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science teachers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29초

중.고등학생을 위한 야외 지질 학습장 개발 및 야외 활동 지도 방안 (Development of Geological Field Courses and Field Activitie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 박진홍;정진우;조규성;이병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21
    • /
    • 2000
  • 야외 학습의 많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중 고등학교에서는 야외 지질 활동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최근에 지질 답사 지역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나, 대부분 지질학적 층서에 관한 서술적 설명으로 기재되어 있어 중 고등학생들에게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전문적인 내용보다는 지구과학 교사가 손쉽게 학생들을 데리고 야외로 나갈 수 있는 야외 학습 프로그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 고등학생을 위한 야외 지질 학습장을 개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수 학습 전략을 제시하여 일선 지구과학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 Lee, Eun-Ah;Choi, Seong-Hee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0-146
    • /
    • 2002
  • We have studied 73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NOS) using 120 true-false test items based on AAAS Benchmarks statements. We have found that participants have in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NOS, especially in understanding of five categories of conceptions; change and continuity in science, bias in scientific investigations, hypothesis in scientific investigations, things common in science, and science ethics. The result also indicate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primary pre-service teachers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From the analysis of consistency, we also found that this inadequate understanding comes from confusion rather than misconception. All the results support that there is a need of intens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concerning thenature of science.

물질의 입자성과 관련된 학생들의 오개념에 대한 중등 교사들의 지식과 인식 (Secondary Science Teachers' Awareness and Perceptions of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 박지애;한수진;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2-53
    • /
    • 2010
  • 교사들이 학생들의 오개념을 아는 것은 구성주의적인 수업 전략을 행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단계이다. 이 연구에서는 중등 교사들이 물질의 입자성과 관련된 학생들의 오개념을 인지하는 정도를 조사하고, 교사가 제시한 오개념 총 수의 차이를 배경 변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에서 어떻게 오개념을 사용하는지, 그리고 과학 개념을 지도하기 위해 오개념 파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인식도 조사하였다. 서울특별시 28개 중학교의 과학교사 87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사들이 제시한 오개념을 중학교 1학년 240명에게서 나타난 오개념과 비교 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집단적으로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의 유형을 대부분 알고 있었으나 실제로 학생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오개념이 무엇인지는 잘 예상하지 못하였다. 교사가 제시한 오개념 총 수는 교육 경력이 10년 미만이거나 학력이 높거나 전공이 화학인 교사 집단에서 더 많았다. 비록 대부분의 교사들이 학생들의 오개념을 아는 것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지만 실제 수업에서는 오개념을 자주 사용하지 않거나 단순한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수업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오개념을 알게 된 교사들이 많았으며 오개념에 관한 자료나 교사 양성 과정, 교사 재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오개념에 대해 알게 되었다고 응답한 교사는 드물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중등 교사와 학생의 환경 교육 교재에 대한 의견 분석 (Secondary Teachers' and Students' Opinion on Environmental Education Textbooks)

  • 신동희;손연아;고희령;이기영;이동엽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9권1호
    • /
    • pp.64-79
    • /
    • 200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make valuabl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EE) teaching materials through teachers' and students' opinions. In the summer of 2005, an opinionnaire was sent to 1,749 secondary school EE teachers and 270 teachers of them answered. One hundred and six middle school students and 196 high school students in Kyunggi area were also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opinionnaire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ix standards, fairness and accuracy, depth, emphasis on skill building, action orientation, instructional soundness, and usability, developed by NAAEE(1998). Most teachers were totally dependent on textbooks in their teaching EE. They evaluated current EE textbooks most positively in the perspective of 'fairness and accuracy', whereas they evaluated them most negatively in the perspective of 'usability'. The problems of EE textbooks were differently recognized by teachers and students. The lack of contents stimulating students' interest was considered as the most serious problem of EE textbooks by students. Simultaneously, it was considered as the least serious problem of EE textbooks by teachers. Both EE teachers and students expect the future EE textbooks would consist of proper contents to reflect EE characteristics.

  • PDF

Exploring Secondary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y in Understanding Democratic Citizenship

  • Young-Shin Park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42-358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democratic citizenship. This study utilized the democratic citizenship frame to assess 17 participants' comprehension of this concept. The researcher designed a method course where participants in groups analyzed science activities to identify democratic citizenship components. Through the analysis of two science activities-one on energy and the other on climate change-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panels addressing various global issues,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democratic citizenship was enhanced. Preservice teachers showed a good understanding of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nd STS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nd the most enhanced understanding of empathy, which was the least perceived in pre-survey, compon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The democratic citizenship frame proved to be a valuable tool for teaching and learning this topic, particularly when applied to socioscientific issues in the classroom. More research-based revisions of the science curriculum are necessary, and more systematic practices with reflections are essential in teacher education.

생태학적 관점에 입각한 환경 교육과정 개발 연구 - 교사에 대한 환경 교육 실태조사와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Standpoint of Ecology - A Survey of Environmental Education Situations and Needs Assessment of School Teachers -)

  • 김태현;신현철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0권2호
    • /
    • pp.87-100
    • /
    • 1997
  • This research aims to collect informations which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concerning the present situa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and needs assessment items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a sampl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ith diverse grades and locations. The results of our reserch are as fellows: 1. The awareness of key concepts related to environment problems. They are not aware of ecological interdependence but just focus on the result of environmental deterioration 2. The awareness of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prefer campaigns or legislations to environmental education. They want to take an Immediate action rather than a fundmental method like education in order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3. The awareness of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problems and natural or man-made circumstances: Most teachers emphasize recycle and reuse of the materials such as batteries, papers, plastics, cans. and bottles. but do not teach the importance of ecology. Only science and environment teachers do. 4. Environmentalism or ecology? Ideally teachers accept the importance of ecology, but in reality they cohoose environmentalism. 5. On the content and method of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insist that both environmental instruction and practical, first-hand experience should be given to not only elementary but secondary students, and that most of subject matters should deal with environmental issues. 6. On the situations and tasks of environmental education: School teachers indicate that they could not instill positive patterns of conduct toward environment in students. They think that both insufficient in-service training about environment and cooperation among teachers themselves are partially responsible for it.

  • PDF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 유무에 따른 통합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Awareness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with or without Common Science Teacher Qualification)

  • 지덕영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4-23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 유무가 공통과학 지도의 전문성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이에 따른 통합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8월까지 3달간 설문조사를 하였고, 객관식 문항은 통계처리를, 서술형 문항은 토픽모델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 가진 교사들이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으며, 통합과학교육의 가치, 방향, 성공조건의 모든 영역에서 응답 평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인지도 및 과학교육과의 통합 필요성 및 통합 의향의 응답 평균도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 가진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통합 시 강점에 대해서는 두 집단 간의 큰 인식 차이는 없었으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 소지한 교사는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모든 Topic에서 과학을 중심으로 두고 과학을 각 Topic의 매개체로 인식하고 있다는 차이를 보였다.

화학 교사에게 필요한 실험 능력 (Identification of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Ability to Carry-out Experimentation)

  • 박현주;정대홍;노석구;임희준;한재영;박종윤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65-773
    • /
    • 2009
  • 이 연구는 중등 화학 교사 전문성 및 지향점 제공을 위한 기초 조사로서, 실험 수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화학 교사의 실험 능력에 대한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 연구, 교과서 실험 분석, 과학 교사 설문 조사의 결과에 기초한 연구팀의 지속적인 논의를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화학 교사의 실험 능력 규명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정리하여 크게 네 개의 단계(실험 수업 준비, 실험 수행 및 정리, 실험실 관리, 실험실 안전 관리)로 나누고, 각 단계별로 실험 능력에 관련된 소영역과 세부 내용 요소를 선별 ․ 수정하여 재배치하였다. 실험실 안전 관리는 실험실 및 실험 활동에서 ‘안전’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별도의 단계로 구분하였다. 화학 교사가 갖추어야 할 실험 능력은 실험 수업 지도를 전제로 하여 교사 스스로 실험 수행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능력으로, 시약 및 측정기기 사용, 시료 준비, 실험 설계, 바른 실험 습관 및 숙련도, 자료 정리, 분석 및 추론, 그리고 실험실 관리 및 실험실 안전 관리에 관련된 능력으로 특정지어 질 수 있다.

현직 중등과학교사의 과학탐구능력 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효과에 대한 인식 (Developmental Study of an Inquiry-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In-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 박국태;박현주;김경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72-479
    • /
    • 2005
  • 이 연구는 과학교사의 탐구과학능력발달의 전문성을 위하여 교육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SSC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적용하고, 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과학교사의 탐구능력발달에 대한 전문성을 위한 일련의 프로그램으로, 과학교사 28명이 SSCS 워크샵과 연수를 통하여 SSCS 모듈을 개발하고, 시연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과학 교사들의 탐구능력발달 모듈을 개발, 그리고 적용과 효과에 대한 인식이라는 두 가지의 연구 문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과학 교사의 탐구능력발달 전문성은 SSCS 모델을 적용한 프로그램 개발과 수업 기술이 포함되며, 이것은 교사의 SSCS 모델 활용을 위하여 선결되어야 할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교사들이 인식하는 프로그램 적용의 구체적인 효과는 교사의 과학 및 과학 학습에 대한 스스로의 동기 유발, 탐구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 탐구 과학 수업에 대한 자신감 함양 등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과정이 요구하는 많은 시간과 노력과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상식은 실질적인 어려운 점으로 지적되었다. 한편 교사들은 교육과정 과학 시간상의 제약 실질적인 학습효과에 대한 불확실성, 프로그램 개발의 어려움, 다양한 수업 전략의 필요로 인하여 SSCS 프로그램의 학교 현장 적용에 다소 제한적인 관점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