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ing rate

검색결과 594건 처리시간 0.02초

Seedling Stand Influenced by Water Management after Seeding and Seed Soaking with Plant Growth Regulators in Direct Wet Seeding Rice

  • Back, Nam-Hyun;Kim, Sang-Su;Kang, Si-Yong;Choi, Min-Gyu;Shin, Hyun-Tak;Kwon, Tae-Oh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25-229
    • /
    • 1999
  • Unstable seedling stand establishment of wet direct seeding culture of rice is one of the major elements preventing the extension of its culture area. In order to develop methods of seedling stand improvement in direct seeded rice on flooded surfaces, three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silty loam soil using a cultivar 'Donjinbyeo' for three years, mainly focusing on water management after seeding and seed soaking with plant growth regulators (PGRs). Under the condition of shallow flooding after seeding, seedling stand rate increased and floating seedling rate decreased in both early and normal season seeding compared to deep flooding. With earlier draining time after seeding, there was a tendency towards preferential growth of the seminal root, increase of seedling stand and decrease of the floating seedling rate. Therefore the highest seedling numbers per unit area and the lowest floating seedling numbers were found upon drainage at 1 day after seeding (DAS), while a contrary tendency was shown upon conventional drainage at 7 DAS. Seed soaking with PGRs such as Metalaxyl or mixing of Metalaxyl with gibberellic acid (GA$_3$)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eedling stand. In addition the effects of PGR treatment on seedling stand and the early growth of plants were greater under flooded conditions than under drained conditions after seeding, although draining of water after seeding improved the seedling establishment rate more when compared with the PGR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draining management after seeding or maintaining of shallow flooding for a week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seedling stand rate in wet direct seeding.

  • PDF

Effect of Tillage and Seeding Methods on Percolation and Irrigation Requirement in Rice Paddy Condition

  • Chae, Je-Che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64-268
    • /
    • 1998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larify irrigation requirement and percolation rate in rice paddy. The four rice cultural system of no-tin, till, transplanting, and direct seeding condition were treated in the lysimeter filled with sandy loam soil. The amounts of irrigation and soil percolation were measured daily, and irrigation requirement was estimated. The daily percolation was 19.5 l/$\textrm{m}^2$ in no-till direct seeding on flooded paddy surface, 17.4 l/$\textrm{m}^2$ in both of till-direct seeding on flooded surface and no-till transplanting, and 15.2 l/$\textrm{m}^2$ in transplanting plot. This is equivalent to 19.5, 17.4, and 15.2 mm per day, respectively. Highest irrigation requirement was 3,770 l/$\textrm{m}^2$ in no-till direct seeding plots. Others were 3,249, 2,577, and 2,321 l/$\textrm{m}^2$ in till-direct seeding, no-till transplanting and transplanting plot, respectively. The estimated irrigation requirement of no-till transplanting, till-direct seeding and no-till direct seeding was increased by 11, 37, and 59% compared to till-transplanting plot. Percolation rate of no-till transplanting, till direct seeding and no-till direct seeding was increased by 12%, 40%, and 66%,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till-transplanting plot. The percolation rate in paddy soil was increased greatly after reproductive stage of rice.

  • PDF

Farm-level Assessment of Rice Direct-Seeding Practices in Chonbuk Province

  • Dong Kyun;Song Joong;Jung Ke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335-338
    • /
    • 2000
  • The technology of direct-seeding in rice cultivation is an innovation mainly induced by factors in market economy and is rapidly diffused among individual farmhouses. Because the effect of technology can be affected by many factors under various farming circumstances, the impact and stability of the direct-seeding technology compared with transplanting was analyzed under various topographical regions. Yield in direct-seeding was higher in plains, although the farm size producing higher yield was quit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opographical regions. In the direct-seeding cultivation of rice, man-labor hours was reduced by about 38 percent and the reduction rate showed little difference among topographical regions. Fertilizer was used about 11 percent more but the increase rate varied from 3 to 17 percent depending on regions with higher rates in plains. Application of agricultural chemicals was also increased about 9 percent in direct-seeding, but the increase rate was as high as 12 percent in suburbs. More fertilizer and agricultural chemicals were used in direct-seeding cultivation by farmhouses implementing both direct-seeding and transplanting than by those implementing direct-seeding only. Use of more fertilizers and agricultural chemicals in direct-seeding in all regions may indicate its technical instability. Major problems causing the technical instability of direct-seeding cultivation should be solved by comprehensive research considering various farming circumstances such as topographical features rather than just a top-down style research and extension.

  • PDF

파종량이 답리작 호밀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Rate on Forage Yield and Feed Value of Rye in Paddy Field)

  • 김창호;채제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13-520
    • /
    • 1991
  • 충남 예산에서 호밀을 답리작으로 재배할때 파종량과 예취기간가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량이 많아질수록 호밀의 초장과 단위면 적당 경수는 증가하였으며 건물률은 감소하였다. 2. 청예 및 건물수량은 파종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예산에서 청예수량이 가장 높았던 예취기는 5월 15일, 건물수량이 가장 높았던 예취기는 5월 25일 이었다. 3. 파종량이 많을 수록 그리고 예취시기가 늦을수록조단백질, 가급태단백질 및 가소화단백질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반면에 조섬유함량(ADF와 NDF)은 증가하였다. 4. 파종량이 많을 수록 그리고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총가소화영양분(TDN) 함량과 상대적 사료가치는 감소하였다. TDN 수량은 파종량 18-28kg/10a, 5월 15-25일 수확시 가장 높았다. 5. 호밀의 에너지 함량은 파종량이 많을수록 그리고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나, 단위면적당 에너지 생산량은 ENE와 NEL은 23kg/10a 파종-5월 15일 수확할때, NEM은 18kg/10a 파종-5월 15일 수확할때 가장 높았다. NEG는 18-28kg/10a 파종-5월 5일 수확할 때 가장 높았다.

  • PDF

대맥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관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Studies on Yield and Yield Components in Barley)

  • 박정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8권
    • /
    • pp.88-123
    • /
    • 1975
  • 본 연구는 대맥의 다수확 재배기술 개선의 기초자료를 얻고져 작물시험장(수원) 맥류포장에서 수원18호를 공시하여 1969년부터 1970년까지 2개년간 시비량, 파종기 및 파종량을 달리 하여 이들 처리가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형성과정을 추구하였으며 또한 수원18호외 7품종을 공시하여 파종기이동에 따른 품종들의 수량 및 수량 구성요소의 변화를 검토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원에서 대맥 수원 18호의 출현이수는 파종기 (9월 21일에서 10월 31일까지)에 따라 8~19일정도 소요되었고 조파할수록 빠른 경향을 보였으며 대체로 지중 5cm의 적산온도가 15$0^{\circ}C$내외면 출현하였다. 2. 파종기에 따른 냉해정도의 차이는 월동기간의 대맥 생육정도와 기상조건의 영향이 크며 월동전 생육이 과도하거나 주간출엽수가 5~6엽에 미달되면 냉해에 약하였다. 3. 주간출엽수는 파종기에 따라 11매로부터 16매까지 변화하지만 대체로 원동전 주간출엽수의 차이가 심하고 원동후 주간출엽수의 차이는 적으며 특히 9월 21일 파종부터 10월 11일 파종까지의 주간출엽수의 차이는 월동전 주간출엽수의 차이에 의하여 나타났다. 4. 월동전 지상부 건물생산량은 조파구에서 많고 만파할수록 적었으나 월동후에는 파종기에 따른 지상부 건물생산량의 차이가 적었으며 생육 재생기부터 출수기까지는 건물생산량이 급증하고 등숙기간에는 증가율이 낮았다. 5. 1$\m^2$당 경수는 대체로 조파한 것이 만파한 것보다, 후파한 것이 박파한 것보다 많았다. 개체당 분얼은 후파할 때는 적고 파종기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였으나 박파하였을 때는 파종기에 따른 변이가 컸다. 조파에서는 파종량이 많아 질수록 개체당 분얼수가 현저히 감소되나 만파시에는 파종량의 영향이 적었다. 6. 최고분얼기는 조파할 경우에 일찍 오고 만파할 경우에 늦게 오며 파종량에 따른 차이가 크지는 않았으나 대체로 파종량이 많을수록 빨리 오는 경향이었다. 7. 분얼최성기는 파종기에 관계없이 주간출엽수가 4~6매일 때이었다. 8. 1$\m^2$당수수는 해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시비량이나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많아졌으며 시비량과 파종량을 함께 증가할 때에는 수수의 확보가 용이하고 이러한 경향은 특히 적기파종에서 컸다. 또한 많은 수수를 확보하는 데는 적기 파종이 파종량 증가보다 중요하고 만파시에는 파종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하였다. 9. 품종별 파종기에 따른 1$\m^2$당 수수는 대체로 모든 품종에서 만파할수록 감소되었으나 수원18호, 여기, 항미, 부흥는 수원 004, 수원006 칠보 및 영월 6각보다 만파에 의한 감소율이 적었다. 10. 1$\m^2$당 수수와 1$\m^2$당 경수와의 상관 관계를 보면 9월 21일 파종에서는 출수기부터, 10월 1일 파종에서는 월동전에, 10월 11일 파종부터 10월 31일 파종까지는 전 생육기간에서 대체로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3월 하순부터 4월 상순까지는 어느 파종기에서나 상관정도가 낮았다. 11. 유효경 비율은 파종기 및 파종량에 따라 33~76%까지의 넓은 변이폭을 보였으며 50%정도에서 수량이 가장 높았고 파종량에 따른 변이폭보다 파종기에 따른 변이폭이 컸다. 또한 조파에서 유효경 비율이 낮고 만파일수록 높아 가는 경향이었으며 파종량이 증가하면 유효경 비율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품종별로는 수원18호, 항미, 여기 및 부흥는 유효경 비율이 높으며 이들 품종들은 만파할 경우의 증가율이 컸고 칠보, 수원004, 수원006, 영월6각은 유효경 비율이 낮고 만파에 의한 증가율도 낮았다. 12. 1수립수는 어느 경우에나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파종기에 따라서는 10월 21일(1969), 10월 1일(1970)파종에서 1수립수가 가장 적었으며 이보다 조파하거나 만파할수록 증가하였다. 한편 품종별로는 파종기에 따른 경향이 일정하지 않았다. 13. 천립중은 1$\m^2$당 수수와 1수립수에 비하여 시비량, 파종기 및 파종량 차이에 따른 변이폭이 작았으나 년차변이는 컸으며,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천립중은 다소 감소하였다. 품종별로는 차이가 뚜렷하여 부흥과 칠보는 대체로 무거웠고 수원18호, 항미 및 여기는 비교적 가벼웠다. 14. 수원지방의 파종적기는 10월 1일~10월 11일로 인정되었고, 시비량 증가에 따라 수량은 대체로 증가하였으며 조기 파종시의 수량감소를 비료증가로 다소 경감시킬 수 있었다. 15. 파종량 차이에 따른 수량의 변이폭은 시비량이나 파종기차이에 따른 변이폭보다 비교적 적었고, 조파나 소비조건에서는 파종량 차이에 따른 수량 변이가 미미하였다. 또한 파종량은 증가시킬 경우 증비의 효과가 크며 만파시에는 파종량의 증가로 수량의 심한 감소를 보상할 수 있었다. 16. 적정 파종량은 시비량 증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10a당 시비량 10.5-6.6kg 수준에서는 10a당 파종량을 18~26$\ell$까지 증가시키는 것이 수량의 안정을 기할 수 있었다. 17. 파종적기는 품종별로 다소 달랐으며, 수원006 수원004 및 부흥은 비교적 조기 파종에서 증수되었고 수원18호, 여기 및 항미는 19월 1일경 파종에서 증수를 보였으며 부흥은 만파 적응성이 높았다. 18. 수량과 수수와는 모든 처리에서 고도의 정상관을 보였는데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상관이 높아졌고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수량과 수수의 상관은 낮았다. 수량과 1수립수는 대체로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천립중과 수량과는 상관 정도가 낮았다.

  • PDF

삼차망 청보리와 사료용 완두의 혼파재배가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ed Sowing Ratios Between Whole Crop Barley with Hooded Type and Forage Pea on the Forage Yield and Quality)

  • 주정일;박종민;이정준;김창호;구한모;오태석;이효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71-178
    • /
    • 2009
  • 본 연구는 청보리와 월동 콩과작물인 사료용 완두와의 혼파재배를 통해 사료작물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작부체계로서의 혼파비율을 구명하고, 조단백질, ADF, NDF 등과 같은 사료가치와 수량을 만족하는 적정한 혼파비율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청보리와 사료용 완두를 혼파재배하였을 때 청보리의 생육특성에서 출수일과 초장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청보리의 경수는 사료용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감소하였지만, 사료용 완두의 개체수는 증가하였다. 청보리의 도복지수는 $0{\sim}3$의 분포로 나타냈는데, 그 중 사료용 완두의 혼파 없이 청보리 20kg/10a만을 파종하였을 때에 도복지수가 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료용 완두의 생육특성에서 월동률은 모든 파종구에서 90% 이상의 월동률을 보였고, 완두의 초장은 청보리의 파종량에 상관없이 사료용 완두의 파종비율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청보리와 사료용 완두를 혼파재배하였을 때 생초수량은 청보리 14kg/10a 파종구와 20kg/10a 파종구 모두에서 10a당 3,000kg 이상의 수량을 나타냈으며 사료용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 건물수량은 생초수량과는 반대로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청보리 20kg/10a만을 단일 파종하였을 때 1,266 kg으로 가장 많은 건물수량을 나타냈다. 청보리와 사료용 완두의 혼파 재배했을 때, 조단백질, ADF 및 NDF 함량은 사료용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RFV는 청보리만을 14 kg/10a 파종구에서 183.8로 가장 높았으며 사료용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표준화 점수의 크기로 본 가장 적합한 혼파조합은 청보러 20 kg/10a와 사료용 완두 7.5kg/10a 혼파 조합이 2.309로 가장 좋았고, 그 다음으로는 청보리 20kg/10a와 사료용 완두 5.0kg/10a 혼파구가 좋았으며 청보리 14 kg/10a 파종구에서는 청보리 14kg/10a와 사료용 완두 10.0 kg/10a를 혼파한 파종구가 0.354로 좋게 나타난 것으로 유추하여 보면 청보리 20 kg/10a에 사료용 완두를 7.5kg/10a를 파종하는 것이 생산성과 사료가치측면에서 합리적인 혼파비율로 판단되었다.

사면 녹화 공사용 자생목본식생의 파종 적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eding Timing of Native Woody Plants for the Slope Revegetation Works)

  • 김남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3-81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hydroseeding timing of woody plants. Five native plants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and were seeded on the cut slopes by hands in April, May, June, September and October. In order to identify the best seeding time, germination percentage, ground cover rate and plant height were investigated. There was a difference in germination percentage and ground cover rate depending on the seeding time.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Characteristics of germination : Seeding was best carried out in spring(May, June) or autumn(September). In spring, Lespedeza cyrtobotrya shows quick germination and rapid growing which can be compared with herbaceous plants using in the hydroseeding. As for Pinus thunbergii,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germinatin according to different seeding timing. But Evodia daniellii, Parthenocis년 tricuspidata and Alnus hirsuta seem to need seed treatments to improve the seed germination. 2. Ground cover rate : The most rapid growing plant is Lespedeza cyrtobotrya and the next is Amorpha fruticosa. The other plants show extreamly low ground cover rate, so they seem to be surpressed by herbaceous plants which will be mixed for erosion control. 3. Plant height : On 8 weeks later after seeding, the Lespedeza cyrtobotrya which was seeded in June recorded 17.1cm plant height. It will be enouch height to compete with herbaceous plants. As the Parthenocissus tricuspjdata seeded in May shows 27cm plant length, it can be used more frequently on seeding works if the seed germination were improved. In sum, seeding is best carried out in May. When deciding seeding rate for the purpose of hydroseeding, it will be necessary to adjust the woody plants germination percentage according to seeding timing.

  • PDF

제주조의 파종량 차이에 따른 생육반응, 수량성 및 사료가치 변화 (Effects of Seeding Rate on Growth Characters, Yield Potential and Feeding Value in Jeiu Italian Millet)

  • 조남기;고동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71-276
    • /
    • 2003
  •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파종량 차이(6, 9, 12, 15, 18kg/ha)에 따른 제주조의 생육반응, 수량 및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 5월1일부터 8월 25일까지 수행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출수기까지의 일수는 89일에서 96일로 파종량이 많을수록 지연되었다. 초장은 6kg/ha 파종에서 128cm 였으나 파종량이 12kg/ha로 증가됨에 따라 148cm로 커졌고 그 이상으로 파종량을 증가시킬수록 초장은 작아져서 18kg/ha 파종에서는 131cm였다. 경직경, 엽수, 마디수 및 엽폭은 파종량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엽장은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파종량이 6kg/ha에서 12kg/ha로 증가됨에 따라 생초 수량은 35.93MT/ha에서 54.83MT/ha로, 건물 수량은 10.49MT/ha에서 17.43MT/ha로, 단백질 수량은 0.94MT/ha에서 1.79MT/ha로, TDN 수량은 5.33MT/ha에서 9.27MT/ha로 증가되었다 가 그 이상으로 파종량을 증가시킬수록 단백질 수량과 TDN 수량은 감소되었다 파종량이 6kg/ha에서 18kg/ha로 증가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9.0%에서 12.01%로, 조지방 함량은 1.3%에서 1.8%로, 가용무질소물은 45.6%에서 47.8%로, TDN 함량은 50.8%에서 55.0%로 증가되었으나 조섬유 함량은 35.2%에서 30.0%로, 조회분 함량은 8.8%에서 8.4%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제주조의 사초수량을 최고로 올릴 수 있는 적정 파종량은 12kg/ha로 추정할 수 있었다.

Effect of Seeding Time on Fatty Acid Composition, Oil Contents and Seeds Yield in Flax

  • Choi, Hong Jib;Park, Shin Young;Kim, Sang Ku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00-706
    • /
    • 2012
  • Influences of different seeding dates on growth, seed yield, fatty acid composition and oil content were investigated in flax plants for two yea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lant height in early seeding date was higher than that of delayed seeding dates during first season. Furthermore, seeding date also significantly affected the ripened seed rate and the rate increased with the delay in seeding date in first season. Seed yield in the first crop seas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econd crop season. Palmitic acid showed variation in different seeding dates. Contrarily, stearic acid was stable and did not changed by different seeding dates. Linolenic acid was found in highest amount in all seeding dates consecutively in two cropping years. Highest oil content was recovered from the seeds of flax sown at 29 Apr. and May 9 in first and second cropping year respectively.

파종시기 및 파종량이 헤어리 벳치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Dates and Rates on the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

  • 김종근;정의수;김맹중;서성;이종경;김종덕;서종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22
    • /
    • 200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eding dates and rates on the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 at experimental field of Grassland and Forage Crops Divisio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Suwon from 1999 to 2000. The experimental design was consisted of split-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main plot was seeding dates(25 Aug., 15 Sep. and 5 Oct.) and the subplot was seeding rates(20, 30 and 40 kg/ha). Late seeding dates increased the plant height and delayed the flowering stage as 1 or 2 days. The dry matter(DM) content was decreased with low seeding rates, and the trend was same in the all plots. Average crude protein(CP) content was $24.1\%$ and increased with delayed seeding date and lower seeding rate. The content of acid detergent fiber(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NDF) was increased with higher seeding rate, but seeding date did not affect.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IVDMD) of hairy vetch tended to decrease with high seeding rate,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TN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eeding rates. Average relative feed value(RFV) of hairy vetch showed 140 which means very high quality. Dry matter and CP yield was decreased with delayed seeding date.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s indicated that seeding in middle-August with 40 kg/ha would be recommended to produce the highest yield and quality f3r the cultivation of hairy vetch in middle part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