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ected Separate Control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7초

태평양전쟁 말기의 수인(囚人) 동원 연구(1943~1945) -형무소 보국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bilization of Prisoners in the Late Wartime Period (1943~1945) -with a focus on the National Protection Corps of Prisoners-)

  • 이종민
    • 한일민족문제연구
    • /
    • 제33호
    • /
    • pp.67-111
    • /
    • 2017
  • This article aims to shed light on the wartime labor mobilization of prisoners on a large scale in/across colonial Korea and beyond during the late wartime period. More specifically, this article reveals the logic and mode of mobilization, and sorts out nationwide mobilization cases in colonial Korea. To this end, this article draws on documents and magazines published by the criminal administra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s well as the memoirs of prisoners and prison staff including prison administrators and prison chaplains. With the onset of the wartime system, the labor work in prisons centered on the production of military supplies. In 1943, the labor mobilization began to organize the National Protection Corps and dispatch them to remote workplaces. For example, at the requests of the military, prisoners were selected and sent to Hainan Island, while others were sent to military factories and mining field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country. The authorities specified and adjusted the criteria for imprisonment based on education, physical strength, and other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s. Unconverted ideological offenders were excluded from the mobilization, and instead put under separate control. In preparation for mobilization, the prisoners trained in military drills, received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underwent assimilation as imperial subjects through the preaching in prison. In order to induce prisoners to volunteer, a legislation system based on the shortening of the prison terms, including the parole system, was also promoted under the wartime system. As a result, prisoners were forced to work harder and faster even under the lowest of wages, poor food and poor housing conditions, and they also filled vacancies in managerial positions by serving as supervisory assistants. The reward system for them, however, did not function properly towards the end of the war, and the number of escapes and infectious outbreaks, as well as mortality rates rapidly increased under the harsh conditions.

초음파 접합 공정을 합성한 자동차용 램프 생산시스템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Automotive Lamp Manufacturing System Control Composing Ultra melting Process)

  • 이일권;국창호;김승철;김기진;한기봉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6-51
    • /
    • 2014
  • 이 논문의 목적은 자동차 램프의 초음파 접합 공정을 합성한 자동차 램프 생산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램프어셈블리를 생산할 때 독립된 단순 공정에 의해 사출과 초음파 접합, 항온풀림, 조립과 포장을 하던 분리된 작업공정을 원스텝(One-step) 일관공정으로 합성하여 초음파 접합시 발생되는 미세한 발생가스와 소음에 대하여 작업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합성 공정에 의한 에너지 저감과 이를 자동공정에 의해 생산함으로써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였다. 이 방식은 제어시스템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학적 모델링을 하였고, 이들 수식을 이용하여 플랜트의 전달함수와 필요에 따라 bode선도를 이용하여 안정성과 적합한 제어기를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출 물을 뒤집기 위한 $180^{\circ}$ 회전 제어장치는 중력의 영향으로 비선형 항 $M_{eq}\;lcos{\theta}(t)$이 나타났고, 이를 해결하기위해 피드포워드 제어기법을 적용하여 시스템의 선형화 및 안정화를 확보하였다.

전국 초등학교 급식 관리 실태조사 (Evaluation of National School Foodservice Management : Labor Control Menu Management , and Maintenance of Equipments and Facilities)

  • 정현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6호
    • /
    • pp.704-714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 and the environment of foodservice in elementary schools nationwide. A questionnaire about foodservice management to practice and foodservice operation was mailed to dietitians of each school . Of the 1, 416 schools that participated in this survey, 388 school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re schools in small cities . Education levels of dietitia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rea to area. Mean total length of employment for dietitians at school foodservice was 4.7 years and varied significantly by area and the type of foodservice system. Foodservice has been operated for 2-5 years in most of schools. Schools in large cities served more people than those in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Also , schools adapting conventional foodservice system served more people than those adapting commissary or joint management system. Foodservice expense also veried significantly by area and foodservice systems. Mean foodservice expense per mea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chools adapting commissary system than those adapting other systems. Most schools employed dietitians, cooks, and assistant cooks, but not engineers not drivers. Mothers of students were working voluntarily. The degree of participation by mothers in cooking , serving , and cleaning was higher in schools of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than those in large cities, in schools adapting commissary or joint management system than those adapting conventional system. Education and training ranked as personnel management had one of the hardest tasks. Education and training of employees were also difficult for dietitians, especially in commissary or joint management systems. Percentage of schools having separate lunchroom was higher in small cities rural areas than in large cities, in joint management or commissary system than conventional system. Most difficult matters in serving was the portion control. Over 40% of schools did not use standard recipes. Menu cycles were shorter in schools in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which adapted the joint management system than area other schools. Except refrigerators, thermos , display racks, sterilizers, sinks, worktables, and table, all other equipment were insufficient in most of schools. More than half of the schools didn't have rice cookers, flatware racks, and distributing carts which are stated plainly in detailed enforcement regulations for school foodservice. Cooking equipments were described as the most needed by dietia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urvey, many and urgent problems need to be addressed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foodservice . Lunchroom setups, effective personnel management and expenses, recipes standardization, serving size control and regular checking and repairing of equipments are all problems to be addressed.

  • PDF

물방개류 실내 사육법 (Indoor Rearing Method of Diving Beetles: Cybister japonicus, Cybister tripunctatus orientalis, Cybister brevis)

  • 김남정;홍성진;김성현;박해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7-32
    • /
    • 2012
  • 점차 희소화되는 물방개류의 서식지내 복원 및 애완곤충 등 곤충산업 소재화를 목표로 실내 사육연구를 수행하였다. 물방개류는 자연상태에서 수초 줄기에 산란하는 습성을 지니고 있어 실내에서 안정적으로 대량생산을 하기 위해서는 인공산란매트 선발이 필요하며 인공산란매트는 사육상자 밑면에 깔아준 모래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충기(2 3령) 사육에 적합한 먹이원은 연중 안정공급시 가능한 먹이로서 날오징어를 선발하였다. 실내 사육시 개체간 공식행동이 강한 유충 사육을 위해 개체 집단사육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용화매트 선발 시험을 한 결과, 흙(자연매트)을 사용할 경우 표면이 쉽게 굳어 물방개유충이 파고들어가기 힘이 들어 용화율이 12~18% 저조하였고 또한 흙 관리 강도가 높았다. 그러나 발효톱밥을 용화매트로 사용할 경우 용화율 80%로 우수하여 물방개류의 용화매트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Recycling of Fermented Sawdust-based Oyster Mushroom Spent Substrate as a Feed Supplement for Postweaning Calves

  • Kim, Min-Kook;Lee, Hong-Gu;Park, Jeong-Ah;Kang, Sang-Kee;Choi, Yun-Jai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4호
    • /
    • pp.493-499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way to prolong the storage time of sawdust-based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eratus) spent substrate (OMSS) by fermenting with potential probiotic microorganisms to recycle the otherwise waste of mushroom farms. To this purpose, lactic acid bacteria (LAB) were screened to select the best lactic acid-producing strains. Three strains of LAB (Lactobacillus plantarum Lp1', Pediococcus acidilacticii Pa193, L. plantarum Lp2M) were selected and in mixture they lowered the pH of the fermented OMSS to 3.81. fOMSS (fermented sawdust-based oyster mushroom spent substrate) could be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at least 17 days without any deterioration of feed quality based on the pH, smell, and color. In dry matter disappearance rate in situ, commercial TMR (total mixed ration), OMSS and OMMM (oyster mushroom mycelium ma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amples after 6, 12 and 24 h incubation except for 48 h. Two separate field studies were performed to test the effects of fOMSS supplement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postweaning Holstein calves. Field trials included groups of animals feeding calf starter supplemented with: Control (no supplement), AB (colistin 0.08% and oxyneo 110/110 0.1%), fOMSS (10% fOMSS) and fConc (10% fermented concentrate) and DFM (direct-fed microbials, average $10^9$ cfu for each of three LAB/d/head). Growth performance (average daily gain and feed efficiency) of the fOMSS supplemen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AB followed by fConc and DFM even 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ntrol group was lower than any other group. Various hematological values including IgG, IgA, RBC (red blood cell), hemoglobin, and hematocrit were measured every 10 days to check any unusual abnormality for all groups in trial I and II, and they were within a normal and safe range. Our results suggest that sawdust-based OMSS could be recycled after fermentation with three probiotic LAB strains as a feed supplement for post-weaning calves, and fOMSS has the beneficial effects of an alternative to antibiotics for a growth enhancer in dairy calves.

지하식 LNG 저장탱크 구조물의 온도균열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Crack Control of the In-Ground LNG Storage Tank as Super Massive Structures)

  • 권영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773-780
    • /
    • 2011
  • 이 연구는 초대형 매스 구조물인 지하식 LNG 저장탱크의 바닥슬래브 및 측벽에 타설되는 매스 콘크리트의 재료특성, 배합조건, 양생조건 및 콘크리트의 타설시기와 초기온도, 외기온 등을 고려한 온도응력 해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해석 결과를 토대로 유해한 균열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단열온도 상승시험을 통하여 수화열 관리에 유리하다고 평가된 2종류(벨라이트 시멘트+석회석 미분말)의 최적배합조건을 선정하였다. 온도응력 해석의 결과에 따르면, 바닥슬래브 2단을 제외한 대부분의 분할타설 블록에서 관통균열지수가 1.2이상을 만족하였다. 바닥슬래브 2단의 경우 균열방지 대책으로 선행냉각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콘크리트의 초기온도를 $25^{\circ}C$ 범위에서 관리할 경우에는 대부분의 타설블록에서 관통균열지수 1.2이상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바닥슬래브의 경우, 표면균열지수가 1.2이상이기 때문에 양생조건을 준수하면 표면균열을 제어할 수 있으며, 측벽의 경우에도 표면균열지수가 1.0이상을 만족하기 때문에 균열의 수 및 폭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후 유방 마싸지 및 유즙압출이 충유 및 유즙분비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for the Effect of Breast Massage and Manual Expression of the Breast before Engagement after Delivery)

  • 김원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4-91
    • /
    • 1975
  • A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reast massage and manual expression of the breast before engagement after delivery with the time of engagement, the throbbing pain in breast, the first amount of breast milk and involution of the uterus. The subjects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138 women (experimental group;69, control group :69) who were admitted to the Dept. of Obtest. and Gyneco. of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5 to June 5, 1975.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women 26.9 years ol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6 years old in the control group. As to religion, the number of those who had no religion was 58.0 percent and 62.4 percent respectively. Classified according to occupation, there were 87.0 percent in house wives of the booths group. Educational background; 87.0 percent of high school graduates or above, 78.3 percent respectively. The occupation of husband 53.7 percent of company employees stood highest and 42.0 percent respectively. In according to the grade of wards, 55.1 percent and 52.2 percent of four-men room stood highest. 2. Physical condition: Body weight before this Pregnancy(T=0.4962, N.S.), the size of breast(X²df2 = 0.1728, N.S.), the shape of nipple(X²df3 =1.3804, N.S.), hemoglobin's level of the first day after delivery(T=1.2572, N.S.), the above were showed non significa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investigator found any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f the health condition during the pregnancy, 3. The rate of no experience of breast massage during pregnancy was 85 percent and 75.4 percent (X²df1=2.2562, N.S.). 4. As to the meal during hospitalization after delivery: The booth of the groups in ordinary food took usually of meyer soup and milk(X²df8=2.5957, N.S.). 5. The relation between the first step of breast massage, second step of the manual expression of breast before engagement after delivery and time of engagement : average time of engag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2.1 days±0.8) was shortened than the control group (3.3 days±1.2). (T=-6.9045, P< 0.005). It toot less time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primipara(2.2days±0.7) than in the control group (3.1day±1.2) and it also took less time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multipara (2.0 days±0.9) than in the control group (3.5days±1.4). (Primipara T=-3.9266, 0< 0.005. Multipara T= 5.2356, P<0.005). 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tep of the massage and second step of manual expression and the throbbing pain at the time of engagem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less effect than control group (X²df4= 27.3342 P<0.005). The separate study of primipara and multipara showed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group of primipara)X²df4=20.7285, p<0.005) and little difference in the multipara group (X²df4=8.8351, p< 0. 10). 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tep of the breast massage, second stop of the manual expression and first amount of breast milk: The average amount of breast milk increased more conspicuously in the experimental group (33.8㎖±23.4) than in the control(29.8㎖±25.3) (T=0.8262, N.S.). No remarkable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espective groups that investigated in the groups of primipara and of multipara. (Primipara T=1.1467, N.S., Multipara T=-0.0354, N.S.). 8.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tep of breast massage and second step of manual expression of breast and involution of uterus : Average time needed for uttering involution was sooner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primipasa(-3.3 F.B.±1.1), than the control group of primipara (-2.5F. B.±1.2), and it was sooner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muitipara (-3.0 F. B.±l..3), than the control group of multipara(-2.3 F.B±0.9). Primipara T=-2.9272, p< 0.005, Multipara T=2.5557, p< 0.01).

  • PDF

간경변 및 간암과 혈청 구리와 아연농도와의 관련성 (Association of Serum Copper and Zinc Levels with Liver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 현명수;서석권;윤능기;이종영;이승훈;이무식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5권2호
    • /
    • pp.127-140
    • /
    • 1992
  • 현재까지도 완전히 규명되지 못한 간질환과 혈청 구리 및 아연농도와의 관련성을 밝히고, 이들의 진단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1990년 10월에서 1991년 8월 사이에 대구시 소재 모 대학병원 내과와 건강진단센터에 내원한 사람들 중에서 무작위로 선정한 정상 63명, 간경변 60명 그리고 간암 33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체내 일일 변동을 고려하여 공복시 오전 9시에서 11시 사이에 혈액을 채취하여 간기능검사의 생화학적 표지자와 혈청 구리 및 아연농도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혈청 구리의 평균농도는 대조군 $91.97{\pm}4.76{\mu}g/dl$, 간경화군 $106.21{\pm}2.73{\mu}g/dl$ 그리고 간암군 $127.05{\pm}0.77{\mu}g/dl$이었고, 대조군과 간경화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간경화군과 간암군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아연에 있어서는 대조군 $110.82{\pm}7.24{\mu}g/dl$,간경화군 $68.10{\pm}5.43{\mu}g/dl$ 그리고 간암군 $63.78{\pm}2.20{\mu}g/dl$로 나타났고, 간경화군과 간암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대조군과는 두 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Cu/Zn비는 세 군 사이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간기능검사의 생화학적 표지자들 중에 총 단백, 알부민, ALP 그리고 총 빌리루빈은 세 군 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ALT와 AST의 간경화군과 간암군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직접 빌리루빈은 대조군에 대해 간암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헐청 구리와 아연농도 그리고 Cu/Zn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표지자는 세 군에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간경화 및 간암에 대한 odds ratio는 혈청 아연농도만이 각각 0.951, 0.95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p<0.05), 혈 청 구리 농도와 Cu/Zn비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세 군에 대한 판별분석에서 구분을 위한 주요변수로 선정된 것은 알부민, ALP, 혈청 아연농도, 나이 그리고 총 빌리루빈이었고, 이를 적용하여 판별한 결과 바른구분의 백분율은 대조군 95.4%, 간경변군 73.4%, 간암군 75.7%로 총 84.0% 였다. 본 연구는 아연이 간질환에 대해 독립적으로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며, 혈청 아연농도의 측정은 간질환의 진단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 PDF

학교도서관 이용동기가 도서관 서비스품질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기반 연구 (The Influence of School Library Use Motivation on the Library Service Quality Perception: A Study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 이성인;박지홍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1-78
    • /
    • 2020
  • 최근 자기주도적 학습, 평생교육이 강조되면서 교육과정에서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학교도서관의 구조적, 제도적, 운영적 관점에서의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이 자율성 기반의 자기주도적 교육 운영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학교도서관 이용자의 자율적 내적동기와 같은 미시적인 주제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에는 어떠한 유형이 더 중요한지,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와 서비스 품질 인식이 도서관 이용자의 학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예비 연구를 기반으로 서울에 소재한 4개의 고등학교와 2개의 중학교 학생 588명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가 도서관 서비스 품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서비스 품질, 그리고 서비스 품질 요소 중 서비스 감성, 정보제어, 도서관 장소를 종속 변수로 각각 설정하였을 때, 네 가지 경우 모두 내재적 동기요인이 외재적 동기요인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을 각각 별도의 대상으로 설정하였을 때에도 두 집단 모두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서비스 품질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적용하였다는 점, 이론을 토대로 구분한 동기 유형의 영향력을 측정하였다는 점, 그리고 학교도서관 서비스 향상을 위해 미시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안구운동과 인간의 인지기능의 관련성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the Relationship of Saccadic Eye Movements and Cognition)

  • 정해인;김종배
    • 재활치료과학
    • /
    • 제5권2호
    • /
    • pp.49-55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노인의 인지기능과 안구운동 능력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1995년부터 2015년 까지 한국교원학술정보원을 통해서 확인되는 논문을 검색하였고 주요 검색용어로는 안구운동, 인지기능, 관련성, 안구 운동 프로그램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총 6편의 논문이 선정되었으며 선정된 구에서의 사용된 중재는 안구운동이다. 인지기능과 안구운동 능력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5세부터 65세 까지 인지능력에 따른 안구운동 능력은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연구에서 몇 가지 제한점이 있었다. 첫째, 대상자가 국한되어 있지않고 나이대로 나눠져 있고, 둘째, 대상자의 수가 많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을 확대하고 대상자 수를 늘리는 전향연구를 할 것이며, 장애가 있는 노인의 인지능력과 안구운동과 관련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령의 범위를 한정 짓고 조사대상수를 확대하여 수행해보고 정상군과 환자군으로 나누어 비교해 봐야 할 것이다. 고찰: 추후의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수의 대상군의 확보와 추적조사를 실시하고 치매환자 대상자에게 중재로써 사용이 가능한 지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