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ected soils

검색결과 457건 처리시간 0.03초

시설수박 연작지 토양특성에 대한 후작물 재배의 영향 (Post Harvest Cropping Impacts on Soil Properties in Continuous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Thunb.) Cultivation Plots)

  • 안병구;김대향;이진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98-107
    • /
    • 2007
  • 수박을 7년간 연작한 시설재배지 토양을 개선하기 위해 수박후작물로 옥수수, 배추, 무, 총각무, 상추, 시금치, 및 양파를 재배한 후 토양특성과 수박의 생산성 및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토양 pH는 무를 제외한 모든 후작물 재배지 토양에서 증가하였고, 토양 중 유기물 함량은 후작물 재배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상추 재배구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유효인산 함량은 시금치, 양파 재배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치환성 Ca 및 Mg은 대부분의 후작물 재배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치환성 K은 후작물 재배 후 50% 이상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수용성 음이온($Cl^-$, $NO_3{^-}$, $SO{_4}^{2-}$)과 EC는 모든 후작물 재배구에서 감소하였다. 특히 EC의 감소는K와 Ca+Mg의 비율의 감소에 의한 영향으로 보여진다. 모든 후작물 재배구에서 Bacteria/Fungi 비율이 재배전보다 증가하였으며, 수박의 고사주율은 모든 후작물 재배구에서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수박의 생산성 및 품질에 있어 후작물 재배의 영향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시설수박 연작지에서 단기윤작의 적용은 토양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Biological control of Lettuce Sclerotinia rot using Bacillus mojanvinensis Pro-EB 15 strain.

  • Bak, Joung-Woo;Kim, Hyun-Ju;Park, Jong-Young;Lee, Kwang-Youll;Gang, Jun-Ho;Lee, Jin-Woo;Jung, Soon-Je;Moon, Byung-Ju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02.2-103
    • /
    • 2003
  • This studies were investigated the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by Sclerotinia Sclerotiorum at the lettuce field in Uiryeong-Gun, Gyeongsangnam-Do and were isolated the most effective microorganism for the biological control to the pathogen, S. sclerotiorum YR-1 strain from diseased soil and lettuce leaves. For the pathogenicity test, the most suitable inoculmn density of YR-1 strain was selected as the mycelial suspension of 40m1 showing disease incidence of 80%, and the symptom showed as same as at the fields, the leaves and stem had rotten and developed white downy mycelial at the diseased lesion on the leaves and stems, and produced black and irregular sclerotinia. On the PDA dual test, about 300 isolates were examined the antifungal activity to the pathogen, YR-1 strain, and among them, A-2, A-7, and RH-4 strain were selected most effective antagonistic bacteria. At pots test, the control value of A-7 strain showed the highest value as 85% which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others in a growth chamber. For the promotion of control effect, the selected 3 isolates were spayed on the lettuce leaves as a sole and/or mixed treatments in a growth chamber, the mixed treatment of A-7 and RH-4 strain showing the control value of 90% was most effective than that of sole treatment with A-7 or RH-4 strain showing the control value of 80%, respectively and mixed treatment with A-2 and A-7 strain and A-2, A-7 and RH-4 strain. In addition, 3 bacteria re-isolated from diseased soils, and all of the selected 6 isolates investigated the control effect at pots in a growth chamber, According to the results, A-7 and Pro-EB 15 strain showed the control value of 91.0% and 90.1% respectively, and they were selected most effectual antagonistic bacteria to control lettuce sclerotinia rot and identified as the Bacillus mojanuinensis by 16s RNA analysi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biological control using by B. mojanvinensis to the lettuce Sclerotinia rot.

  • PDF

불포화토 칼럼시험을 통한 불포화토 내 강우침투속도 분석: 편마암 풍화토와 화강암 풍화토의 비교 (Analysis of Rainfall Infiltration Velocity for Unsaturated Soils by an Unsaturated Soil Column Test : Comparison of Weathered Gneiss Soil and Weathered Granite Soil)

  • 박규보;채병곤;김경수;박혁진
    • 자원환경지질
    • /
    • 제44권1호
    • /
    • pp.71-82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산사태 발생빈도가 높은 선캠브라아기 편마암 풍화토와 백악기 화강암 풍화토를 대상으로 하여 불포화 풍화토별 강우강도 및 흙의 단위중량에 따른 강우침투속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불포화 풍화토 칼럼시험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체적함수비, 간극수압 등을 TDR센서와 간극수압계를 통해 측정하였다. 현장 건조단위중량을 기준으로 느슨한 조건, 현장조건, 조밀한 조건으로 선정하고, 강우강도를 20 mm/h와 50 mm/h로 선정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강우강도 20 mm/h 조건에서 각 단위중량 조건별 편마암 풍화토와 화강암 풍화토의 평균 강우침투속도는 각각 $2.854{\times}10^{-3}$ cm/s ~ $1.297{\times}10^{-3}$ cm/s와 $2.734{\times}10^{-3}$ cm/s ~ $1.707{\times}10^{-3}$ cm/s였으며, 강우강도 50 mm/h 조건에서는 각 풍화토별로 $4.509{\times}10^{-3}$ cm/s ~ $2.016{\times}10^{-3}$ cm/s와 $4.265{\times}10^{-3}$ cm/s ~ $3.764{\times}10^{-3}$ cm/s로 나타났다. 시험결과 강우강도가 높고 흙의 단위중량이 낮을수록 평균 강우침투속도는 증가하였으며, 느슨한 조건을 제외한 모든 조건에서 화강암 풍화토의 강우침투속도가 편마암 풍화토의 강우침투속도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이는 화강암 풍화토가 편마암 풍화토에 비해서 입도가 비교적 균질하며, 단위중량이 낮고 공극율이 큰 것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비산재로 제조한 비료가 논토양 질과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y Ash Fertilizer on Paddy Soil Quality and Rice Growth)

  • 오세진;윤현수;오승민;김성철;김록영;서영호;이기석;옥용식;양재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6권4호
    • /
    • pp.229-234
    • /
    • 2013
  • 석탄회는 B, Ca 등의 식물영양소를 함유하고 토양과 유사한 성분함량을 갖고 있어 농경지 토양의 비옥도 증가 및 개량을 위한 물질로 농업적으로 활용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비산재를 과립형태로 제조하여 개량제로 시비하였을 때 논토양과 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시험구의 처리는 무처리구, 화학비료 처리구, 석탄회 시비구 2종으로 구성하였으며, 실제 농경지에 적용하였고, 벼 재배 후 토양의 특성 변화와 농작물의 수량 및 품질을 분석하였다. 벼 재배 후 개량제를 처리한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pH, EC 및 유기물 함량이 대조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유효인산, 유효규산과 치환성 칼슘, 마그네슘의 함량은 대조구(127, $23mg\;kg^{-1}$; 1.18, $0.08cmol_+kg^{-1}$)보다 증가하여 유효인산과 유효규산은 최대 149와 $27mg\;kg^{-1}$, 치환성 양이온은 1.28과 $011cmol_+kg^{-1}$으로 관행시비와 비슷한 효율성을 나타냈다. 벼의 생육 측면에서 초장, 엽색도 분얼수는 개량제를 처리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생산량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지만 등숙률, 백미중이 개량제 처리에 따라 무비구에 비해 7% 수준 증가하였다. 또한 연구에서 사용한 화학적 첨가물을 함유한 개량제의 처리는 백미 중의 성분함량 중 T-N, $K_2O$$P_2O_5$ 함량을 증가시켰으며, 질소의 공급은 체내 단백질함량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및 쌀 분석결과 유해중금속의 함량은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 안전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석탄회를 농업 측면에서 재활용할 경우 토양과 작물에 유익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연구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설재배 토양과 작물 잎 중의 미량원소 함량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Micronutrient Contents in Soils and Crops of Plastic Film House)

  • 정종배;김복진;유관식;이승호;신현진;황태경;최희열;이용우;이윤정;김종집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7-227
    • /
    • 2006
  • 본 연구는 시설재배 고추, 오이, 토마토를 대상으로 토양 및 식물체 중 미량원소 함량을 조사하여 미량원소의 적정시비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일반작물에 대한 평균적인 토양 중 적정 미량원소 함량기준과 비교하면, Fe, Mn, Zn의 함량은 조사된 대부분의 토양에서 과잉상태이었고 Cu 또한 고추 재배지를 제외하면 대부분 과잉 상태이었다. 고추 재배지에서 Cu 함량이 적정 수준이하인 토양 비율이 30%정도였다. B는 다른 미량원소에 비하여 과잉상태인 토양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고추 재배지의 경우에는 부족 토양 비율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작물 잎 중의 미량원소 함량은 원소별 또는 작물별로 매우 넓은 범위에 분포하였다. B, Fe, Mn은 대부분이 적정 함량 범위에 있었으나, Cu와 Zn은 적정 함량 이하인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농가조사에서 미량원소의 가시적인 과잉 또는 결핍 증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토양 중의 가용성 미량원소 함량과 작물 잎 중의 미량원소 함량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 작물별 또는 미량원소별로 토양중의 가용성 함량이 적정수준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잎 중의 미량원소 함량이 매우 낮은 경우도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조사된 농가별로 토양 특성이 다양하고 시비관리 및 수분관리 방법 등이 크게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대부분 농가에서 토양 중의 미량원소 함량이 과잉임을 고려하면 뿌리를 통한 작물의 미량원소 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미량원소의 흡수에 장애가 될 수 있는 다량 원소의 과다시비나 염류집적 문제의 해결을 포함한 시비 및 토양관리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토양검정과 작물체 분석 자료를 확보하여 작물생육에 기여하지 못하는 과잉의 미량원소 시비 관행의 문제점을 보다 철저히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방제가를 보였다. 초기 이병엽율이 약 16% 정도였을 때 공시약제를 처리한 결과 boscalid와 metrafenone 처리구는 각각 100% 및 97.5%의 방제가를 보였다. 그러나 triflumizole 및 fenarimol는 비교적 낮은 30.8% 및 51.6%의 방제가를 보였다. 공시약제를 흰가루병이 발생한 다음 처리한 후 이병엽을 염색하여 흰가루 병균의 균사생장과 포자형성 등을 관찰한 결과 균사가 용균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균사의 용균정도와 분생포자형성 억제 정도는 병 방제효과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을 의미한다. IV형은 가장 후기에 포획된 유체포유물이며, 광산 주변에 분포하는 석회암체 등의 변성퇴적암류로부터 $CO_{2}$ 성분과 다양한 성분의 유체가 공급되어 생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정동이 발달하고 있지 않으며, 백운모를 함유하고 있는 대유페그마타이트는 변성작용에 의한 부분용융에 의해 형성된 멜트에서 결정화되었으며, 상당히 높은 압력의 환경에서 대유페그마타이트의 결정화작용 과정에서 용리한 유체의 성분이 전기석에 포획되어 있다. 이때 용리된 유체는 다양한 성분을 지니고 있었으며, 매우 낮은 공융온도와 다양한 딸결정은 포유물 내에 NaCl, KCl 이외에 적어도 $CaCl_{2},\;MgCl_{2}$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고 있음을 지시한다. 유체의 용리는 적어도 $2.7{\sim}5.3$ kbar 이상의 압력과 $230{\sim}328^{\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시작되었다.없었다. 결론적으로 일부 한방제와 생약제제는 육계에서 항생제를 대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혈액의 성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증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trip과 Sof-Lex

Genetic Study of Soybean Sudden Death Syndrome Pathogen(Fusarium solani f. sp. glycines) isolated from Geographically Different Fields based on RFLPs of Mitochondrial DNA

  • Cho, Joon-Hyeong;J. C. Rup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43-149
    • /
    • 2000
  • From the soils of soybean fields in Cotton Branch Station (CBS) and Pine Tree Station (PTS), Arkansas, USA, various single spore isloates of sudden death syndrome (SDS) pathogen were obtained on modified Nash & Snyder's medium (MNSM) with dilution plating technique and transferred to potato dextrose agar (PDA) medium to identify the cultural colony shape. The colony shapes of these isolates resembled F. solani isolate 171 which was white and chalky shaped on MNSM and most of them had unique form of morphology which produced white margin and blue center colony on PDA. Although, some of these isolates had more dark blue or showed slightly different color, all isolates that were selected randomly for green-house inoculation assay produced typical foliar symptoms on leaves of soybean, Hartz 6686. To determine the genetic differences among the isolates, mitochondrial DNA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was conducted with fourty isolates from both fields, using mtDNA probes, 2U18 and 4U40, derived from Colletotrichum orbiculare. We obtained distinctive RFLPs in each treatment of restriction enzyme, EcoRI and HaeⅢ. Isolates, 11-2-5 and 14-3-1-1, from CBS and isolates, 104-3-1-2 and 701-1-5-1, from PTS showed different band patterns from 171 in both or in either treatment of restriction enzymes. Even if some of these isolates showed heterogeneous, they were more closer to 171 than PN603. And, also, rest of the thirty-six isolates had exactly same polymorphisms as 171 in each treatment of restriction enzyme. Although, some of the isolates showed the different morphological shape on PDA and slightly different band patterns on RFLPs, all of the isolates selected on MNSM due to their distinctive colony shape from other fungi produced the typical foliar symptoms on soybean leaves in greenhouse inoculation assay. It might be suggested that these isolates were not genetically different from check isolate 171 and they were unique strain of F. solani.

  • PDF

Trichoderma sp. GL02에 의한 고추 식물의 건조 스트레스 완화 효과 (Effect of Trichoderma sp. GL02 on alleviating Drought Stress in Pepper Plants)

  • 김상태;유성제;송재경;원항연;상미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17-430
    • /
    • 2020
  • 이상기후로 인한 건조 스트레스에 의해 식물의 기공전도도와 광합성의 감소로 생장과 작물생산량이 감소하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식물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유용 곰팡이를 선발하기 위해 국내 농경지에서 41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발아율 검사로 2종의 곰팡이를 선발하였으며, 식물검정을 통해 최종 Trichoderma sp. GL02를 선발하였다. GL02를 고추 식물체에 처리하였을 때, 대조구에 비해 기공전도도가 증가하고, MDA와 전기전도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GL02를 처리한 고추 식물체는 건조 스트레스가 완화되며, 건조 후 재관수하였을 때 회복도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GL02는 고추 식물체에 건조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유용한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추후 포장 실험을 통하여 Trichoderma sp. GL02의 건조 스트레스 완화 효과가 고추 생산량과 연관이 있는지 확인해 볼 예정이다.

밭 토양에서 분리한 방선균의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ctinomycetes Isolated in the Upland Soils)

  • 박경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94-400
    • /
    • 1992
  • 밭 토양에서 분리한 280개 균주의 방선균을 형태적 및 생리적특성으로 구분한 결과 15개 군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들 각 군들중 Streptomyces속은 12개군의 87.2% 그리고 Non-Streptomyces속은 3개군의 12.8%로 확인되었다. 또한 전체 분리균주 중 포자체의 Spiral chain형태의 Streptomyces속이 75%로서 우점하였다. Streptomyces속의 12개군을 전자현미경상에서 포자체의 표면형태를 관찰한 결과 2개군은 Spiny형태를 보였고, 10군은 Smooth형태를 갖는 것으로 동정되었다. 또한 분리 동정한 방선균 15개 군을 E. coli. P. aeruginosa 및 S. aureus의 3개 시험균주에 대하여 항균력을 검정한 결과로는 E. coli에서 S-6균주가 $6.23r/m{\ell}$이고 P. aeruginosa에는 S-9균주가 $8.46r/m{\ell}$이며 S. aureus에는 S-2균주가 $7.24r/m{\ell}$로서 다른 방선균에 비하여 가장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 PDF

농산폐자원의 미생물학적 이용에 관한 연구 (제오보) 섬유소분해효소 생산 곰팡이의 분리 및 선별 (Studies on The Microbial Utilization of Agricultural Wastes (Part 5) Isolation and Selection of Cellulase Producing Fungi)

  • 배무;김병홍;이계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05-110
    • /
    • 1976
  • 곰팡이를 이용하여 섬유소분해효소를 생산할 목적으로 전국각처에서 수집한 102종의 시료로부터 총 221주의 곰팡이를 분리하였다. 이들 분리균주의 섬유소분해능을 여과 지붕괴법 ? 액화법 및 cup method로서 1차 36균주를 선별하였고 1차 선별된 균주를 탄소원을 변경하여 배양한뒤 활성을 추정하여 2차로 15균주를 선별하였다. 15균주를 개선된 배지에서 배양한뒤 $C_1$, $C_{x}$ 및 filter paper-activity을 측정하여 최종적으로 $C_1$$C_{x}$ -Cellulase의 활성이 강한 균주인 Aspergillus sp. strain No. AS-9, Penicillium sp. strain No. KI-1-2 Trichoderma sp. strain No. KI-7-2, KI-7-5, 및 KI-4-IB을 선별하였다. 이상 최종적으로 선별된 균주중의 strain No. KI-4-1-1B 조효소액으로 ammonia 처리볏짚을 당화시킬 때 24시간 작용으로 26%가 당화되었다.

  • PDF

미생물에 의한 니코틴 분해 연구(1) -니코틴 분해세균의 분리 및 동정 (Study on the Microbial Degradation of Nicotine (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Nicotinophiles)

  • 강은희;윤경하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7-27
    • /
    • 1980
  • 143개의 여러가지 시료에서 니코틴 분해세균의 분포를 조사하고 니코틴 배지에서 생장능이 우수한 34균주를 선별하여 균주의 생물학적 특성과 니코틴 분해력을 조사함과 동시에 니코틴 분해력이 가장 우수한 균주를 선정하여 동정하였다. 니코틴 분해세균은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과 담배씨, 부리에 많이 분포되어 있었고 선별된 34균주는 Arthrobacter 4주, Pseudomonas (non-pigmented) 11주, Pseudomonas (Pigmented) 2주, Alkaligenes 6주, Chromobacter 5주, Listeria 2주, Achromobacter 4주 등으로 분류되었다. 니코틴 분해력에 있어서는, Pseudomonas와 Alkaligenes가 다른 속(genus)보다 높고, 서식지 별로 비교해 보면 담배씨와 뿌리에서 분리된 균주가 우수했으며 가장 우수한 균주는 97.l%의 분해율을 나타내는 균주번호 NCT27로서 Pseudomonas putida로 동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