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treatments

검색결과 597건 처리시간 0.027초

건조방법과 건조중 광질처리가 박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Germination of Gourd Seed Affected by Drying and Light Quality Treatments during its Period)

  • 강진호;강신윤;이상우;윤수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20
    • /
    • 2003
  • 발아율을 높이기 위하여 처리된 종자는 판매를 위하여 건조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는 파종전 처리된 박 종자의 발아율을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건조방법을 강구하고자 용자대목과 궁합을 공시재료로 건조방법, 건조 및 발아 과정에서 처리되는 광질과 온도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자처리가 이루어진 박 종자는 $35^{\circ}C$에서 10시간 건조할 경우 처리 직전의 수분함량에 도달하였으며 건열 소독된 종자와 발아율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2) 파종전 처리된 박 종자는 암상태에서 건조하는 것보다는 적색광을 조사하면서 건조할 경우 초기발아율이 높았으며 적색광의 처리효과는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적색광을 처리하면서 건조된 박 종자의 발아율은 발아과정에서 초적색광 처리로 현저히 억제된 반면, 적색광 또는 암상태에서는 치상 후 2일까지의 초기발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암상태보다는 적색광 처리를 통하여 건조된 박 종자의 발아율은 발아온도 10 또는 $20^{\circ}C$에 비하여 고온인 3$0^{\circ}C$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칠레 야생화의 발아율에 미치는 광조건 그리고 $GA_3$, $KNO_3$ 처리 효과 (Effect of Light, $GA_3$, $KNO_3$ Treatments on the Germination of Chilean Wild Flower)

  • 최인이;이동준;이경수;손진성;최경;박광우;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5-49
    • /
    • 2012
  • 칠레산 야생화 종자는 발아율이 낮고, 종자의 등숙 정도가 불량하다. 이에 본 연구는 광조건 그리고 $GA_3$(50mg/L, 100mg/L, 200mg/L)와 $KNO_3$(0.1%, 0.2%, 0.4%) 처리가 5종의 칠레산 야생화 종자의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광조건 실험에서 $Schizanthus$ $candidus$, $Schizanthus$ $hookerii$, $Schizanthus$ $litoralis$ 종은 명조건에서는 발아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GA_3$$KNO_3$ 처리에서는 $Mimulus$ $luteus$, $Schizanthus$ $candidus$, $Schizanthus$ $hookerii$ 종은 $GA_3$-200mg/L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각각 2.3배, 5.6배, 3.2배의 발아율 증가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Rhodophiala$ $ananuca$ 종은 $GA_3$-50mg/L 처리구에서 다소 높은 발아율을 나타냈다. 발아율이 낮은 칠레산 야생화 종자의 발아 촉진에는 식물 종자의 휴면타파의 효과가 있는 $GA_3$ 처리가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침종 이후의 Aeration 기간과 온도에 따른 숙주나물의 생장 (Effects of Aeration Period and Temperature after Imbibition on Growth of Mungbean Sprouts)

  • 강진호;류영섭;윤수영;전승호;조숙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472-476
    • /
    • 2004
  • 콩나물 세근 발생 억제용으로 고가의 BA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BA처리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aeration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BA 용액에 침종된 종자(금성녹두, 어울녹두, 중록1호)를 aeration 기간(1, 2, 3, 4시간)과 온도(20, 30, $40^{\circ}C$)를 달리하여 처리한 후 6일간 재배된 숙주나물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침종 직후부터 첫 관수까지의 aeration기간과 온도에 따른 숙주나물의 생장과 형태는 처리기간의 영향을 크게 받는 반면, 온도의 영향은 아주 미미하였다. 2. Aeration 기간 따른 하배축 길이별 비율에서 중록 1호는 타공시품종에 비하여 7cm 이상의 비율에서 가장 높았고 처리기간간 차이가 거의 없었던 반면, 금성녹두와 어울녹두는 상품화가 가능한 4cm이상의 비율에서 처리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되었으며, 비정상개체의 비율은 이와 정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3. 세근발생 비율과 개체당 세근수는 aeration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되었으나 aeration기간이 3시간에서 4시간으로 늘어날 경우 감소 정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Aeration기간이 길어질수록 자엽 바로 아래 부분의 하배축 직경이 굵어지고 뿌리 길이는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하배축의 길이와 중간부분의 직경은 aeration기간간에 차이가 없었다. 5. Aeration기간이 길어질수록 하배축의 생체중은 증가하였으나 개체당 전체 생체중은 aeration기간간에 차이가 없었다.

큰달맞이꽃 종자(種子)의 암발아(暗発芽)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요인(要因) (Factors Affecting Dark Germination of Oenothera lamarckiana Seeds)

  • 김진석;황인택;홍경식;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57-264
    • /
    • 1987
  • 큰달맞이꽃 종자(種子)의 발아(發芽)에 관계 되는 광(光)이외의 주요인자(主要因子)들을 알기 위하여 일차적(一次的)으로 암발아(暗發芽)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요인(要因)들을 조사(調査)하여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여러가지의 물이적변화유기처리(物理的變化誘起處理)는 항온(恒溫) 암조건(暗條件)에서 발아(發芽)되지 않았던 종자(種子)의 암발아(暗發芽)을 유기(誘起)시켰다. $15{\sim}40^{\circ}C$의 항온(恒溫)에서는 암발아(暗發芽)되지 않았으나 $4^{\circ}C$의 저온(低溫), $-10^{\circ}C$의 냉동 또는 $80^{\circ}C$의 고온처리(高溫處理)에서는 암발아(暗發芽)가 유기(誘起)되었다. 변온(變溫)은 암발아(暗發芽)를 유기(誘起)시켰으며 $10{\sim}25^{\circ}C$ 범위(範圍)에서는 적어도 $5^{\circ}C$ 이상의 변온폭(變溫幅)을 요구하였다. 변온에 대한 종자(種子)의 감응(感應)은 치상후 1~2일째 이루어졌다. $GA_3$, IAA, BA, Ethrel은 암발아(暗發芽)에 유기효과(誘起效果)가 없었으나 Thiourea 처리는 1.0% 농도처리에서 40%의 암발아(暗發芽)를 유기(誘起)시켰다.

  • PDF

고정화된 Pantoea agglomrans와 인광석의 복합처리가 벼의 생육 촉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mobilized Cells of Pantoea agglomerans on Growth Promotion of Rice(Oryza sativa L.) in the Presence of Rock Phosphates)

  • 정희경;류정현;이형석;박명수;;;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1-45
    • /
    • 2004
  • 충북지역의 근권 토양으로부터 선발한 인산가용화 균인 Pantoea agglomeraans와 인광석을 복합처리하여 벼(Oryza sativa L.)의 생육 및 인산 흡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온실내에서 실험하였다. 본 실험은, 종자에 박테리아를 적용시킨 것(bactenzation), 독립 세포 및 고정화된 세포(immobilized cell)를 접종시킨 후, 인광석 1 g과 2.5 g을 각각 시비한 6처리구와 무처리구로 나누어 비교 실험하였다. 인산가용화균을 접종한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하여 벼의 생육 및 인산 흡수량을 증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1 g의 인광석과 고정화된 Pantoea agglomerans를 접종한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Pot 충진물내의 유효인산 농도 또한 미생물 접종 처리구에서 증가하였으며, 벼에 흡수된 전인산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성립함을 알 수 있었다.

크롬이 무의 생육과 흡수이행에 미치는 몇가지 요인 (Several Factors on Growth of Radish and Absorption and Translocation of Chromium)

  • 한강완;조재영;유영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0-376
    • /
    • 1997
  •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는 채소중의 하나인 무를 실험종으로 선택하여 토양중 크롬의 농도, 토양 pH, 공존중금속 첨가, 복토, 유기물처리의 요인을 변수로 하여 무의 생육상태 및 무에 의한 크롬의 흡수이행량 차이를 조사하였다. 무종자의 발아율은 크롬농도 50mg/kg에서는 발아에 영향이 없었으나 100% 이상이었으며, 250mg/kg에서는 63% 정도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토양중에 처리된 크롬농도가 증가할수록 무의 초장, 근장, 건물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크롬농도 100mg/kg 까지는 대조구와 비슷하게 생육하였으나 크롬농도 250mg/kg에서 건물량의 약 45%의 생육저해가 나타났다. 토양 pH가 증가함에 따라 무로 흡수이행되는 크롬의 함량이 감소하는 역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줄기: $r=-0.803^*$, 뿌리: $r=-0.840^*$) Fe, Zn, Cu와 같은 공존이온 첨가시 무의 생육 및 흡수이행되는 크롬함량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줄기, 뿌리 P>0.1). 복토, 유기물처리를 하였을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생육상태가 진전되었으며, 복토처리시 무로의 흡수이행량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에 유기물 처리시 무로 흡수이행되는 크롬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

인공산성우가 몇 침엽수종의 종자발아, 생장 및 침엽에 미치는 영향(2) (Effects of Artificial Acin Rain on Seed Germination, Growth and Needle of Several Conifers(2))

  • 김갑태;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21
    • /
    • 1993
  • 소나무, 곰솔, 젓나무 및 독일가문비를 대상으로 인위적으로 산도를 조절한 인공산성우(PH 3.0, 4.0 및 5.0)와 지하수(pH 6.5)를 1991년 4월부터 1993년 8월까지, 생육기간 중에는 주 2~3회, 겨울철은 주 1회 1회 5mm의 강도로 처리하였다. 인공산성우를 처리하면서 수종별 발아 및 득묘율, 토양산도, 유묘의 생장 및 접촉각(contact angle)을 조사.비교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묘목의 생장관련 형질(묘고, 지하부, 엽량 및 개체당 건중량)의 경우에는 산성우처리 초기에는 산성우 처리가 양료로서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수종별로 상이한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처리가 2년 이상 지속된 3차년도에서는 처리산성우의 산도수준이 높을수록 모든 수종에서 생장관련 형질들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토양완충력의 한계 이상으로 투하되는 산집적에 의한 결과로 판단된다. 엽피해율이나 엽량(낙엽율)등의 자료는 처리산성우의 산도수준과 관련지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산성우 피해의 조기판단 기준으로 사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산도는 처리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침엽의 표면과 물방울이 이루는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 처리산성우의 산도수준이 높을수록 엽령이 높을수록 접촉각의 크기는 낮아졌다. 접촉각을 측정비교하는 방법은 야외에서 침엽수류에 대한 산성우 피해의 조기판단을 위한 알맞고 훌륭한 기준이라 판단된다.

  • PDF

Leucaena Seeds as Protein Supplement in the Rations of Growing Sheep

  • Singh, Sultan;Kundu, S.S.;Negi, A.S.;Gupta, S.K.;Singh, N.P.;Pachouri, V.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0호
    • /
    • pp.1433-1438
    • /
    • 2002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leucaena seeds as a protein replacement of mustard seed cake (MSC) in the concentrate mixture of growing lambs. Fifteen owing male lambs (Local${\times}$Corridale)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16.3 kg were allocated into three dietary treatments (T1, T2, and T3) with five animals in each group. Animals were offered dry mixed grass, berseem hay and concentrate mixture to meet their nutrient requirements. In concentrate mixture of T1, (Control) MSC was used as protein source, while in T2 and T3 groups, 25 and 50% of MSC was replaced by leucaena leucocephala seeds. On completion of three months (90 days) of feeding, a digestion cum-metabolism trial was conducted to determine DMI, nutrient utilization, and nitrogen balance. Changes in body weight were recorded at 15 day internals and eating patterns were recorded for 3 consecutive days at the end of the feeding trial. MSC had higher CP contents than leucaena seeds (27.0%). Mimosine contents in leucaena seeds were 1.1 compared to 0.2 and 0.4% in concentrate mixture of T2 and T3 group, respectively. Dry matter intake varied non-significantly ($79.3{\pm}1.2$ to $83.4{\pm}1.3g/kg$ $w^{0.75}$) across the dietary treatments. Digestibility of DM and cell wall polysaccharides (NDF, ADF. Cellulose and hemicellulose) were comparable, however CP digestibility was relatively lower in leucaena luecocephala seeds based groups (T2 $45.5{\pm}1.7$ and T3 $46.7{\pm}3.5$) compared to MSC supplemented group (T1 $47.7{\pm}0.9%$). The growth rate of lambs was non-significantly higher in T1 ($79.2{\pm}5.4$) compared to T2 ($73.8{\pm}8.8$) and T3 ($73.9{\pm}7.0$), respectively. The animals were in positive nitrogen balance and N-balance varied from 1.8 to 2.9 g/d across treatment groups. The eating rate (% of total offered) of concentrate up-to 15 min was relatively higher in T1 (82.4) than T2 (74.2) and T3 (77.8%). However no effect of leucaena seeds was recorded on total DMI of animal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inclusion of up to 50% leucaena seeds, as protein source in concentrate mixture of lambs had no adverse effect on DMI, nutrient utilization, eating patterns, nitrogen balance and growth performance of lambs.

부산석회를 활용한 휴ㆍ폐 석탄광산 폐기물의 안정화 및 식생복원 (Reclamation of the Closed/Abandoned Coal Mine Overburden Using Lime wastes from Soda Ash Production)

  • 김휘중;양재의;옥용식;유경열;박병길;이재영;전상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37-47
    • /
    • 2004
  • In Korea, over three hundreds of the coal mines were closed or abandoned due to the depression of the mining industry since the late 1980s. Many of them locate in the steep mountain valleys and the coal mine wastes had been disposed without a proper treatment From these mines, enormous amounts of coal mine overburdens have been abandoned in the slopes and the ample amounts of acid mine drainage (AMD) from either portal or overburdens have been discharging directly to the streams, causing the detrimental effects on soil and water qualities.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reclaim the coal mine overburdens using the lime waste cake from the soda ash production by stabilizing the overburden slopes, introducing the vegetation alleviate th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the closed coal mines. The percentages of the grass distribution ratio (%) and the surface coverage ($\textrm{cm}^2$) in each treatment plot were determined during June to August after seed spraying grasses such as orchard grass (Dactylis glomerata L),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and Eulalia (Miscanthus sinensis Anderss) at the end of May. The grasses covered only 15.5 % of the coal overburden plot at the early stage but the coverage was increased with time to 33% in August. Growth of such grasses was enhanced with the combined treatments of lime waste and topsoil resulting in the increased surface coverage by the grasses. The Increment of the surface coverage from June to August was higher with lime waste treatments. The distribution percentages and surface coverage were highest when the lime wastes were treated at 25 % of the lime requirement. This might be related with the high salt contents in the hire wastes.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amounts of lime wastes at 25% of the lime requirement were sufficient for neutralizing the acidic coal overburden and introducing the re-vegetation. Either layering between the coal waste and topsoil or mixing with coal overburdens could be adopted as the lime waste treatment method. The combined treatment of lime wastes and topsoil was recommended for re-vegetation in the coal overburden slopes. The lime wastes from the soda ash production might have a potential to be recycled for the reclamation of the abandoned coal mines to alleviate the environmental problems associated with coal mine waste.

  • PDF

땅콩의 근류형성(根瘤形成)과 질소고정(窒素固定)에 대한 근류균(根瘤菌) 접종방법(接種方法)의 영향(影響) (Nodulation and N2 Fixation in Groundnut as Affected by Inoculation Method)

  • 김무기;소재돈;박건호;최대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7-88
    • /
    • 1992
  • 항생제 내성 변이균주 JB7 $nal^rspe^r$와 CB756 $str^rrif^r$을 이용하여 살균하지 않은 밭토양에서 접종방법이 근류균의 증식과 근류형성 및 질소고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JB7 $nal^rspe^r$균주(菌株)를 종자당 $10^2$에서 $10^8$세포수준으로 접종(接種)했을때 접종농도(接種濃度)의 증가와 함께 근류형성(根瘤形成)이 증가하였다. 접종방법별(接種方法別)로는 YMB배양 액체접종(液體接種)이 Peat slurry나 Peat입자(粒子) 접종(接種)보다 더 많은 근류(根瘤)를 형성(形成)했고, Peat slurry와 입자(粒子) 접종간(接種間)에는 차이가 없었다. 토양(土壤) g당 $10^3$ 세포(細胞)의 근류균(根瘤菌)을 함유(含有)하는 토양(土壤)에 JB7 $nal^rspe^r$와 CB756 $str^rrif^r$을 혼합(混合)하여 접종(接種)했을때 모든 근류(根瘤)가 접종균(接種菌)에 의하여 형성되었으며, JB7 $nal^rspe^r$균주(菌株)에 의한 근류점유율이 월등히 높았다. 품종간에 근류점유율의 차이는 없었다. 접종균류(接種菌株)는 근권에서 점진적으로 증식되었으며, JB7 $nal^rspe^r$가 더 큰 폭으로 증가되었다. 땅콩의 수량은 무접종구보다 접종구가 높았으나 질소처리구(窒素處理區)와 접종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