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urity budget management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초

기업의 침해사고 예방을 위한 관리 모델 (A Study on the Effective Countermeasures for Preventing Computer Security Incidents)

  • 강신범;이상진;임종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07-115
    • /
    • 2012
  • 우리나라의 정보화 수준과 비교하여 정보보호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다. 정보보호 예산 수준 역시 전체 정보화 예산대비 5%대로 미미하며 기업들의 사후대응 중심의 정보보호 조치는 반복적인 피해비용을 야기한다. 정보보호 침해사고에 대한 대응은 사후대응 체계에서 예방과 사전탐지 중심으로 바뀌어야한다. 정보사회에서의 침해사고 대응은 개인의 책임보다는 국가와 기업이 공동으로 대처해야할 영역이라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2004년 정보보호조치 및 안전진단 관련 지침이 고시되면서 우리나라도 침해사고 예방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관리적, 기술적, 물리적 보호조치가 실제 침해사고 대응에 완벽한 예방책이 되지는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제도적 보호조치의 예방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제도적 한계와 개선점을 도출하여 기업들이 실질적인 목표 보안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효과적인 침해 예방 대응책으로써의 선행위협 관리 모델을 제안한다.

미국과 우리나라의 정보보안관리 활동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Activity of Public Sector in USA & Korea)

  • 김소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1호
    • /
    • pp.69-74
    • /
    • 2006
  • 미국 연방정부는 정부의 정보 및 정보시스템에 대한 연방정보보안관리법을 적용하여 각 기관의 정보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했다. 동 법에 따라 NIST 주관으로 연방정보보안관리법 실행 프로젝트를 실행하여 미국 연방정부의 정보 및 정보시스템을 보호해 안전한 미국연방정부 설립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 연방기관의 정보보안강화를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 관리예산처 및 인반회계감사원 등 이를 관리 감독할 수 있는 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사이버안전관리규정을 통해 국가차원의 사이버안전 관리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국가사이버안전매뉴얼에서는 각급기관이 평시에 자신의 정보시스템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평시 안전점검 체크리스트를 만들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연방정보보안관리법에 따른 보안관리체계를 분석해 우리나라의 사이버안전 관리체계 강화 시 참고하고자 한다.

슈타켈버그 게임 기반 Anti-virus 백신 선택 모형 (An Anti-Virus Vaccine Selection Model Based on Stackelberg Game)

  • 성시일;최인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35-144
    • /
    • 2009
  • 이 연구는 웹기반 시스템의 운영자와 침해자의 전략과 관계된 정보보안문제를 다룬다. 슈타켈버그 게임상황을 이용하여, 백신 선택 문제의 게임이론적 모형을 제시한다. 이 모형에서 운영자는 잠재적 시스템 침해자에 대응하는 백신조합을 선택하고, 침해자는 운영자의 백신 조합에 가장 효율적으로 침입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한다. 제시된 모형은 운영자의 예산, 시스템 성능 등을 고려한 추가적 현실제약조건을 동시에 고려한다. 더불어, 가정을 적용해 수정된 현실 데이터를 이용하여 2가지 시나리오 분석을 제시한다.

아이돌보미 시범사업평가 및 정책방향 (Evaluation the Childcarer(IDOLBOMI) Demonstration Service and Policy Direction)

  • 변미희;강기정;정희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1권2호
    • /
    • pp.67-8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ildcare support demonstration services and direct policy. The participants for the study were three childcare (IDOLBOMI), three parents who were provided with IDOLBOMI, two practitioners, and three professors related to IDOLBOMI. The data was collected by interview and a phone survey and analyzed qualitatively. The results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follows: First, IDOLBOMI loved to take care of children, felt proud of the job, and thought the work was worthy. The result can help future IDOLBOMI when they are recruited and trained; Second, IDOLBOMI wanted income security at least, which means that the basic activity fee for the IDOLBOMI should be compensated by government; Third, most of the parents who experienced the service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at, but they wanted the quality of nutrition, hygiene and the quality of play to be developed for children. Therefore, the management of the center and maintenance of education are needed constantly for the IDOLBOMI system; Fourth, the parents who needed the service thought the cost of IDOLBOMI was expensive. Expenditure support should be sought for the parents; Finally, the group of professionals had difficulty in securing the quality of childcare support services. For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ducational budget, manpower resources, and PR budget for IDOLBOMI.

  • PDF

군집화를 이용한 기업 핵심기술 유출자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k of Core Business Technologies Using Preventative Security Methods Such as Clustering)

  • 허승표;이대성;김귀남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3-28
    • /
    • 2010
  • 최근 국내 기업의 핵심기술 유출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피해액 손실도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최근 5년 간 우리나라 주요 사업의 기술유출에 따른 피해액은 220조 원에 달했고 2010년 총 예산과 비슷한 액수이다. 또한 핵심기술 유출 유형별로는 전직 직원, 현직 직원, 협력 업체 직원, 유치과학자, 투자업체 순으로 내부 인력에 의한 핵심기밀 유출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사람에 의해서 핵심기밀 유출이 가장 많이 발생한 것에 따라 기업의 인원 보안 관리에 대한 대책 및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는 것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업에서의 핵심기술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 인력에 대한 사전 정보를 데이터 마이닝 방법을 통해서 핵심기술 유출 징후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정보통신분야 HRD사업에 대한 정부예산 지원의 효율성 분석 : 대학의 IT연구센터를 중심으로 (Efficiency Analysis of Government Budget to HRD Program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 IT Research Center Case)

  • 이중만;전원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4호
    • /
    • pp.55-6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 분야 HRD사업 중 매우 중요한 ITRC의 지원요인과 지원성과에 대하여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 DEA효율성 분석을 통해 정부예산 지원의 효율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첫째, ITRC에 대한 지원기간은 과학기술적 연구성과와 인력양성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지원기간이 길다고 하더라도 과학적 연구성과와 인력양성 성과와는 무관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반면에 정부지원금이 증가하게 되면 인력양성 성과에도 양의 영향을 미치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술분야별 ITRC를 DEA분석하면, SW/ 디지털 콘텐츠, 디지털 TV, 정보보호, 지능로봇, 차세대 PC, 차세대 이동통신, 홈네트워크, 통신수학, IT SoC, 등 기술분야는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자살률의 공간 군집패턴 변화와 지역특성요인의 관계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Cluster Patterns of Male Suicide Rate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 최소영;이광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2-322
    • /
    • 2019
  • Background: Since 2003, Korea has consistently shown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ountries, and suicide remains the major cause of death. In particular, men are 2-3 times more likely to commit suicide than women, which called the 'gender paradox of suicide.' The areas with frequent suicide have spatially clustered patterns because suicide with a social contagion spreads around the neighbor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The first was to estimate the hotspot areas of age-standardized male suicide mortality from 2008 to 2015. The second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tspot areas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study years.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The study areas were 227 si gun gu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 The hotspot area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Socio-demographic variables (number of marriages per 1,000 population, number of divorces per 1,000 population, and urbanization rate), financial variables (financial independence and social security budget), and health behaviors (EuroQol-5 dimension [EQ-5D], and depression experience rate) were used as independents variables. Results: The hotspot areas were commonly located in Gangwon-do, Chungcheongnam-do, Gyeongsangbuk-do, and Chungceongbuk-do.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anel logit regression, the number of divorces per 1,000 population, social security budget, and EQ-5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Conclusion: The results of hotspot analysis showed the need for establishing a prevention zone of suicide using hotspot areas. Also, medical resources could be considered to be preferentially placed in the prevention zone of suicide.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health policymakers to establish a suicide-related policy.

경호업무 효율성에 관한 연구 : 공공경호와 민간경호의 효율성 영향요인의 비교분석 (An Analysis of Efficiency of Security Services : A Comparative Determinants Analysis of Public and Private Security)

  • 박문선
    • 시큐리티연구
    • /
    • 제19호
    • /
    • pp.67-103
    • /
    • 2009
  •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경호 경비업무를 대상으로 경호업무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경호업무 및 조직의 효율성에 관한 문헌들을 조사하고, 경호업무 효율성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생각되는 변수들을 찾아 경호업무 종사자나 경력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통한 영향요인을 경험적으로 확인하며, 공공경호와 민간경호업무를 비교분석하고,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장차 경호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떤 요인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변수의 회귀계수를 보면 공공경호에서 조직구성원의 사기, 사전정보의 입수, 종합팀워크훈련, 행사예산 지원, 조직분위기이며, 그 영향력의 크기는 공공경호에서 행사예산 지원, 사전정보의 입수, 종합팀워크훈련, 조직분위기, 조직구성원의 사기 순이며, 경호 실무실습과 상호간 커뮤니케이션은 음(-)의 부호로서 이론적 기대와 다르게 나타났다. 민간경호에서는 유의성이 있는 변수의 회귀계수를 보면 경호기본의식, 종합팀워크훈련, 방탄장비 및 차량, 인원의 선발 및 배치, 행사지원 예산, 조직 내의 갈등, 조직구성원에 대한 보상, 사회적 우호 분위기, 돌발사건 등의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력의 크기는 행사지원 예산, 종합팀워크훈련, 사회적 우호 분위기, 조직구성원에 대한 보상, 방탄장비 및 차량, 조직 내의 갈등, 인원의 선발 및 배치, 돌발사건, 경호 기본의식 순으로 나타났다.

  • PDF

공공기관 정보보호 거버넌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in Korea Government Institutions and Agencies)

  • 송정석;전민준;최명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3-151
    • /
    • 2011
  • 공공기관은 정보보호를 강화하기 위하여 정보보호 거버넌스 체제를 도입하고 있다. 공공기관은 정보보호 거버넌스 체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보보호 거버넌스의 확립을 위해서 정책 수립 및 제도 확립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정보보호 거버넌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정보보호 거버넌스 수준 측정 모형과 요인 모형을 개발한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 정보보호 거버넌스 수준은 최고경영층의 지원에 의해서 결정되며, 공공기관 정보보호 거버넌스는 정보보호 예산 및 정보화 담당 부서의 규모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공기관의 정보보호 거버넌스 확립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정보보호 대책의 효과성을 고려한 정보보호 투자 의사결정 지원 모형 (A Model for Supporting Information Security Investment Decision-Making Considering the Efficacy of Countermeasures)

  • 박병조;김태성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27-45
    • /
    • 2023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정보보호의 중요성이 커졌지만, 기업은 제한된 예산 내에서 적절한 대책을 선택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Sönmez and Kılıç(2021)는 정보 보안 침해를 완화하기 위한 최적의 투자 조합을 결정하기 위해 AHP 및 혼합 정수 계획을 사용하는 모델을 제안했다. 그러나 1) 보안 위협에 대한 보안 대책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지 못하고, 2) 투자로 인한 위험 감소가 투자 이전에 측정한 위험 수준을 초과하는 비현실적인 현상이 발생하고, 3) 여러 위협에 대해 단일 대응책을 사용할 때 중복된 투자가 이루어진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베타 확률 분포를 사용하여 대책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정량화하고, 위험 감소 수준이 투자 이전에 측정된 위험 수준을 초과하지 않고 보안 대책이 중복 투자되지 않도록 최적화 모델을 개선했다. 개선된 모델을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Sönmez and Kılıç(2021)의 최적화 모델보다 더 나은 결과를 도출했다. 개선된 최적화 모델을 사용하면 정보보호 비용, 수량, 대책 효율성을 고려하여 고정된 예산 내에서 최적의 대책별 투자 포트폴리오를 도출할 수 있고, 정보 보안 예산을 확보하고 정보 보안 위협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