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ected Secondary School Students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4초

중고생의 인구학적 특성, 건강, 인터넷 중독과 약물사용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and Internet Addiction and Drug Uses among th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 이현숙;김광선;김광회;남길우;민경원;이삼순;정찬희;이홍직;박지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963-969
    • /
    • 2013
  • 본 연구는 제5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를 통해 중고생의 인구학적 특성, 건강, 인터넷 중독 요인에 따른 약물사용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첫째, 각 변인에 대한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등의 기술 통계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둘째, 각 독립변인에 따른 약물사용 여부의 차이를 고찰하고자 카이자승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인구학적 특성 요인에 있어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모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에, 가계의 경제수준이 높은 경우에, 중학생의 경우에, 성적이 낮은 경우에, 건강 요인에서는 주관적으로 건강하지 못하다고 느끼는 경우에, 주관적으로 행복하지 못하다고 느끼는 경우에, 스트레스정도가 낮은 경우에, 우울을 경험한 경우에, 그리고 인터넷 중독 요인에 있어서는 인터넷 중독인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약물사용 빈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중고생의 약물 사용에 대한 예방과 대책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초·중등 교사의 SW·AI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SW·AI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Using Text Mining)

  • 정미현;한옥영;김갑수;신승기;김재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57-6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 학생들의 기본소양을 갖추기 위한 SW·AI 교육의 중요성과 담당 교과에서 SW·AI 융합 또는 활용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판단표집 표본추출 방법으로 전국의 초·중등 교사 8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중등 교사 모두 SW·AI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학교 특성, 지역, 교육 경력, SW·AI 교육 운영 경험 여부와 상관없이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W·AI 교육을 운영하지 못하는 사유로는 업무부담과 본인의 교육 역량 부족이 높게 나타났다. SW·AI 교육 운영을 위한 필요 여건에 대한 의견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업무량 경감과 예산 지원,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연수, 콘텐츠 보급, 교과 연계 수업 확대, 시수 확보 등이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제시되어 다각적 수업 지원과 교사 역량 강화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수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통한 반성과 변화 (Reflections and Changes Through Assistant Teacher Experience For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김수진;권나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59-77
    • /
    • 2018
  • 본 연구는 교원양성기관 프로그램에서 교육실습이 아닌 형태의 현장실습을 포함한 수업을 통한 중등예비수학교사의 반성과 그 변화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정규 수학수업에서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한 중등예비수학교사 2인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2015년도 1학기 수업에 참여한 중등예비수학교사들의 학습보조교사 활동 보고서 및 간담회 등의 자료를 통해 반성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한 중등예비수학교사의 반성내용은 교사, 학생, 교과내용, 자기 자신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생에 대한 반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등예비수학교사가 참여한 수업의 형태에 따라 반성내용의 비율도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계절 변화에 대한 예비 중등교사의 대안개념의 구조 (THE STRUCTURES OF THE ALTERNATIVE CONCEPTIONS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ON SEASONAL CHANCES)

  • 오준영;박성호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69-8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예비 중등교사들을 대상으로 '계절 변화의 설명'에 대한 대안 개념과 그 개념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는 대학교 과학교육학부 2학년 23명, 3학년 23명, 그리고 4학년 28명으로 총 74명이다. 자료 수집은 지필 검사와 개별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예비 중등교사들은 계절변화 설명에 대한 과학적 개념과 불일치하는 대안 개념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거리 이론'이 그들의 설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 중등교사들이 갖는 '계절변화'의 대안개념의 구조와 근원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 개념들을 형성하는 틀 이론과 특정 이론을 집중적으로 탐색하였다. 끝으로 연구 결과와 관련된 예비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Intervention Program)

  • 김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33-43
    • /
    • 2016
  • 이 연구는 현재 교육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은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개입의 크기와 방향을 제시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분석방법으로, 개입에 대한 종합적 분석이 가능하다. 논문의 선정기준을 통해 총 33편의 연구물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33편의 연구물에서 129개의 효과크기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0.624로 나타났다. 인간특성 영역에 따라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정의적 영역, 운동적 영역, 인지적 영역, 사회적 영역, 복합적 영역 순으로 효과가 있었다. 참가자의 연령에 따른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초등학교 고학년, 고등학생, 중학생, 초등학교 저학년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개입시기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3차 예방, 2차 예방, 1차 예방 순으로 효과크기를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와 향후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중국의 초·중등학생 대상 정보보호 교재 비교 고찰 (Comparative Analysis of Information Security Textbooks for Chinese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 최은선;박남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183-192
    • /
    • 2023
  • 전 세계적으로 곳곳에서 급격하게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 속도가 매우 빨라지면서 앞으로 더 많은 정보들이 디지털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개인정보, 금융정보 등의 민감 정보가 온라인에서 전송되고 저장되는 과정에서 사이버 위협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인공지능의 발전과 디지털 전환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중국의 초·중등학생 대상 정보보호 교재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관련 교재를 수집 후 분석에 적절한 교재를 선별하였으며, 교재의 외적 체제와 내적 체제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외적 체제 분석 결과, 교재 표지는 모두 적절하게 제작되었으나, 교재 내지는 교재마다 질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초등학생 대상 교재의 경우 레이아웃, 내용 배치의 우수성이 두드려졌다. 내적 체제 분석 결과, 중국에서 제시한 '정보사회 책임' 학습 목표를 기준으로 학습 내용을 살펴보면, 다양한 내용이 고루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본 논문을 통해 정보보호 관련 교육 및 교재 개발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바란다.

중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교과 내용과의 관계 분석 (Relationships Between the Cognitive Levels of Students and Understanding of Concrete and Formal Science Content)

  • 최병순;허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32
    • /
    • 1987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understanding of concrete and formal operational science content by concrete and formal operational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physical science classes. To carry out this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junior high schools of over 2500 students, and they were identified as concrete, transitional, or formal operational using GALT(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developed by Roadrangka, Yeany and Padilla(1983). Instructional objectives were extracted from the science content taught during the second term of the academic year in the 7th, 8th and 9th grade, and they were classified as concrete or formal operational. Written test involving those objectives were constructed and administ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formal operational thought brought deeper understanding to concrete science content as well as formal science content. Differential effects by sex on understanding of both concrete and formal science content were contradictory through the grade levels. Results of multiple comparison tests suggested that students categorized as formal operational demonstrated no better understanding of concrete science content than those categorized as transitional. However, they demonstrated better understanding of formal science content.

  • PDF

중등 수학 예비교사의 미분계수 과제 변형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Modification of Derivative Tasks)

  • 김하림;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3호
    • /
    • pp.711-73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중등 수학 예비교사가 교과서의 수학 과제(Mathematical task)를 어떻게 변형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이 어떤 학습 기회를 가지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의 미분계수 단원에서 과제를 선정하고 5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과제 변형 활동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과제는 인지적 노력 수준을 유지하거나 높이는 방향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경향은 예비교사들이 미분계수의 개념적 이해를 추구하는 가운데 나타났다. 둘째, 과제 변형 활동은 예비교사들에게 다양한 학습기회를 제공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학생의 반응을 예측하는 것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으며, 협업과 반성적 사고의 기회를 가졌다.

고등학생의 지구과학 탐구능력 측정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 Test of Earth Science Inquiry Skills for High School Student)

  • 우종옥;이항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2-103
    • /
    • 1995
  • Since the late of 1960,s, the improvement of science inquiry skills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in secondary science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for evaluating science inquiry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for evaluating science inquiry skills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instrument is developed through R & D procedure, which includes two field trials of the instrument. This study has formed a clear definition of the elements of science inquiry skills (formulating a hypothesis, controlling variables, designing an experiment, numeric calculation, graphing experimental data, inference, determining relationship, determining causalities, predicting experimental results , drawing a conclusion, formulating a generalization or model), and established the goals of assessment and developed the items of assessment. The instrument, Test of Earth Science Inquiry Skills, consists of 33 items which measure 11 science inquiry skills. There are content-free items for each science inquiry skills. This study has selected 11 science inquiry skills which are considered appropriate for being evaluated by paper-and-pencil test with SIEI (Hur,1984). The content validity of items, objectivity of the scoring keys and clarity of the items were checked by six experienced specialists in science education. At the same time, the two field trials has been executed and produced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item difficulty index, and the effectiveness of distracters. The first field trial was performed using a sample of 304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second one using a sample of 872 high school students. Because the content validity is 84 % and the reliability (K-R 20) is 0.84, the developed instrument in this study is considered valid and reliable. The difficulty index is 49.4 %, answer ratio 59.1 %, the discrimination index 0.47 and the effectiveness of distracters evenly distributed, which also suffice the criteria of good instrument. The developed instrument in this study can diagnosis the well-developed science inquiry skills and the ill-developed science inquiry skills of the students, and trace the degree of the improvement of science inquiry skills.

  • PDF

중학생의 유해매체 이용과 흡연 및 음주 간의 관련성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se of Harmful Media, Smoking, and Drinking among Junior Highschool Students)

  • 문인옥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3-54
    • /
    • 2009
  • Objectives: Adolescent health risk behaviors are typically smoking, drinking, violence, and the use of harmful media.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literature are about those behaviors which was individually studied. Teenagers, however, are likely to have those behaviors simultaneously such as smoking and drinking. Also, the use of media and harmful materials are common among adolesc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of smoking, drinking, the use of harmful media. Methods: This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using the data drawn from National Youth Committee's survey of adolescent harmful environment in 2007.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7,409 students attending junior high schools between October 10 and November 20. The samples were randomly selected based on strata of geography, schools, and gender. Results: Junior high school students used the harmful media ranging from 13.9 % to 31%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a. The most accessed one was adult-only games. The current smoking rates was 5.4% and drinking rates was 27.4%.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the use of harmful media, between drinking and the use of harmful media, and between smoking and drinking. The behavioral factors that can predict the use of harmful media based 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re the grade and smoking. Conclusion: Students were at risk of engaging health risk behaviors as they were getting older. Like other literature, smoking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adolescent behavioral proble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