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ure area

검색결과 937건 처리시간 0.033초

GIS Buffering기법을 이용한 대중교통취약지구 선정방법 (Selection method of public transportation vulnerable area using GIS buffering analysis)

  • 김연웅;정성봉;장광우;박민규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39-1742
    • /
    • 2011
  •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in our country is concentrated and advanced focusing on urban area in order to secure economic feasibility. As a result, as dependence on private vehicles is relatively getting higher in public transportation vulnerable area, traffic problem occurs since the average running speed in urban area is 22.5km/h. This paper has an objective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by selecting public transportation vulnerable area, and defining according to urban structure, formation and function, and understand traffic characteristics and draw problems. As a method selecting public transportation vulnerable area, an area with high division rate of vehicle was selected as a primary proposed site by calculating division rate of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 according to area. Final proposed site was selected by using GIS Buffering technique aiming at selected proposed site, and selecting non-benefit area 500m outside, which is the road limit distance from each subway and bus station. Lastly, the degree of improvement effect was studied by constructing imaginary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aiming at final proposed site and comparing to the amount of change in division rate of means of transportation.

  • PDF

서울시 신축한옥의 면적별 평면구성에 따른 공간적 특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Newly-built Hanok in Seoul by Plana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rea)

  • 정준수;양승정;김수암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61-68
    • /
    • 2013
  • According to the relation of the attribution of residents, we analyz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newly-built Hanok in Bukchon focused on a spatial area-ratio, the number of rooms, L/D/K configur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residents, the family members are also increased. In this study, the major formed case is 3 residents and two-generation family. 2) In the most cases, R area-ratio is the highest, next to L/D/K integrated area-ratio. While the examples that the L/D/K integrated area-ratio is lower than R area-ratio, or is also higher than R area-ratio are appeared. These examples can present that it has a tendency to secure the necessary room depending on the attribution of residents. 3) L/D/K is classified into four types of conne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number of rooms are as follows. L+DK is the most common type, next to LDK>LD+K>L+D+K. And L+DK is widely distributed in each sized area. And particularly, it is appeared mostly in 3R.

공동주택의 외부공간 시공 후 평가를 통한 생태면적률 개선 방안도출을 위한 기초 연구 - 현장시공시 생태면적률 공간유형 반영을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Improvement for Biotops Area Ratio through the Post Evaluation Plan for Outdoor Space of Apartment Housings)

  • 장대희;김현수;강병근
    • KIEAE Journal
    • /
    • 제10권6호
    • /
    • pp.91-96
    • /
    • 2010
  • The problem of urban climate change and destruction of wildlife habitats space which is becoming more serious day by day, has to do with the impervious area(surface area) in urban space. The destruction of natural ground and indiscreet soil covering due to compact development is causing urban desertification in urban residential areas. With biotops area ratio being variously used and extended as a pre planning index,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lements of biotop area ratio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in order to emerge as a realistic planning index for post evaluation measure and not act only as a examining tool in the planning stage.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biotops area ratio to be used as a system to evaluate the outer space of apartment housings, in which biotops area ratio is most actively used, as a tool to secure ecological soundness of the development area after construction is finished.

스마트팩토리 확산을 위한 비파일시스템(None File System) 기반의 차세대 데이터보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xt-Generation Data Protection Based on Non File System for Spreading Smart Factory)

  • 김승용;황인철;김동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76-183
    • /
    • 2021
  • 연구목적: 우리나라 최근 4차 산업 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loT), 가상현실(VR) 등을 제조 환경에 반영한 스마트공장 도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운영체제 기반의 파일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비파일시스템 기반의 데이터보호 기술을 연구·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운영체제에 의해 식별되거나 제어되지 않는 보안저장부와 디지털 키 값의 입력에 따라 보안 저장부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법연구와 BIOS 동작 시 연결을 위한 입출력 정보만 제공하는 제어부를 설정하고 보안 저장부의 활성화에 따라 제2 메타 데이터를 사용한 맵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비파일형태의 구조를 연구함. 연구결과: 첫째, 비파일시스템 기반의 보안 저장부의 생성과 데이터 입출력 시 데이터 손상 여부를 샘플 데이터의 해시함수 값과 일반 저장부 및 보안 저장부의 해시함수 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음. 둘째, 보안 저장부의 데이터 보호 성능 실험에서는 원본 파일의 해시함수 값과 랜섬웨어 활동 이후의 일반 저장부와 보안 저장부의 해시함수 값을 비교하여 악성코드인 랜섬웨어로부터 데이터 보호 성능을 확인함. 결론: 본 연구는 국가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팩토리 구축 사업을 통해 기업에 도입되고 있는 정보시스템 내의 중요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데이터 보호 기술을 구현하고 실험하였다. 정보보안의 목적인 중요 데이터의 보호를 위해 기존의 저장 개념과 달리 파일 시스템에 비의존적인 비파일 형태의 보안 저장부 생성기술을 구현하였고 그 안전성을 검증하였음.

A Secure Social Networking Site based on OAuth Implementation

  • Brian, Otieno Mark;Rhee, Kyung-Hyune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08-315
    • /
    • 2016
  • With the advancement in the area of cloud storage services as well as a tremendous growth of social networking sites, permission for one web service to act on the behalf of another has become increasingly vital as social Internet services such as blogs, photo sharing, and social networks. With this increased cross-site media sharing, there is a upscale of security implications and hence the need to formulate security protocols and considerations. Recently, OAuth, a new protocol for establishing identity management standards across services, is provided as an alternative way to share the user names and passwords, and expose personal information to attacks against on-line data and identities. Moreover, OwnCloud provides an enterprise file synchronizing and sharing that is hosted on user's data center, on user's servers, using user's storage. We propose a secure Social Networking Site (SSN) access based on OAuth implementation by combining two novel concepts of OAuth and OwnCloud. Security analysis and performance evaluation are given to validate the proposed scheme.

Compressed Sensing-Based Multi-Layer Data Communication in Smart Grid Systems

  • Islam, Md. Tahidul;Koo, Inso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9호
    • /
    • pp.2213-2231
    • /
    • 2013
  • Compressed sensing is a novel technology used in the field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sensor networks for channel estimation, signal detection, data gathering, network monitoring, and other applications. I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highly secure, real-time, well organized, and cost-effective data communication in smart-grid (SG) systems, which consist of multi-tier network standards that make it challenging to synchronize in power management communic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multi-layer communication model for SG systems and propose compressed-sensing based data transmission at every layer of the SG system to improve data transmission performance. Our approach is to utilize the compressed-sensing procedure at every layer in a controlled manner.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onitoring devices need less transmission power than conventional systems. Additionally, secure, reliable, and real-time data transmission is possible with the compressed-sensing technique.

종상향 용도지역의 지가 변화 분석을 통한 공공성 확보 비율 산정 - 부산광역시 지구단위계획 운영지침을 대상으로 - (Determining(Estimating) Ratios for Enhancing Publicness Through Analysis of Changes in Land Prices Influenced by Upzoning - A Case of Operating Instructions of District Unit Planning in Busan -)

  • 김흥관;여성준;강기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57-168
    • /
    • 2016
  • 지구단위계획의 주요내용 중 하나인 용도지역 변경은 지구전체의 조화로운 개발보다는 종상향을 통한 개발 이득 향상을 주목적으로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구단위계획에서 종상향에 따른 용적률 인센티브 제도를 검토하여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지구단위계획 종상향에 따른 공공시설 확보 비율 기준을 검토하여 지구단위계획의 공공성 확보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부산광역시 전체지역의 지가상승률과 용도지역 변경지역의 지가 상승률을 비교 검토한 결과 10~15%의 공공시설의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시설의 확보 비율을 사업부지 전체 면적 대비 10%를 적용하도록 하여 상향된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동적 XML 데이타 스트링의 안전한 질의 처리를 위한 효율적인 접근제어 레이블링 (Efficient Access Control Labeling for Secure Query Processing on Dynamic XML Data Streams)

  • 안동찬;박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6권3호
    • /
    • pp.180-188
    • /
    • 2009
  • 유비쿼터스 데이타 스트림 환경에서 동적 XML 데이타 스트림에 대한 효율적이고 안전한 접근제어 기법은 최근에 활발한 연구분야가 되어왔다. 본 논문에서 동적 XML 데이타 스트림 환경에서 효율적이고 안전한 접근제어를 위한 향상된 롤-기반 소수 레이블링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XML 문서의 효율적인 레이블링 기법과 효율적이고 안전한 접근제어를 위한 기존연구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제안하는 향상된 레이블링 기법은 문서가 갱신될 때 다시 레이블링 하지 않고도 노드 사이의 조상-후손 관계와 형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으며, 레이블의 충돌 없이 XML 트리에 임의의 지속적인 노드 삽입 또는 갱신을 지원한다. 또한, 롤-기반 소수 레이블링 기법을 통해 효율적인 접근제어를 구현하였다. 끝으로 본 논문의 제안 방법이 효율적이고 안전함을 실험을 통해 보여줄 것이다.

신뢰할 수 없는 동적 네트워크 환경을 위한 비중앙화 그룹키 관리 기법 (Decentralized Group Key Management for Untrusted Dynamic Networks)

  • 허준범;윤현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6권4호
    • /
    • pp.263-274
    • /
    • 2009
  • 비중앙화(decentralized) 그룹키 관리 알고리즘은 그룹 멤버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지역적인곳으로 한정시킴으로서 안전한 멀티캐스트 네트워크 구조의 확장성(scalability)과 안정성(reli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비중앙화 그룹키 관리 기법들에서는 멀티캐스트 과정에서 중간의 중계노드들이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평문 정보를 복호화함으로써 그룹 통신의 비밀성이 보장되지 않거나, 하위 그룹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해서 외부의 중앙화된 그룹키 분배 센터가 필요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그룹키 관리 방식에서는 서비스 제공자가 대리 암호(proxy encryption)를 이용하여 그룹키를 분산화(distributed) 방식으로 합법적인 그룹 멤버에게만 분배한다. 따라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데이터의 비밀성을 보장하는 안전한 통신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중앙화된 그룹키 분배 센터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시킬 수 있다. 제안하는 그룹키 관리 기법은 중앙화된 네트워크 관리자가 없이 네트워크의 구조가 빈번히 변화하는 신뢰할 수 없는 동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안전한 그룹통신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주암호 유역의 강우사상에 따른 오염물질의 유출특성 (A Study of Comparison of outflow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by rainfall event of forest area near Juam lake basin)

  • 김남종;신대윤
    • 환경위생공학
    • /
    • 제22권4호
    • /
    • pp.87-104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load of pollutants caused from the forest area among non-point pollutants within the Juam lake. The surveyed forest area was classified into broad-leaved, conifer, mixed and herbage area by forest tree type. Water quality and flux were investigated under rainfall and non-rainfall, respectively. Then, pollutant loading was evaluated by using the values of unit pollutant loading factor of each point and area of forest zone. Water quality analysis results of runoff by forest tree types were as follows. - Annual BOD, $COD_{Mn}\;and\;COD_{Cr}$ concentration of runoff in conifer area was high, and particle and biological recalcitrant compounds were flowed highly. - SS, T-N and T-P concentration was high in runoff from broad-leaved area, and biological degradable compounds was flowed. - Water quality of water from valley was maintained good under non-rainfall and could be utilized as fresh drinking water. Through water quality standard investigation, a countermeasure establishment was necessary to secure a good quality of drinking water - BOD, $COD_{Mn},\;and\;COD_{Cr}$ concentration of Bo-sung river was higher 1.5 times than other 2 streams, and because of high T-N, and T-P concentration in Songgwang stream, the management for this wa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