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검색결과 8,371건 처리시간 0.032초

Mullite 합성에 있어서 조성에 따른 Mullite-seed 첨가효과 (Influence of mullite-seed on the mullite synthesis from various compositions)

  • 김인섭;강상원;박주석;이명웅;이병하;이경희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8-54
    • /
    • 2000
  • kaolin과 수산화알루미늄을 이용하여 mullite를 합성하는데 있어서 출발원료의 조성을 silica rich, stoichiometric, alumina rich 조성으로 준비하여 각각의 원료로부터 mullite를 합성할 때 mullite-seed가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silica rich 조성과 stoichiometric 조성에서는 mullite-seed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꺾임강도값이 증가하며, alumina rich 조성에서는 mullite-seed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꺾임강도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같은 양의 mullite-seed를 첨가했을 때 미세구조는 alumina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치밀도가 감소하고, aspect ratio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순도면에서는 mullite정량결과 모든 조성에서 mullite-seed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합성된 mullite 결정상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7-라운드 SEED에 대한 향상된 차분 공격 (Improved Differential Attack of Seven-Round SEED)

  • 성재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5-30
    • /
    • 2010
  • 블록 암호알고리즘 SEED 국내 TTA(정보통신기술협회)와 더불어 국제 ISO/IEC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128비트 입출력을 갖는 국내에서 개발된 알고리즘이다. SEED 개발 이후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좋은 공격 방법은 2002년 Yanami 등이 제안한 차분 분석 방법이다. 이 공격 방법은 확률 $2^{-124}$의 6-라운드 차분 특성을 이용하여, 7-라운드 SEED를 $2^{127}$의 데이터 복잡도로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확률 $2^{-110}$의 새로운 6-라운드 새로운 차분 특성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7-라운드 SEED를 $2^{113}$의 데이터 복잡도로 공격할 수 있음을 보인다.

Identifica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 Associated with Seed Size and Weight in Soybean

  • Kim, Hong-Sik;Lee, Suk-Ha;Park, Keum-Yong;Lee, Yeong-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27-231
    • /
    • 2000
  • Small seed size is one of the major traits of soybean cultivars for sprouts with regard to high sprout yiel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 (QTL) for seed size and weight in a set of F 6 seeds of 89 line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Pureunkong', a soybean cultivar developed for sprouts and 'Jinpumkong 2', a soybean cultivar with no beany taste in seed due to the lack of lipoxygenases. The genetic map of 25 linkage groups with a total of 98 markers including RFLP, RAPD, SSR and classical markers was constructed from this F/sbu 5/-derived population and was used for QTL analysis. 'Pureunkong' was significantly smaller (P<0.01) than 'Jinpumkong 2' in seed size and seed weight. Genetic variation was detected and transgressive segregation was common in the population for these traits. Seven DNA markers including opT14-1600 in LG A2, opF02-400 in LG B2, Satt100, opC09-700, opG04-730 and opQll-650 in LG C2, and opY07-1100 & 1000 in LG(unknow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and accounted for 4.7 to 10.9% and 5.1 to 10.1 % of the phenotypic variation in seed size and seed weight, respectively. 'Pureunkong' alleles increased seed size and seed weight at the all four significant marker loci on the LG C2. These marker loci in LG C2 were closely linked and were presumed to be a single QTL. Overall, at least three independent QTLs from 3 linkage groups (A2, B2, and C2) were putatively involved in the control of seed size and seed weight.

  • PDF

대두종자의 polymer coating 연구 1. polymer coating 종자의 conductivity 차이 (Studies on Polymer Coating in Soybean Seeds 1. Difference of Electrolyte Leaching of Polymeric Coating Soybean Seed)

  • 이성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58-164
    • /
    • 1994
  • Polyme coating 종자의 환경적응성을 구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콩 종자에 10종의 polymer를 coating하여 각 coating polymer별 conductivity, 발아력, 수분흡수력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Conductivity는 polymer coating한 종자가 coating하지 않은 종자보다 높았으며, 가장 높았던 polymer는 waterlock이었다. 2. Conductivity는 침종 후 시간이 경과할 수록 높아졌고, 100립중이 무거울 수록 높았다. 3. 수확년도가 오래된 종자의 conductivity가 당년에 수확한 종자보다도 높게 나타났다 4. 수분흡수 정도는 coating polymer에 따라 각각 달랐는데 daran 8600은 질이 떨어지는 종자에서는 수분흡수를 크게 저 해하였다. 5. Coating polymer 중 waterlock, captan, klucel, sacrust 등은 발아율을 상승시켰고, daran 8600은 발아율을 저하시켰으며 나머지 polymer는 품종에 따라 각각 달랐고 그 정도는 질이 떨어지는 종자에서 훨씬 컸다. 6. Polymer의 특성에 따라 수분흡수를 저해하거나 조장하였다.

  • PDF

The Effect of Seed-borne Mycoflora from Sorghum and Foxtail Millet Seeds on Germination and Disease Transmission

  • Yago, Jonar I.;Roh, Jae-Hwan;Bae, Soon-Do;Yoon, Young-Nam;Kim, Hyun-Ju;Nam, Min-Hee
    • Mycobiology
    • /
    • 제39권3호
    • /
    • pp.206-218
    • /
    • 2011
  • The seed-borne mycoflora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collected from different growing areas in South Korea were isolated and taxonomically identified using dry inspection, standard blotter and the agar plate method. We investigated the in vitro and in vitro germination rates of disinfected and non-disinfected seeds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using sterilized and unsterilized soil. The percent recovery of seed-borne mycoflora from the seed components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seeds was determined and an infection experiment using the dominant species was evaluated for seedling emergence and mortality. A higher number of seed-borne fungi was observed in sorghum compared to that of foxtail millet. Eighteen fungal genera with 34 fungal species were identified from the seeds of sorghum and 13 genera with 22 species were identified from the seeds of foxtail millet. Five dominant species such as Alternaria alternata, Aspergillus flavus, Curvularia lunata, Fusarium moniliforme and Phoma sp. were recorded as seed-borne mycoflora in sorghum and 4 dominant species (Alternaria alternata, Aspergillus flavus, Curvularia lunata, Fusarium moniliforme) were observed in foxtail millet. The in vitro and in vitro germination rates were higher using disinfected seeds and sterilized soil. More seed-borne fungi were recovered from the pericarp compared to the endosperm and seed embryo. The percent recovery of seed-borne fungi ranged from 2.22% to 60.0%, and Alternaria alternata, Curvularia lunata and 4 species of Fusarium were isolated from the endosperm and embryo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Inoculation of the dominant seed-borne fungi showed considerable mortality of seedlings. All the transmitted seed-borne fungi might well be a primary source of infection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crops.

농가포장에서의 인삼종자 생산실태 (Seed Production Status in Ginseng Plantations)

  • 이종철;박훈;김갑식;변정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23
    • /
    • 1986
  • 27개 농가포장에서 인삼종자의 생산량 및 종자소질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포장별 채종량은 거의가 4~10$\ell$/간(간 : 180x90cm의 면적) 절위이였다. 2. 채종량이 많은 포장의 종자일수록 100입중, 4mm이하의 종자 생산 비율이 모두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3. 전종자의 12%는 4mm이하의 종자이었으며 66%는 4-5mm, 22%는 5mm이하의 종자이었다. 4. 채종모본 선정 포장에서는 방임채종포에 비해 채종량은 감소되었으나 100입중, 4mm이하 종자의 생산비율은 오히려 증가되었다. 5. 종자의 길이와 폭 간에는 정(+)상관이 인정되었으나 폭과 두께, 길이와 두께간에는 유의상관 인정되지 않았다. 6. 채종량은 채종모본의 생육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4mm이하의 종자생산 비율을 감안할 때 100간당 7-8$\ell$ 미만 채종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여졌다.

  • PDF

약알칼리탈지 용액에서의 구리 Seed 층의 전처리 효과 (Effects of Pretreatment of Alkali-degreasing Solution for Cu Seed Layer)

  • 이연승;김성수;나사균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11
    • /
    • 2012
  • Sputter 방식으로 증착된 구리 seed 층(구리 seed/Ti/Si) 위에 형성된 오염물 제거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강력한 계면 활성능력을 가진 약알칼리 탈지제 Metex TS-40A 용액을 사용하여 담금(dipping) 시간에 따른 구리 seed 층 표면의 변화형상 및 변화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TS-40A 용액에 전처리 후 구리 seed 표면 형상이 grain이 명확히 보일 정도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표면 처리된 Cu seed 표면의 화학구조 및 불순물 상태를 조사하였다. TS-40 용액에서의 dipping 시간 변화에 따른 효과는 거의 없었다. TS-40A 용액에 전처리한 후, 구리 seed 층 표면위의 많은 탄소성분이 제거되었고, 약간의 산소가 제거되었으며, O=C 및 $Cu(OH)_2$에 해당되는 피크들이 감소되는 것이 관측되었다. 하지만 표면에서 불순물 Si이 silicate 상태로 검출되었다. TS-40A 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silicate 성분이 구리 seed 층과 반응하여 이 silicate 불순물이 구리 seed 표면에 형성된 것으로 보여진다. 약알칼리 탈지제 Metex TS-40A 용액을 사용한 전처리 과정을 통해, 구리 seed 표면 위의 O=C 및 $Cu(OH)_2$ 등의 제거에는 탁월한 효과를 보였으나, 불순물 silicate가 형성되었으므로 이 알칼리 탈지제를 사용한다면, 이후에 산세정 및 다른 세정과정을 거쳐 표면에 존재하는 silicate를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

들깨기름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들깨 종실 발아의 영향 (The Effect of Germination of Perilla Seed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the Oil)

  • 김충기;송근섭;권용주;김인숙;이태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8-183
    • /
    • 1994
  • 들깨 종자 발아가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햇들깨와 묵은들깨를 $28^{\circ}C$에서 $2{\sim}3$일간 발아시켜 각각의 들깨와 발아들깨로부터 들기름을 추출한 후 이들 4종류의 들기름의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들기름의 종류에 따라 요오드가와 검화가에서는 커다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산가의 경우 햇들깨와 묵은들깨 모두 발아들깨에서 추출한 들기름이 들깨에서 추출한 들기름보다 높았다. 중성지방질의 조성에서는 발아에 의해 triacylglycerol 함량은 감소하는 반면 유리 지방산과 diacylglycerol 함량은 증가하였다. 극성지방질중 phosphatidyl ethanolamine의 함량이 햇들깨와 묵은들깨 모두 발아에 의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들기름의 총 tocopherol 함량은 $439{\sim}560\;ppm$으로 햇들깨와 묵은들깨 모두 발아에 의해 그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gamma}-tocopherol$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각 들기름의 산화안정성 차이는 햇들깨에서 추출한 들기름이 묵은들깨에서 추출한 들기름보다 4배 이상 산화안정성이 높았으며 발아에 의해 묵은들깨의 경우는 산화안정성이 2배 정도 증가하였으나 햇들깨의 경우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수박 종자크기에 대한 유전분석 (Genetic Analysis of Seed Size in Watermelon)

  • 김용재;양태진;박영훈;이용직;강순철;김용권;조정래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12-419
    • /
    • 2009
  • 수박에서 종자크기의 유전분석을 위해 종자크기가 다른 6계통을 양친으로 한 교배집단을 조사하였다. 전체 6계통 중 3계통은 수집 계통으로 giant seed(GS)인 'PI525088' big size(BS)인 'Charleston Gray' 그리고 medium seed(NS)인 'NT'를 사용하였으며, 다른 3계통은 보통 크기와 가장 작은 크기 계통간($^{\prime}NT^{\prime}{\times}^{\prime}TDR^{\prime}$) 교잡 및 여교잡으로부터 육성되어 종자크기만 상이한 near isogenic line으로서 small seed(SS)인 'NTss' micro seed(MS)인 'NTms' tomato seed size(TS)인 'NTts'가 이용되었다. 각각의 종자크기에 관련한 유전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인접한 종자크기를 가진 계통들간의 조합인 $GS{\times}BS$, $BS{\times}NS$, $NS{\times}SS$, $MS{\times}TS$, 그리고 종자크기가 비교적 차이가 계통들간 큰 두 조합인 $NS{\times}TS$, $GS{\times}NS$에 대하여 P1, P2, $F_1$, $F_2$, $BC_1F_1(P1)$, $BC_1F_1(P2)$를 작성, 전개하여 종자크기의 분리를 관찰하여 유전양식을 판단하였다. $GS{\times}BS$, $NS{\times}SS$, $MS{\times}TS$ 의 경우 1개의 유전자 차이가 발견되었고, 유전양식은 부분우성이었고, $BS{\times}NS$의 경우 2개 이상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GS{\times}TS$에서는 분리후대에서 매우 넓은 범위의 종자크기를 가진 개체들이 관찰되어 이들 두 계통들간에는 6개 이상의 유전자, $NS{\times}TS$의 경우에는 3개의 유전자가 종자크기의 차이를 만드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Koji를 이용한 seed mash의 이화학적 특성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ed Mash Prepared with Koji)

  • 이명구;박정길;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99-205
    • /
    • 2005
  • 본 연구는 제빵 산업의 현장에서 제빵적성 향상을 위한 제빵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백국균을 이용한 밀가루 코지, 유산균, 효모를 혼합 배양하여 seed mash를 만들어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증류수 560mL와 코지 400g을 혼합하여 $25^{\circ}C$에서 72시간 배양한 seed mash의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alpha}-amylase$는 0.26 SKB/g, saccarifying amylase 활성이 36SP/g,그리고 산성 protease 활성은 648 HUT/g을 나타냈다. 코지, 유산균, 효모를 배양하여 제조한 seed mash의 pH는 코지와 효모 만을 배양하여 제조된 seed mash보다 다소 낮았다. 배양기간에 따른 환원당의 변화는 코지만을 이용한 seed mash의 경우 36시간까지 배양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 감소하였다. 그러나 유산균과 효모를 첨가한 seed mash에서의 환원당은 배양 6시간까지 증가하다 그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Seed mash에서 생성된 총산의 양은 10.4-12.25mg/mL로 유산균을 첨가시 다소 높았다. 코지, 효모, L. brevis로 배양한 seed mash에서 ethyl acetate, ethyl caprylate, isoamyl acetate, ethyl caprate, p-vinyl guaiacol 등의 향기 성분이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