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dike construction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7초

조간대 갯벌지형 영상 관측 고찰 (Study on Intertidal Flat Topography Observation Using Camera Images)

  • 김태림;박석광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1권4호
    • /
    • pp.145-151
    • /
    • 2006
  • 밀물시 조간대 갯벌에서 이동하는 수륙 경계선은 간조와 만조 정선사이에서의 등고선을 나타낸다. 이를 연속 촬영한 영상에서 수륙 경계선을 추출하여 기하보정을 하면 각 등고선에 대한 실제 공간 좌표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모두 통합함으로서 조간대 지형에 대한 3차원 지형 정보를 얻는다. 새만금 1호 방조제 외측 갯벌은 방조제 건설이후 방조제 외측에서 가장 뚜렷한 갯벌 지형 변화를 보이는 곳이다. 이 지역의 갯벌 지형에 대하여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관측을 수행하여 지형을 관측하였으며, 이를 현장 관측한 자료와 비교한 결과 유사한 높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시기에 영상 관측된 지형 자료로부터 그 변화를 검토하였다.

새만금 방조제 체절 이후 초기의 수질변화에 관한 연구 (The Early-Stage Changes of Water Qualities after the Saemangeum Sea-dike Construction)

  • 양재삼;정용훈;지광희;김현수;최정훈;김원장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99-213
    • /
    • 2008
  • 2006년 4월 새만금의 외곽 방조제가 완전히 체절됨에 따라 방조제 내부수역은 염수호수로 전환되었다. 방조제가 조성되는 과정 동안 호수의 수질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07년까지 4회의 고정 관측과 13회의 공간 관측이 이루어졌다. 조사 기간 동안 염분, 부유물질, 영양염(DIN, DIP, DISi), 엽록소-$\alpha$를 분석하여 방조제 조성 이후 초기의 수질 변화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방조제 체절로 인해 내측의 호수에서 조석의 약화는 저층 퇴적물의 재부유현상을 약화시켰고, 수중의 부유물질 농도를 감소시켰다. 이로서 태양광이 수층의 깊은 곳까지 침투할 수 있게 되었고, 자연히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이 증가되었을 것이며, 이러한 현상은 엽록소-$\alpha$의 농도가 약 2배 정도 증가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의 급격한 성장과 수중의 부유물질의 농도 감소는 표층수의 DIP 농도를 더욱 감소시키는 결과로 나타났고, 이에 반해 표층수의 DIN과 DISi는 방조제 체절 이후 새만금호 내에서 확장된 담수의 영향과 저층에서의 공급으로 인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소비에도 불구하고 체절 이후에 증가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따라 수중의 N/P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었고, DIP가 일차생산의 제한인자로서 작용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새만금호는 방조제의 체절로 인하여 과거에 전형적인 대조차 연안환경에서 DIP가 일차생산의 제한인자로 작용하는 기수환경으로 전환되었다. 금강 하구언 조설 이후 금강하구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났으나, 새 만금호수의 경우 현재까지 해수 유통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염수쐐기현상을 통해 저층으로 유입한 해수로 인해 염분 성층이 발생한다면 여름철에 저층에 국부적인 빈산소층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비한 집중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 PDF

역경사 현태를 가진 방조제 성토층 단명에서의 침출현상 연구 (A Study on Seepage Characteristics in Case of Seaward Seepage Through Sea-dike)

  • 홍변만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3-51
    • /
    • 1998
  • In design and management of sea0dikes, engineers need to study various transient seepage conditions through dikes not only for the sea water infiltration into dikes due to cyclic rises of sea water level also for the seepage flow out from dikes toward the sea due to cyclic drawdown of sea water level. Characteristics of seepage flow toward the sea from dikes are more complicated than as known and remained unclearly. The case of such seepage flow may be explained by figuring out seepage characteristics in filter as a part of sea-dikes. Filters in most sea-dikes in Korea are inevitably placed with reversely inclined shape due to field construction conditions. Most computer programs for seepage analysis based on the various numerical methods give practically acceptable results, but for the case of reversely inclined section of filters any verification to apply them might be needed. In this study, large scaled model tests were executed to verify and understand seepage flow through earth-filled sea-dikes. The results from numerical analysis and model tests show some remarkable differences in pore pressure distribution under cyclic changes of see level, and some of the results need to be considered in design and construction practices with further study.

  • PDF

영산강 하구 해수역의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생체량(chlorophyll-a) 변동 특성: 장기(2009-2018년) 자료 분석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Chlorophyll-a in the Seawater Zone of the Yeongsan River Estuary: Long-term (2009-2018) Data Analysis)

  • 박상준;신용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13-27
    • /
    • 2022
  • The Yeongsan River estuary was altered by a sea dike built in 1981 and the sluice gates in the dike were extended recently in 2014. The construction has caused changes in water properties and hydrodynamics and also produced disturbances including hypoxia and algal blooms. We analyzed the water quality and chlorophyll-a data (2009-2018) collected seasonally at 3 stations (Sts. 1-3) along the channel of the estuary by the Marine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Variations in water quality and chlorophyll-a (an index of phytoplankton biomass) were examined and their stressors were also identified by statistics including correlation and multivariate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PCA). The water quality was mainly affected by freshwater discharge from the dike. Salinity, nutrients and chlorophyll-a were especially affected by the discharge and the effect enhanced during summer and at the upper region near the sea dike decreasing downstream.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for each station in the PCA accounting for 66.07-72.42% of the variations. The first was an external factor associated with freshwater discharge and the second and third were seasonal or biological factor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water quality is more affected by short-termed and episodic events such as freshwater discharge than seasonal events and the influence of freshwater discharge on water quality is more extensive than that previously reported. This suggests that the boundary of the estuary should be extended to take into accou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nd a management strategy linked to the freshwater zone is required to manage the integrity and water quality of the Yeongsan River estuary.

그라우팅을 통한 방조제 바닥보호공 차수공법 현장 적용성 검증 (The verification of the application of grouting in the bottom protection work of sea dikes in the field)

  • 이소열;최세경;정일한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29-39
    • /
    • 2010
  • By understand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sea dikes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thickness and speed of fluid in the bottom layer protection work of final closure gaps, a construction method applicable for the blocking of bottom layer work will be selected. The three construction methods selected will be tested in site through various methods, and the reinforcement of bottom layer protection and impervious effect will be verified. The verification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overall riprap layer were 0.5~1.0m thicker than planned so that the grouting depth and grout input amount increased 2) The applied construction methods permeability of riprap layers were improved from $\alpha{\times}10^{-2}cm/s$ before the construction to $\alpha{\times}10^{-4}cm/s$ after construction. 3) The results of core extraction in order to grossly verify the hardening time and durability allowed the identification of grout injection effect. The amount of filling of the injection was difficult to judge because the slime in many areas made the reading of borehole photography difficult.

  • PDF

인공구조물에 의한 대항리 갯벌의 장기 지형변화 (Effect of Artificial Structures on the Long-Term Topographic Changes at Daehang-ri Intertidal Flat, the West Coast of Korea)

  • 최태진;정의영;양영진;최진용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2권2호
    • /
    • pp.75-82
    • /
    • 2020
  • The Daehang-ri intertidal flat located the just outside of the Saemangeum dike has been reported to show new-developing flats. Based on the topographic surveys of 21 times from 2000 to 2016 by a leveling method every year, this site clearly shows variation of deposition/erosion in time and space. Deposition has consistently occurred at the rate of +3.75 cm per year at the area along the dike (Zone 1), and this tidal flat is expanding and prograding seaward. In the area of far from the dike (Zone 2), on the other hand, erosion prevails at the rate of -2.38 cm per year, and this zone tends to retreat landward. However, the erosional trend of Zone 2 has slightly slowed down since 2014. As a whole from 2000 to 2016, net deposition is recorded over 3.0 m at the upper beach and the area adjacent to the dike (Zone 1), while erosion up to 1.0 m in Zone 2. In conclusion, the results at the Daehang-ri intertidal flat clearly revealed that its topographic changes were induced by the artificial structures and water masses through its sluice gate. Counter-clockwise gyre newly created after the sea dikes construction probably results in relocating of sediment outside the dike 1 by transportation of materials eroded from the south to the north along the coast.

새만금 수역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경년(2001-2010) 변화 (Annual Variations(2001-2010) of Phytoplankton Standing Stocks in Saemangeum Water Region)

  • 여환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326-4333
    • /
    • 2012
  • 새만금 방조제 건설기간에 해당하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 새만금 수역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조사 시기 및 조사 정점에 따라 57 - 85,219 cells/ml의 큰 변화를 보였다. 새만금호 내부 수역은 담수 및 해수의 유입량 변화와 계절변화에 기인하여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시공간적으로 변화하였다. 한편, 담수 정점들은 상시적으로 높은 현존량이 기록되어 녹조발생이 잦았으나 방조제 밖 해수역의 현존량은 보편적 범위에 있어왔다. 장기적 관점에서 방조제 물막이 공사 완공(2006년 4월)을 전후하여 비교할 때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금강하구역의 수동력학적 변화 (1) -관측자료를 중심으로- (Hydrodynamic Changes in the Keum River Estuary (1) - By Field Observed Data Analysis -)

  • 서승원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17
    • /
    • 1998
  • 다양한 공사가 진행되는 금강하구의 수동역학 변화를 조석 및 조류 그리고 수심변화등의 관측자료를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2년여에 걸쳐 수집된 수심측정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군산외항부근의 도류제 축조구간에서는 뚜렷한 조류속도의 증가와 연평균 50 cm에 다다르는 세굴이 진행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군장산업단지조성호안공사 및 새만금4호 방조제 축조 내면 간사지에서는 가을철 2개월에 30cm의 퇴적이 관측되는 등 유속의 둔화와 함께 퇴적이 급속히 진전되는 현상으로 수동역학의 전이 현상이 나타나 공사로 인한 금강하구의 수동역학체계는 매우 급격하게 변화됨을 보인다

  • PDF

시화호의 수환경 진단과 수질회복 평가 (Diagnosis of Water Environment and Assessment of Water Quality Restoration in Lake Shihwa)

  • 김동섭;고석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551-559
    • /
    • 2000
  • 서해안의 신도시 및 산업단지 근교에 위치한 인공 시화호에서 유입지천 부근의 상류쿠터 최하류의 수문부근까지 3~8개 지점에서 1994년~1999년에 걸쳐 수환경 오인을 매월 1~2회 조사하였다. 환경요인은 연평균 $COD_{Mn}$, 엽록소 $\alpha$, 총질소, 총인농도 및 투명도가 각각 5.2~15.1mg/L, $7.3~148.1\;\mu\textrm{g}$/L, 1.50~4.48 mgN/L, 0.055~0.281 mgP/L 및 0.5~1.4 m로서 중영양단계에서 과영양단계까지의 수질을 보였다. 시화호가 조성된 1994년부터 1997년 3월 이전까지의 수질은 외부 또는 내부의 저층으로부터 부하되는 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호소내에 축적되어 극도로 악화되었다. 수질오염은 연중 식물플랑크톤이 대발생하는 생물학적 현상으로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1997년 3월부터 1999년까지는 다양한 수질개선대책의 시행으로 빠른 속도의 수질회복이 관찰되었고, 1999년의 수질은 담수화 초기의 수질로 회복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화호의 수질회복은 1997년 7월부터 시행한 해수유통에 의해 가장 큰 효과를 보였고, 1997년 3월부터 운영한 반월공단 및 시화공장의 차집수로에 의한 유입부하량 저감으로 수질회복효과를 더욱 향상시킨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시화호와 인근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분포로 본 시화호의 생태적 안정성 (Ecological Stability of the Shihwa Lake Evaluated by Zooplankton Distribution in the Lake Shihwa and Adjacent Coastal Area)

  • 박철;허성회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권2호
    • /
    • pp.87-91
    • /
    • 1997
  • 시화 방조제의 건설로 형성된 시화 인공호수의 생태적 안정성을 동물플랑크톤의 종 조성과 생물량 변동을 통해 파악하였다. 방조제 바깥쪽 해수면의 동물플랑크톤은 인근 아산만의 경우와 매우 유사한 종 조성과 계절간 변동을 보였다. 그러나, 시화호의 동물플랑크톤은 기수종으로 알려진 요각류 Sinocalanus tenellus 단 한종이 차지하는 비율이 절대적으로 높았으며(봄철 약 66%, 겨울철 약 80%, 여름과 가을에는 98% 이상 점유), 종 조성이 매우 단순하였고, 생물량에 있어서도 $10^4$ 단위까지 차이가 나는 매우 격심한 변동을 보였다. 이러한 변동은 인공호수인 시화호가 생태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상태에 있음을 보이는 것이며, 그 원인은 담수 유입시의 오염 부하량의 변화나, 부정기적인 수문의 개폐와 수문 개폐시의 물의 흐름 방향의 가변성 등에 기인된 염분의 불규칙적인 변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