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al abundance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29초

우렁쉥이 이용에 관한 연구 -1. 계절 및 서식지에 따른 우렁쉥이의 화학성분조성- (Utilization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1. Chemical composition of Ascidian and its seasonal and regional variation-)

  • 이경호;박천수;홍병일;정우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12
    • /
    • 1993
  • 우리나라 전통수산식품의 성분에 관한 연구로서 우렁쉥이의 성장기인 $4{\sim}9$월 사이에 화학성분의 변화를 측정하고, 또한 서식장소에 따른 화학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상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월례산 우렁쉥이는 8월, 충무산 우렁쉥이는 7월이 채취적기라고 생각되었다. 2. 수분은 실험기간동안 감소하여 월례산은 9월에 $80.2\%$로 최저치를 나타내었으며, glycogen은 서서히 증가하여 8월에 $3.7\%$로 최고치를 나타내었고, 충무산의 수분함량은 8월에 $80.7\%$로 최저치를 보였고 glycogen은 7월에 $4.1\%$로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한편, 서식지에 관계없이 단백질과 지방은 8월에 최고치를 보였으며, 회분은 전 실험기간동안 $2.2{\sim}3.8\%$로 대체로 일정한 경향을 보였다. 3.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충무산 우렁쉥이(8.32g/100g)가 월례산(6.56g/100g) 우렁쉥이에 비하여 높았으며 asparagine, glutamic acid, taurine, aspartic acid, proline, lysine 둥이 주요 아미노산으로 이들 6종의 아미노산이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이에 비하여 histidine, methionine, cystine의 함량은 적었다. 4. 무기질함량은 모든 시료가 Na, K, Mg, Ca의 순으로 높았으며 이들이 무기질분석총량의 $96.14{\sim}99.10\%$를 차지하였다. 껍질의 경우도 가식부와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Na, Mg, K, Ca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특히 K의 함량은 가식부보다 약 3배 정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새만금 방조제 내측과 외측 조하대 대형저서동물의 생태학적 연구 (An ecological study on subtidal macrobenthos inside and outside of Saemangeum dike)

  • 김종춘;마채우;복영욱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42-449
    • /
    • 2014
  • 본 연구는 새만금 지역에 서식하는 조하대 대형저서동물의 계절별 종조성과 양적 변화를 조사하여 저서동물의 주요 종 분포와 군집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전체 종수는 총 64종이었으며, 분류군별로는 환형동물(Annelida)이 34종 출현하여 전체의 53.0%를 점유 하였으며, 절지동물(Arthropoda)과 연체동물(Mollusca)이 각각 12종 출현하여 18.8%을 차지하였으며, 기타동물(Other)이 6종으로 9.4%를 점유하였다. 개체수는 총 24,885개체로 단위 면적당 개체수는 4147.5개체/$m^2$였으며, 이중 환형동물이 19,805개체로 79.6%를 나타냈고, 연체동물이 4,620개체로 18.5%, 기타 295개체 1.19%, 절지동물 165개체 0.7%를 차지하였다. Bray-Curtis 유사도(Similarity)를 분석한 결과, 새만금방조제를 기준으로 내측과 외측의 2개 그룹(A, B)으로 구분되어 나누어졌다. 또한, nMDS분석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서오염지수(BPI)를 이용한 저서동물의 군집 분석결과, 각 정점별 지리적 위치, 내측 및 외측에 있어 뚜렷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계절별로는 3월에 가장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Species Composi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Euphausiids of the Yellow Sea and Relationships with Environmental Factors

  • Yoon, Won-Duk;Yang, Joon-Yong;Lim, Dong-Hyun;Cho, Sung-Hwan;Park, Gyung-Soo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1권1호
    • /
    • pp.11-29
    • /
    • 2006
  • We investigated species composi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euphausiid community in the Yellow Sea and identified the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factors (temperature, salinity, chlorophyll $\alpha$, nitrate, phosphate, and silicate) using bimonthly data from June, 1997 to April, 1998. The environment varied during the sampling period. In warm seasons, thermocline was well developed rendering lower temperature and higher salinit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the bottom layer. During cold seasons the water column was well mixed and no such vertical stratification was noted. Horizontal distribution of temperature, however, differed slightly between near-coast and offshore areas because of the shallow depth of the Yellow Sea, and between southern and northern areas because of the intrusion of water masses such as Yellow Sea Warm Current and Changjiang River Diluted Water. Four euphausiid species were identified: Euphausia pacifica, E. sanzoi, Pseudeuphausia sp. and Stylocheron affine. E. sanzoi and S. affine were collected, just one juvenile each, from the southern area in June and December, respectively. Pseudeuphausia sp. were collected in the eastern area all the year round except June. E. pacifica occurred at the whole study area and were the predominant species, representing at least 97.6% of the euphausiid abundance. Further,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pecies was varied in regards to developmental stages (adult, furcilia, calyptopis, egg). From spring to fall, E. pacifica adults were abundant in the central area where the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prevailed. Furcilia and calyptopis extended their distribution into nearly all the study area during the same period. From late fall to winter, adults were found at the near-coastal are a with similar pattern for furcilia and calyptopis. The distribution pattern of E. pacifica was consistent regarding temperature, salinity, and three nutrients during the sampling period, whereas chlorophyll $\alpha$ showed a different patter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The nutrients should indirectly affect via chlorophyll $\alpha$ and phytoplankton concentration. With respect to these results, we presented a scenario about how the environmental factors along with the water current affect the distribution of E. pacifica in the Yellow Sea.

경남 거제 명사 사질연안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Fish Assemblages in Sandy Shore of Myeongsa on Geoje Island, Korea)

  • 김준섭;이대희;박준수;한동훈;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19
    • /
    • 2012
  • 이번 연구는 잘피밭과 인접한 사질연안의 어류상을 관찰하고, 서식지로서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2009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실시하였다. 총 38종, 1,232개체 5,277.7 g이 채집되었으며, 주요 어종은 날개망둑($Favonigobius$ $gymnauchen$), 복섬($Takifugu$ $niphobles$), 미역치($Hypodytes$ $rubripinnis$), 그물코쥐치($Rudarius$ $ercodes$)이며 전체 개체수의 73.2%를, 생체량에서는 53.9%를 차지하였다. 월별 수온은 $11{\sim}25^{\circ}C$ 범위였으며, 염분은 29~35 psu 범위였다. 월별 종 다양성 지수는 0.89~2.35로 2010년 3월이 0.89로 가장 낮았으며, 6월이 2.35로 가장 높았다. 명사 사질연안의 어류 종조성과 풍도는 거제 구조라 사질연안보다 높았으며, 잘피밭에도 서식하는 어종이 다수 채집되었다. 다른 사질연안의 어류군집구조와 비교하여 명사 사질연안 어류 서식지의 특성을 서술하였다.

한국 고창군 하전 갯벌의 미세조류 및 환경의 시공간적 변화 (Spatio-temporal microalgal and environmental variations of the Hajeonri tidal flat, Gochang, Korea)

  • 정상옥;조윤식;최윤석;정희도;송재희;한형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43-75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2014년 2월부터 11월까지 전북 고창의 하전 해수와 갯벌 표면의 식물플랑크톤과 저서규조 및 그 서식환경의 시공간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해수에서는 2월부터 10월까지 매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종조성과 개체수 및 환경요인을 측정하였는데, 식물플랑크톤 엽록소 ${\alpha}$ 농도와 개체수는 2월에 가장 높았고 규조가 우점군이었으며 총 113종이 출현하였다. 저서규조 및 그 서식환경인 표층퇴적물에 관한 연구는 하전리 측선에서 간조 시에 계절별(2, 5, 8, 11월)로 각 9개의 정점에서 실시하였다. 표층퇴적물은 주로 사질실트와 사질니로 이루어졌으며, 유기물 오염도는 낮게 나타났다. 저서미세조류 생물량(엽록소 ${\alpha}$)은 봄과 여름에 높게 나타났다. 저서규조는 총 163종이 출현했으며 Navicula sp.1과 Paralia sulcata 두 종이 우점하였다. 해수와 저서 표층에서 동일시기에 출현한 종은 5종으로 관찰되었다.

금강 중.하류역의 이.화학적 수질특성 및 어류 군집특성 (Chemical Water Quality and Fish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the Mid- to Downstream Reach of Geum River)

  • 한정호;안광국
    • 환경생물
    • /
    • 제31권3호
    • /
    • pp.180-18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04~2005년에 금강 중 하류부의 이 화학적 수질 특성을 분석하였고, 또한 어종 분포 및 길드분석을 통해 어류 군집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대부분 수질 변수들은 몬순 장마기(7~8월)의 집중강우로 인해 계절적인 수질변이가 나타났다. BOD의 평균 농도는 각각 평균 $1.6mg\;L^{-1}$ (1차 조사), $4.0mg\;L^{-1}$ (2차 조사)으로 중류 지점에 비하여 하류지점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절별로 BOD 농도에서도 하류지점의 변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채집된 어류는 총 11과 34종이었으며, 이중 한국고유종에 속하는 종은 7종 (30.3%)이었다. 전체 어종 중 20% 이상의 비율을 보이는 종으로는 피라미가 25.9%, �瘟歷早“� 21.5%로 우점하여 나타났다. 국외에서 도입된 외래어종은 떡붕어 한 종만 출현하였고, 개체수 비교풍부도가 1.8%이었다. 회 유성 어종으로는 웅어, 뱀장어, 황복 3종이 출현하였다. 군집분석 결과에 따르면, 종 풍부도 지수는 다른 지점에 비해 많은 종이 출현한 최하류 구간 (S6)에서 3.714로 높게 나타났으며, 중류구간 (S4)에서 1.96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 다양도 지수는 중류구간 (S2) 1.01, 하류구간인 (S5)에서 0.507로 나타났다. 어류의 내성도 길드분석에 따르면, 내성종이 전체 중 49%를 차지하였고, 반면 민감종은 4.4%로 나타나 단연 내성종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섭식 길드분석에서는 잡식종은 49%, 충식종은 46.8%으로 유사한 구성비를 보였다.

북한강 수계에 출현한 남조류와 이취미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a Dense Population of Cyanobacteria and Odorous Compounds in the North Han River System in 2014 and 2015)

  • 변정환;황순진;김백호;박진락;이재관;임병진
    • 생태와환경
    • /
    • 제48권4호
    • /
    • pp.263-271
    • /
    • 2015
  • 본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2015년 3월까지 북한강 수계 3개의 연속댐 (의암호, 청평호, 팔당호)의 환경요인 및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등을 매월 1회씩 조사하였다. 3개 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규조류-남조류-규조류의 순서로 우점하는 계절성을 보였으며, 가을철 북한강 수계에서 남조 Pseudanabaena limnetica가 우점종으로 처음 출현하였다. 이취미 물질을 발생하는 남조 Anabaena circinalis, Pseudanabaena limnetica의 종이 우점종으로 출현한 시기에 이취미 물질인 Geosmin과 2-MIB 역시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환경요인과 남조류의 현존량과의 관계를 보면, A. circinalis의 경우 이취미 물질인 Geosmin (r=0.983, p<0.01)과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P. limnetica의 경우 영양염류 중 총질소 (r=0.685, p<0.01), 질산성질소 (r=0.723, p<0.01)와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고, 이취미 물질인 2-MIB (r=0.717, p<0.01)와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북한강 수계에서 나타나는 이취미 물질은 남조류 출현과 직, 간접적인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상수원 저수지 이취미 관리를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온천 배수 유입에 따른 소형 하천의 생태계 변화와 회복에 관한 연구 -소형 하천에서 온천 배수가 부착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Thermal Effluents on the Epilithic Algal Community in Small Stream Originating from the Seokjung Hot Spring)

  • 정연태;문연자;김미연;최민규;길봉섭
    • 환경생물
    • /
    • 제17권3호
    • /
    • pp.345-358
    • /
    • 1999
  • 본 연구는 온천 배수의 유입이 소형 하천의 부착조류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북 고창군 석정온천에 발원하는 하천과 그 주변의 소형 하천을 대상으로 1996년 2월부터 1998년 9월까지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온천 배수의 유입이 직접 일어나는 지점에서는 저온기에 남조의 Oscillatoria와 Phormidium이 중심이 된 독특한 남조피막이 형성되었다. 특히, 부착조류의 출현 및 군집구조는 온천 배수의 영향 하천과 비영향 하천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전체적으로 조사시기에 상관없이 규조의 높은 종 출현(전체의 58%)과 남조강의 높은 생물량(전체의 67%)이 대조적이었으며, 전자는 하천의 하류에 주로 분포하고, 후자는 집중적으로 상류에 분포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동계에 뚜렷하였으나, 계절이 전환되면서 보이지 않았다. 녹조와 유글레나류 등은 계절 및 지점에 큰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대부분의 환경요인들은 하천방향을 따라 강하게 감소하였으나, 질산성 질소는 하천방향에 따라 다소 증가하였다. 본 조사하천은 온천 이용이 저온기에 집중됨으로서, 배출지점에 남조피막과 같은 독특한 하천생태계가 형성되지만, 하천방향에 따라 비영향 하천의 유입, 남조피막과 하천퇴적물과의 상호작용 등에 의한 화학물질의 빠른 감소로 하천의 하류로 갈수록 심한 오염현상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온천배수의 지속적인 유입이 이루어진다면, 하천의 퇴행적 천이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RNA-sequencing을 이용한 제주도 인접 바다의 메타전사체 프로파일링 (Marine Metatranscriptome Profiling in the Sea Adjacent to Jeju Island, Korea, by RNA-sequencing)

  • 황진익;강민경;김강은;정승원;이택견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625-629
    • /
    • 2020
  • 바다는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생물체의 풍부한 자원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계절에 따른 제주 바다의 해양 미생물 군집을 확인하기 위해 3월과 12월에 해수 샘플을 수집하여 total RNA를 추출, HiSeq2000 및 de novo 전사체 어셈블리를 사용한 NGS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3월 및 12월 시료에서 각각 652,984 및 163,759 개의 전사체를 확인하였다. 3월 샘플에서는 해양 박테리아가 우점하였으나 12월 샘플에서는 진핵생물이 우점하였다. 박테리아 군집은 두 샘플간에 상이하였으며, 이는 계절 변화 동안 박테리아 군집이 변화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해양바이러스를 확인하기 위하여, Megablast를 사용하여 바이러스 참조 데이터베이스에 전사체를 검색하였다. 해양박테리아를 감염시키는 박테리오파지가 두 샘플에서 우점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우리는 두 개의 전사체에서 다양한 헤르페스바이러스와 관련된 transcripts가 풍부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제주도 인근 바다에서 물고기를 감염시키는 헤르페스바이러스의 위협 가능성을 나타낸다. 종합하면, 우리의 데이터는 해양 커뮤니티 연구 및 가능한 해양 바이러스 병원체를 식별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Four Year Surveillance of the Vector Hard Ticks for SFTS, Ganghwa-do, Republic of Korea

  • Kim-Jeon, Myung-Deok;Jegal, Seung;Jun, Hojong;Jung, Haneul;Park, Seo Hye;Ahn, Seong Kyu;Lee, Jinyoung;Gong, Young Woo;Joo, Kwangsig;Kwon, Mun Ju;Roh, Jong Yul;Lee, Wook-Gyo;Bahk, Young Yil;Kim, Tong-So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7권6호
    • /
    • pp.691-698
    • /
    • 2019
  • The seasonal abundance of hard ticks that transmit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was monitored with a collection trap method every April to November during 2015-2018 and with a flagging method every July and August during 2015-2018 in Ganghwa-do (island)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Republic of Korea. This monitoring was performed in a copse, a short grass field, coniferous forest and broad-leaved forest. A total of 17,457 ticks (8,277 larvae, 4,137 nymphs, 3,389 females, and 1,654 males) of the ixodid ticks comprising 3 species (Haemaphysalis longicornis, H. flava, and Ixodes nipponensis) were collected with collection traps. Of the identified ticks, H. longicornis was the most frequently collected ticks (except larval ticks) (94.26%, 8,653/9,180 ticks (nymphs and adults)), followed by H. flava (5.71%, 524/9,180) and Ix. nipponensis (less than 0.04%, 3/9,180). The ticks collected with collecting traps were pooled and assayed for the presence of SFTS virus with negative results. In addition, for monitoring the prevalence of hard ticks, a total of 7,461 ticks (5,529 larvae, 1,272 nymphs, 469 females, and 191 males) of the ixodid ticks comprising 3 species (H. longicornis, H. flava, and Ix. nipponensis) were collected with flagging method. H. longicornis was the highest collected ticks (except larval ticks) (99.53%, 1,908/1,917 ticks (nymphs and adults)), followed by H. flava (1.15%, 22/1,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