conversational Error in Financial Service)

  • 김환주;김지연;최준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445-455
    • /
    • 2022
  • 금융 서비스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챗봇은 대화 오류와 기계적인 답변으로 사용자 경험을 저해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의인화된 챗봇의 자기노출과 감정표현이 금융 서비스에서 대화 오류 시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일상적인 금융 서비스 문의 상황에서 자기노출 유형(긍정적 vs. 부정적)과 감정표현 수준(높은 수준의 자신감 vs. 낮은 수준의 자신감)별로 시나리오를 구성해 온라인 실험을 진행하였고, 신뢰, 곤혹도, 서비스 회복만족, 지속 사용의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의인화된 챗봇의 자기노출과 감정표현에서 신뢰, 곤혹도, 서비스 회복만족, 지속 사용의도에 대해 각각 주효과가 나타났고 신뢰와 곤혹도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의인화된 챗봇이 긍정적 자기노출과 자신감 있는 감정표현을 할 때 상대적으로 신뢰가 높아지고 곤혹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SNS상에서 자기노출과 사이버불링 (Self-Disclosure and Cyberbullying on SNS)

  • 원주연;서동백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1-23
    • /
    • 2017
  • 많은 사람들은 Social Networking Sites(SNS)를 그들 삶의 일부로 생각하며 사용하고 있다. SNS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 형성과 존속에 유용하게 이용되기도 하지만 사이버불링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한다. 특히 사이버블링과 같은 부작용은 나이가 어릴수록 많이 나타나는데, 청소년의 20% 가까이가 사이버블링를 겪었다고 고백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이버불링에 관한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어 용어의 정의와 그 실태의 조사 정도가 전부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교환 이론을 도입하여 SNS의 기본 특성인 자기노출과 인간관계에 중요한 자기 통제력이 사이버불링 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SNS를 많이 사용한다고 알려진 20대 대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돌려 그 결과를 알아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사이버불링을 사이버 따돌림과 사이버공격으로 분류하고 자기노출을 접속을 위한 자기노출과 존속을 위한 자기노출로 구분을 지었다. 그리고 두 종류의 자기노출과 자기 통제력이 두 유형의 사이버불링과 각각 어떻게 다른 상관관계를 갖는지 비교 설명하고자 한다.

트위터 이용자의 언어권별 자기노출 및 경계 불투과성 (Self-Disclosure and Boundary Impermeability among Languages of Twitter Users)

  • 장필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34-44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트위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언어에 따른 자기노출과 경계불투과성에 대한 양상을 파악하였다. 6개월 동안 5천4백만 명의 트위터 이용자가 작성한 4억여 개의 트윗을 수집하였으며, 이들 중 트윗 수 상위 10개 언어권 이용자의 프로파일 및 관련 데이터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트위터 이용자의 언어가 이용자 프로파일, 프로파일 이미지, 지리정보, URL, 사용자 설명 등 자기정보 공개 항목의 공개비율과 경계불투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계 불투과성과 자기노출 비율(프로파일, 프로파일 이미지, URL, 이용자 설명, 지리정보)은 언어권에 따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p<0.001)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노출 비율과 평균 점수는 포르투갈어, 인도네시아어 및 스페인어 이용자가 아랍어, 일본어, 터키어, 한국어 이용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리트윗을 포함한 트윗 수가 많은 이용자일수록 경계 불투과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체성과 개방성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친밀감 대인관계 과정 모델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s of Identity and Disclosure on Use Intentions in Social Network Services: Focusing on Interpersonal Process Model of Intimacy)

  • 전유희;이대용;정남호;구철모
    • 지식경영연구
    • /
    • 제15권2호
    • /
    • pp.1-21
    • /
    • 2014
  • In this study we adopted Interpersonal Process Model of Intimacy to study SNS use intention. First,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rsonal identity, social identity and intimacy. Second, we tested the influences of self-disclosure, partner disclosure on perceived partner responsiveness. Third, we measu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tner responsiveness and intimacy. Lastl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timacy, perceived partner responsiveness and use intention. A total of 232 final respondents were collected from users of Social Network Services in 2011. The results revealed several important findings. First, we found that social identity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intimacy. However, personal identity showed insignificant effect toward intimacy. Moreover, self-disclosure and partner disclosure had a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partner responsiveness. perceived partner responsivenes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both intimacy and use intention. Lastly, intimacy had significant effect on use intention.

  • PDF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관련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영향 요인 (Explorations of Dating Violence Related Factors that Affect Professional Help-Seeking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 김영은;윤미선;이현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58-269
    • /
    • 2021
  • 본 연구는 최근 데이트폭력의 심각성이 부각되고 있는 추세에 부합하여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을 포함한 다양한 영향 요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탐색하고 그 상대적 설명력의 크기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충청권 소재 1개 대학교의 508명의 대학생이 자기보고식 질문지에 응답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심리적 불편감 노출 및 상담에 대한 유용성기대는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연인 간의 비합리적 폭력인식과 지각된 사회적지지, 상담에 대한 위험기대, 및 도움 요청 장애 요인은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 부적 관계로 나타났다. 위 변인들의 총 설명량은 46.1% 으로 상담에 대한 유용성기대가 가장 큰 설명력을 지니고 위험기대와 도움요청 장애요인이 그 다음으로 큰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데이트폭력 연구 주제의 확장 및 대학생의 전문적 도움 서비스 활용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 제시를 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직무발명에 대한 교수의 자기 공개와 비밀유지 의무에 관한 연구 (Self-Disclosure and Confidential Responsibility of Professor Regarding Employee Invention)

  • 나동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752-758
    • /
    • 2020
  • 교수는 대학의 구성원으로 종업원이다. 교수의 연구활동을 통해 창출된 발명은 원칙적으로 직무발명에 해당되고, 소속 대학의 산학협력단으로 승계되어 특허출원 된다. 한편, 교수는 자신의 발명이 대학의 산학협력단으로 이전되어 특허출원 되기에 앞서, 발명의 내용을 논문이나 학술대회에서 자기 공개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들의 자기 공개된 특허출원 건수와, 비밀유지 의무와 관련하여 제기된 특허무효심판의 건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판례를 통해서 자기 공개 시기를 대학의 승계결정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서 비밀유지 의무의 위반 여부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독점 배타적인 특허권의 확보 측면에서 교수의 자기 공개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부정적 효과들도 조사하였다. 교수가 자기 공개하는 경우에, 대학 소유의 발명은 권리화에 실패하거나 권리를 확보하더라도 포괄적인 권리의 확보가 어렵게 된다. 권리 확보에 성공하더라도 권리가 무효될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교수는 발명진흥법에서 정의한 종업원의 비밀유지 의무를 위반하게 될 수 있고, 직무발명의 승계가 확정된 이후라면 부정경쟁방지법에서 정의한 비밀유지 의무도 위반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은 교수의 직무발명에 대한 자기 공개를 보다 적극적으로 관리 할 필요가 있다.

The Impact of the Audience's Continuance Intention Towards the Vlog: Focusing on Intimacy, Media Synchronicity and Authenticity

  • Wang, Xianya;Chang, Bye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6권2호
    • /
    • pp.65-7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s of the audience and vlog creator's self-disclosure, media synchronicity (immediacy of feedback, variety of symbol set), as well as content authenticity on the intimacy between the vlogger and the audience and continuance intention of the audience. The participants of the online survey were young Chinese females, instructed to practice their routine of watching vlog and the fixed vlog channels. By the interpersonal process of intimacy model and media synchronicity theory,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self-disclosure (audience's disclosure) and partner responsiveness (vlogger's disclosure) form the experience of intimacy in interactions. Also, the quick immediacy of feedback, rich symbol set, and content authenticity positively impacted intimacy development. Meanwhile, intimacy enables the audience to form a continuous viewing behavior. We ex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more insight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producer in online video content. In terms of the personal media influencers and MCN companies, this study is also suggests strategic implications.

중환자실 간호사의 외상성 사건 경험, 자기노출, 사회적 지지 및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Traumatic Event Experience, Self Disclosure,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 김영숙;강경자
    • 임상간호연구
    • /
    • 제27권3호
    • /
    • pp.257-266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s of traumatic event experience, self disclosure,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and their relationships. Methods: Participants were 142 nurse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3 months in six general hospitals, J province from August 7 to September 25, 2020.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program SPSS version 22.0. Results: The posttraumatic growth was found to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self disclosure (r=.23, p=.005), individual support (r=.54, p<.001), and organizational support (r=.32, p<.001). Factors influencing the participants of the posttraumatic growth were individual support (β=.46, p<.001) and organizational support (β=.21, p=.007). These factors explained 32.0% of the variance of ICU nurses' posttraumatic growth (F=14.13, p<.001). Conclusion: Efforts to support positive changes after traumatic event experience for ICU nurses are needed. We suggest to develop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supportive programs for posttraumatic growth for ICU nurs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