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al forecast model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초

다변량 비정상 계절형 시계열모형의 예측력 비교 (Comparison of Forecasting Performance in Multivariate Nonstationary Seasonal Time Series Models)

  • 성병찬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8권1호
    • /
    • pp.13-2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계절성을 가지는 다변량 비정상 시계열자료의 분석 방법을 연구한다. 이를 위하여, 3가지의 다변량 시계열분석 모형(계절형 공적분 모형, 계절형 가변수를 가지는 비계절형 공적분 모형, 차분을 이용한 벡터자기회귀모형)을 고려하고, 한국의 실제 거시경제 자료를 이용하여 3가지 모형의 예측력을 비교한다. 공적분 모형은 단기적 예측에서 우수하였고, 장기적 예측에서는 차분을 이용한 벡터자기회귀모형이 우수하였다.

도시지역에 대한 환경용수의 계절전망 기법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Environmental Water Seasonal Outlook Method for the Urban Area)

  • 소재민;김정배;배덕효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7-76
    • /
    • 2018
  • There are 34 mega-cities with a population of more than 10 million in the world. One of the highly populated cities in the world is Seoul in South Korea. Seoul receives $1,140million\;m^3/year$ for domestic water, $2million\;m^3/year$ for agricultural water and $6million\;m^3/year$ for industrial water from multi-purpose dams. The maintenance water used for water conservation, ecosystem protection and landscape preservation is $158million\;m^3/year$, which is supplied from natural precipitation. Recently, the use of the other water for preservation of water quality and ecosystem protection in urban areas is increasing.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easonal forecast method of environmental water in urban areas (Seoul, Daejeon, Gwangju, Busan) and to evaluate its predictability. In order to estimate the seasonal outlook information of environmental water from Land Surface Model (LSM), we used the observation weather data of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 sites, forecast and hind cast data of GloSea5. In the past 30 years (1985 ~ 2014), precipitation, natural runoff and Urban Environmental Water Index (UEI) were analyzed in the 4 urban areas. We calculated the seasonal outlook values of the UEI based on GloSea5 for 2015 year and compared it to UEI based on observed data. The seasonal outlook of UEI in urban areas presented high predictability in the spring, autumn and winter. Studies have depicted that the proposed UEI will be useful for evaluating urban environmental water and the predictability of UEI using GloSea5 forecast data is likely to be high in the order of autumn, winter, spring and summer.

SARIMA 모형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량 예보 모형 구축 (Solar Power Generation Forecast Model Using Seasonal ARIMA)

  • 이동현;정아현;김진영;김창기;김현구;이영섭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9권3호
    • /
    • pp.59-66
    • /
    • 2019
  • New and renewable energy forecasts are key technology to reduce the annual operating cost of new and renewable facilities, and accuracy of forecasts is paramount. In this study, we intend to build a model for the prediction of short-term solar power generation for 1 hour to 3 hours.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two time series technique, ARIMA model without considering seasonality and SARIMA model with considering seasonality, comparing which technique has better predictive accuracy. Comparing predicted errors by MAE measures of solar power generation for 1 hour to 3 hours at four locations, the solar power forecast model using ARIMA was better in terms of predictive accuracy than the solar power forecast model using SARIMA. On the other hand, a comparison of predicted error by RMSE measures resulted in a solar power forecast model using SARIMA being better in terms of predictive accuracy than a solar power forecast model using ARIMA.

계절 ARIMA 모형을 이용한 국립공원 탐방수요 예측 (A Study on Forecasting Visit Demands of Korea National Park Using Seasonal ARIMA Model)

  • 심규원;권헌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1호
    • /
    • pp.124-130
    • /
    • 2011
  • 본 연구는 국립공원 탐방 수요예측에 적합한 모형을 추정하고, 계절 ARIMA Model을 이용하여 국립공원 탐방수요를 예측하였다. 분석 자료는 2003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우리나라 18개 국립공원의 월별 탐방객 수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ARIMA(1,0,0)(1,1,0)_{12}$모형이 국립공원 탐방수요를 예측하는데 적합한 모형으로 선정되었으며, MAPE를 이용한 사후평가 결과에서도 모형의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국립공원 탐방수요 예측기법의 신뢰성 및 타당성 향상과 함께 국립공원 관리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계절성을 감안한 ARIMA 모형을 이용한 교통수요 동태적 변화 연구 (A Study on Dynamic Change of Transportation Demand Using Seasonal ARIMA Model)

  • 이재민;권용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39-15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계절성(seasonality)을 감안한 적분된 자기회귀 이동평균 모형(ARIMA model)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지역 간 철도의 동태적 변화과정을 추정하고 장래 통행수요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기존 국내연구에서 고려하지 않은 계절성 요인을 감안한 ARIMA 모형(Seasonal ARIMA model)과 월별 지역 간 철도 통행실적자료를 이용하여 교통수요 동태적 변화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체적으로 2000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의 월별 수송인원 및 수송인-km 기준 지역 간 통행실적 자료를 이용하여 Box et al. (1994)에서 제시한 Seasonal ARIMA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장래 지역 간 철도 통행수요를 예측하였다. 장래 통행수요 예측 결과에 따르면 수송인원 기준으로 2015년 및 2020년에는 2008년의 각각 약 1.36배와 1.71배 수준으로 산정되었다. 또한 수송인-km 기준으로 2015년과 2020년에는 2008년의 각각 약 1.25배와 1.78배 정도로 예측되었다.

전지구 계절예측시스템 GloSea5의 최적 편의보정기법 선정 (A selection of optimal method for bias-correction in Global Seasonal Forecast System version 5 (GloSea5))

  • 손찬영;송정현;김세진;조영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8호
    • /
    • pp.551-562
    • /
    • 2017
  • 2014년부터 기상청에서 현업으로 활용하고 있는 전지구 계절예측시스템 GloSea5의 최대 6개월 예측 강수량을 수자원 및 여러 응용분야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예측모델이 가지는 관측자료와의 정량적인 편의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GloSea5의 예측 강수량에서 나타나는 편의를 보정하기 위해 확률분포형을 활용한 편의보정기법, 매개변수 및 비매개변수적 편의보정기법 등 총 11개의 기법을 활용하여 계절예측모델의 적용성을 평가하고 최적의 편의보정기법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과거재현기간에 대한 편의보정 결과, 비매개변수적 편의보정기법이 다른 기법에 비해 가장 관측자료와 유사하게 보정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예측기간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이상치를 발생시켰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매개변수적 편의보정기법은 과거재현기간 및 예측기간 모두 안정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자원운영 및 관리, 수력, 농업 등 계절예측모델을 활용한 여러 응용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펙트럼 분석과 계절성 선형 모델을 이용한 Intra-Day 콜센터 통화량예측 (Spectral Analysis Accompanied with Seasonal Linear Model as Applied to Intra-Day Call Prediction)

  • 신택수;김명석
    • 응용통계연구
    • /
    • 제24권2호
    • /
    • pp.217-22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스펙트럼 분석과 계절성 선형 모델을 이용하여 intra,-day 콜센터 통화량 예측에 필요한 계절성 변수를 찾아내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한 방법을 북미 지역의 어느 은행의 5분 단위 콜센터 통화량에 실증 적용하여 기존의 통계적 방법으로는 입증할 수 없었던 월 단위 계절성 변수가 유의함을 보인다. 새로이 찾아진 연수가 intra-day 콜센터 통화량 예측능력을 향상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새로운 변수를 포함하는 계절성 선형 모델과 이 변수를 포함하지 않은 계절성 선형 모델의 익일 통화량 예측능력을 비교 평가한다. 평가결과 새로운 변수를 포함한 모델이 우수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승법계절 ARIMA 모형에 의한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 추정과 예측 (Forecasting the Container Throughput of the Busan Port using a Seasonal Multiplicative ARIMA Model)

  • 이재득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23
    • /
    • 2013
  • 본 연구는 1992년부터 2011년까지 월별자료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시계열 추정모델과 승법 계절 ARIMA 모형을 설정하여 부산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을 추정하고 예측하였다. 여러 가지 모델로 추정한 결과 부산항의 컨테이너 물동량과 물동량 변동 모두 계절을 승법한 ARIMA 모델 $(1,0,1){\times}(1,0,1)_{12}$로 추정하였을 때, 추정결과와 Akaike information, Schwarz, Hannan-Quin 기준 등으로 보아, 가장 좋은 ARIMA 추정과 예측 모형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부산항 물동량 추정의 최적모형인 ARIMA $(1,0,1){\times}(1,0,1)_{12}$ 모형에 의해 향후 8년간 96개월에 대한 부산항 물동량 미래 예측치(2013-2020년)를 월별로 추정하여 예측한 결과 2013년부터 부산의 물동량은 연도별로 조금씩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일 것으로 나타났다. ARIMA $(1,0,1){\times}(1,0,1)_{12}$ 모형에 의한 부산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의 연도별 예측량은 2013년 1천 891만 TEU, 2014년 2천 34만 TEU, 2015년 2천 188만 TEU, 2016년 2천 353만 TEU, 2017년 2천 531만 TEU, 2018년 2천 722만 TEU 그리고 2020년 3천 148만 TEU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 최대 전력량 예측을 위한 통계모형 (Statistical Modeling for Forecasting Maximum Electricity Demand in Korea)

  • 윤상후;이영생;박정수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6권1호
    • /
    • pp.127-135
    • /
    • 2009
  • 한국의 경제규모가 꾸준히 커감에 따라 가정, 건물, 공장 등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력공급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최대전력량보다 전력공급능력이 높아야 한다. 월별 최대전력량을 잘 설명할 수 있는 통계모형을 찾기 위해 Winters 모형, 분해 시계열모형, ARMA 모형, 설명 변수를 통해 추세성분과 계절성분을 교정한 모형을 살펴보았다. 모형의 예측력 비교 기준으로 모형적합으로부터 구한 RMSE와 MAPE가 사용되었다. 여름철 최대전력량을 예측하기 위해 평균기온과 열대야 일수를 설명 변수로 갖는 시계열 모형이 가장 우수하였다. 아울러 외부요인을 갖는 극단분포 모형을 이용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공급사슬에서 계절적 수요를 고려한 채찍효과 측도의 개발 (Quantifying the Bullwhip Effect in a Supply Chain Considering Seasonal Demand)

  • 조동원;이영해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3-212
    • /
    • 2009
  • The bullwhip effect refers to the phenomenon where demand variability is amplified when one moves upward a supply chain. In this paper, we exactly quantify the bullwhip effect for cases of seasonal demand processes in a two-echelon supply chain with a single retailer and a single supplier. In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some measures of performance for the bullwhip effect are developed for cases of non-seasonal demand processes. The retailer performs demand forecast with a multiplicative seasonal mixed model by using the minimum mean square error forecasting technique and employs a base stock policy. With the developed bullwhip effect measure, we investigate the impact of seasonal factor on the bullwhip effect. Then, we prove that seasonal factor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occurrence of the bullwhip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