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structure

검색결과 385건 처리시간 0.023초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ndocarp in Relation to Seed Dormancy of 18 Rubus Species in Korea

  • Choi, Go Eun;Jeong, Mi jin;Lee, Hayan;Ko, Chang Duck;Park, Jae In;Ghimire, Balkrishna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1권6호
    • /
    • pp.15-22
    • /
    • 2017
  • The microstructure observation of seed surface structure is needed for protocols of breaking dormancy of seeds with physical dormancy. The seeds of Rubus species are surrounded by a thick, hard endocarp; together, the seed and endocarp make up the stone. We evaluate stone characteristics of 18 species of Rubus through optical microscopic observation, and correlate different stone characteristics with endocarp thickness. As a result of stone size comparison, Rubus species were classified as big stones group including R. parvifolius and R. idaeus, small stones group including R. longisepalus var. longisepalus, R. corchorifolius and R. hirsutus, and middle stones group including rest of the specie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stone size and the endocarp thickness in Rubus species was various characteristics in each species. Furthermore stone size and stone weight were also well correlated endocarp thickness and result indicated that heavy stones had harder endocarp than lighter one. Thus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presumed that only one stone characteristic approach may be sufficient to estimate other characteristics in Rubus.

비름(Amaranth)과 명아주(Quinoa) 재배종의 기능성 물질과 변이 (Functional Ingredient and Their Some Variance in Amaranth and Quinoa)

  • 이재학;김기준;이정일;이승택;류수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spc1호
    • /
    • pp.145-165
    • /
    • 1996
  • Amaranth(Amaranthus spp. L.) and quinoa (Chenpodium quinoa Willd.) are old crops from South, Central America and Central Asia and their grains have been identified as very promising food crops because of their exceptional nutritive value. Squalene is an important ingredient in skin cosmetics and computer disc lubricants as well as bioactive materials such as inhibition of fungal and mammalian sterol biosynthesis, antitumor, anticancer, and immunomodulation. Amaranth has a component called squalene (2,6,10,15,19,23-hexamethyl-2,6,10,14,22-tetraco-sahexaene) about 1/300 of the seed and $5\~8\%$ of its seed oil. Oil and squalene content in amaranth seed were different for the species investigated. Squalene content in seed oil also increased by $15.5\%$ due to puffing and from 6.96 to $8.01\%$ by refining and bleaching. Saponin concentrations in quinoa seed ranged 0.01 to $5.6\%$. Saponins are located in the outer layers of quinoa grain. These layers include the perianth, pericarp, a seed coat layer, and a cuticle like structure. Oleanane-type triterpenes saponins are of great interest because of their diverse pharmacological properties, for instance, anti-inflammatory, antibiotic, contraceptive, and cholesterol-lowering effects. It is known that quinoa contains a number of structurally diverse saponins including the aglycones, oleanolic acid, hederagenin, and phytolaccagenic acid, which are new potential in gredient for pharmacological properties. It is likely that these saponin levels will be considerably affected by genetic, agronomic and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by processing. With the current enhanced public interest in health and nutrition amaranth and quinoa will most likely remain in the immediate future within the realm of exotic health foods until such time as agricultural production meets the quantities and qualify required by industrial food manufacturers.

  • PDF

초류(草類) 및 목본식물(木本植物)의 몇가지 종자형질(種子形質)에 대(對)한 Soft X-ray의 이용(利用) (Use of Soft X-ray Photography for Studying Seed Quality in Grass and Tree)

  • 김우룡;김정석;김재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47-54
    • /
    • 1982
  • 본(本) 연구(硏究)는 초류(草類) 4종(種)과 목본식물(木本植物)의 피자식물(被子植物) 31종(種)과 나자식물(裸子植物) 8종(種), 계(計) 43종(種)에 대(對)한 Soft X-ray photography에 의(依)한 종자(種子)의 몇 가지 형질(形質)을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시험(試験)한 결과(結果), 종자(種子)의 대소(大小), 종피(種皮)의 후박(厚薄)에 관계(關係)없이, 배(胚)와 배유(胚乳)의 발달정도(發達程度), 자엽(子葉)의 크기와 착생부위(着生部位), 그리고 쌍자종자(双子種子)의 유무(有無)와 그의 착생상태(着生生態) 등(等)의 종자충실성(種子充實性)과 병충해(病虫害), 기계적(機械的) 상해등(傷害等)은 X-ray에 대(對)한 선택적(選擇的) 감수성(感受性)이 있어 Soft X-ray법(法)은 식판별(識判別)에 유효(有効)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종묘방류 해역에서 채집 된 참전복의 microsatellte marker에 의한 유전 다양성 및 집단 구조 (Genetic Variabil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Sampled from Stocked Areas Using Microsatellite DNA Markers)

  • 정달상;박철지;전창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66-470
    • /
    • 2008
  • Microsatellite DNA marker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collected from six locations (Uljin, Ulsan, Daechon, Taean, Wando, and Yosu) where hatchery-produced abalone have been released intensively. There was no distinguishable difference in the observed and expected heterozygosities between the six populations and a cultured population.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lleles per locus: 12.8 for the cultured population and 13.8 to 15.8 for the six populations. The proportion of stocked abalone ranged from 41.1 to 92.7% for wild-caught populations with a decreasing tendency of alleles per locus for an increasing proportion of stocked abalone. A departure from Hardy-Weinberg equilibrium (HWE) assessed using the Markov chain procedure (P<0.05) was observed in the six populations and cultured population at loci Hdh145 and Hdh5l2. The pairwise Fst test (P<0.05)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ljin and Ulsan populations and four remaining populations (Wando, Daechon, Yosu, and the cultured population), among which the Wando population differed less than the other three populations (Daechon, Yosu, and the cultured population).

두과 작물의 경실종자 발아촉진에 대한 종피연화처리의 효과 (Effects of Scarification and Water Soaking Treatment on Germination of Hard-Seeded Legumes)

  • 김석현;장미하;정종일;심상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20-326
    • /
    • 2009
  • 우리나라 재래 수집종인 제비콩, 갓끈동부와 쥐눈이콩은 종피가 매우 두껍고 딱딱하여 물 흡수가 어려워 발아율이 각각 26%, 17%와 5%에 불가하다. 이들 종자는 저장성에서 그 가치가 높이 평가되지만, 포장에 파종할 때 발아율이 낮아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종자의 발아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몇 가지 종피약화 처리를 실시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도출하였다. 종피약화 처리방법 중 가장 정상묘율이 높은 것은 제비콩은 tap water ($20^{\circ}C$)에서 24시간 침지 했을 때 85%이였으며, 갓끈동부는 hot water에서 8시간 침지했을 때 45%이였다. 그러나 소립이고 경도가 높은 쥐눈이콩은 진한 sulfuric acid에 10분간 침지 했을 때 72%의 정상묘율을 보였다.

둥굴레의 종자(種子) 구조(構造)와 출아(出芽)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Seed Structure and Seedling Development in Polygonatum odoratum Druce)

  • 강진호;김동일;유영섭;배기수;한경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2-107
    • /
    • 1998
  • 종자번식을 통한 다량육묘로 다량재배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둥굴레는 발아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다량육묘 또는 이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는 발아 과정을 체계적으로 자료화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둥굴레의 종자 구조와 유묘 출현 특성을 체계화하여 종자를 이용한 다량번식 체계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수행 되었다. 둥굴레 종자는 직생배주(直生胚珠)로서 경실(硬實)이었으며, 배는 linear형으로 종자의 중앙에 배열하고 있었다. 발아는 정단조직에 소주아(小珠芽)와 뿌리의 시원체(始原體)를 가지고 있는 배의 아래 부분이 신장하여 돌출하는 형태로 진행되었고, 배유의 저장 양분은 생장하고 있는 배가 배유를 잠식하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배가 돌출한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소주아(小珠芽)와 뿌리가 발달하고 형성된 소주아(小珠芽)의 정단에 상배축이 돌기하였다. 상배축(上胚軸)은 다량육묘에서 저온처리를 통한 휴면타파 처리 후에야 신장하기 시작하였으며, 출아 후 형성되는 단자엽과 초장은 출아 중의 광도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한편 재배 또는 가공에 이용되는 지하경은 소주아(小珠芽)가 최초의 조직으로 소주아(小珠芽)에 형성된 마디로부터 다음의 지하경이 분지되는 형태를 보였다.

  • PDF

호박(Cucurbita moschata DUCH.)종실의 발아 성장 과정 중 성분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s of Pumpkin(Cucurbita moschata DUCH.) Seed Sprouts)

  • 이병진;장희순;이규희;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27-533
    • /
    • 2003
  • 호박씨는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높고 영양가치가 높아 식품가공 재료로서 널리 이용될 수 있으나 그 동안 과자, 스넥 제품 등의 단순가공 소재로서 이용되어 왔다. 그러므로 호박씨의 소비를 증진시키고 새로운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호박씨를 발아 성장시키면서 각 부위의 일반영양성분, 지방산, 아미노산, L-ascorbic acid, $\beta$-carotene의 함량변화를 측정하여 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였으며, 발아 성장과정 중 생성되는 고미성분의 구조를 동정하기 위하여 각종 용매 순차 분획, thin layer chromatography, HPLC의 분리과정을 거쳐서 정제한 고미물질을 mass spectrum, $^1$H-NMR spectrum, $^{13}$C-NMR spectrum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호박씨나물의 중량은 발아 8일에 348.4% 증가하였으며 뿌리와 줄기의 길이는 8일째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일반영양성분은 머리부분과 줄기부분 모두 단백질과 지질의 함량은 감소하였고 섬유소, 회분,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가 주요지방산으로 나타났고, palmitic acid는 증가하는 반면 linoleic acid는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호박씨나물의 머리부분의 구성아미노산 glycine, alanine, arginine, cystein proline의 순으로 많았으며, 유리아미노산은 arginine, threonine, alanine, glutamine의 순으로 많았다. L-ascorbic acid와 $\beta$-carotene은 발아 성장하면서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머리부분에 생성되는 고미성분은 cucurbitacin glycoside로 판명되었으며, 호박씨에서는 고미성분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발아 8일째 머리부분의 고미성분은 42.2mg/kg이 함유되어 있다.

한국산 미나리아재비과의 열매 및 종자 형태 (Fruit and seed morphology of Korean Ranunculaceae)

  • 정우철;허권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37-153
    • /
    • 2017
  • 한국산 미나리아재비과 20속 36종에 대하여 열매 및 종자 형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먼저 열매는 수과(achene)와 장과(berry) 및 골돌과(follicle)로 분류되었고, 수과를 갖는 분류군에서는 과피 표면에 모용(trichome)의 발달유무, 기공(stoma)의 존재여부, 그리고 과피 해부형태에서는 내과피가 한 층의 후벽세포로 뚜렷하게 발달하는 특징이 식별 유용형질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골돌과를 갖는 분류군은 종피의 구성(양주피 vs. 단주피), 종피 표면의 형태, 모용의 발달 유무, 종피 type 등이 분류형질로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사된 열매 및 종자 형질에 기초하여, 복수초속(Adonis)은 양주피성 배주를 가지므로 단주피성 배주 유집군인 미나리아재비아과(Ranunculoideae)에서 Helleboroideae아과로 분류되어야 할 것 같다. 또한 나도바람꽃속(Enemion)의 나도바람꽃은 단주피성 배주와 종피구조(non-sclereid exotesta) 형질에서 만주바람꽃이나 매발톱꽃, 개구리발톱과는 다른 너도바람꽃속(Eranthis)과 유사하여 Helleboroideae아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결과, 매화바람꽃속(Callianthemum)과 유일한 장과 속인 노루삼속(Actaea)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좀 더 정확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분사층 반응기의 원뿔각에 따른 Jatropha Curcas L. Seed Cake의 급속열분해 특성 (Fast Pyrolysis Characteristics of Jatropha Curcas L. Seed Cake with Respect to Cone Angle of Spouted Bed Reactor)

  • 박훈채;이병규;김효성;최항석
    • 청정기술
    • /
    • 제25권2호
    • /
    • pp.161-167
    • /
    • 2019
  • 바이오매스의 급속열분해를 위하여 지난 수십 년간 다양한 형태의 반응기가 개발되었다. 급속열분해 공정의 반응기는 유동층 반응기가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분사층 반응기를 이용한 바이오매스의 급속열분해 특성에 대한 연구가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분사층 반응기의 유동화 특성은 입자의 물리적 특성, 유체 제트의 속도, core와 annulus의 구조에 영향을 받으며, 반응기의 기하학적 구조는 분사층 내부의 core와 annulus 구조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이다. 따라서 분사층 반응기의 최적설계를 위해서는 열분해 반응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바이오매스의 급속열분해 특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분사층 반응기의 기하학적 구조에 의한 바이오매스의 급속열분해 특성은 자세히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분사층 반응기의 원뿔각과 반응 온도 변화에 따른 Jatropha curcas L. seed shell cake의 급속열분해 실험을 수행하여 분사층 반응기의 최적 형상과 반응 온도를 도출하였다. 실험결과, 열분해 오일의 에너지 수율은 반응 온도 $450^{\circ}C$, 분사층 반응기의 원뿔각 $44^{\circ}$에서 63.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분사층 반응기 내 고체입자의 열전달과 기체상 열분해 생성물의 체류시간은 원뿔각의 영향을 받아 열분해 생성물의 수율 및 열분해 오일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용담과 쓴풀속(Ophelia) 식물의 분류 2. 해부학적형질 및 미세구조 (A Taxonomic study of the Ophelia D. Don(Gentianaceae) in Korea -Anatomical and ultrastructure-)

  • 백원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6-79
    • /
    • 2000
  • 한국산 쓴풀속(용담과) 식물 중 남한에 분포하는 5분류군과 변이체라 생각되는 1분류군, 총 6분류군에 대하여 줄기, 잎, 자방, 악, 자방의 횡단면, 주두, 잎표피, 주맥표면, 화관열편 표면, 밀선, 종피와 화분의 해부학적 형질과 미세구조를 조사하여 절과 종간의 한계를 분명히 하여 종 동정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분류학적 위치를 설정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북한에 분포하는 1분류군은 동경대학의 소장품을 관찰하여 분류군의 기재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방의 내부구조, 밀선의 형태, 화관열편 표면의 미세구조 그리고 화분 표면의 무의 등에 의해 2개의 절로 구분되었고 밀선과 종피의 미세구조에 의해 종간의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이 형질들은 쓴풀속의 분류군들을 구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형질로 밝혀졌다. 변이체라고 생각되었던 큰잎쓴풀(화관 열편에 자색 점무늬를 갖는 분류군)A형은 자색 점 이외의 형질들에서는 전혀 차이를 찾아볼 수 없어 모종의 변이 폭에 넣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