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 wave

검색결과 1,207건 처리시간 0.028초

한파에 따른 표층수온의 지연시간 고찰 - 서해, 남해 - (Consideration of Time Lag of Sea Surface Temperature due to Extreme Cold Wave - West Sea, South Sea -)

  • 김주연;박명희;이준수;안지숙;한인성;권미옥;송지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01-70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강한 한파가 발생했던 2018년과 온난 한파가 발생했던 2019년의 기온에 따른 수온의 반응 및 지연시간과 북풍계열 바람 빈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사용된 시간 자료는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제공하는 7개 지점 해역별 수온자료와 수온관측소 인근 7개 지점 AWS 기온자료를 이용하였다. 관측되지 못한 자료는 내삽법으로 근사값을 계산하였고, FIR Filter를 이용하여 자료의 주기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강한 한파가 발생했던 2018년은 북풍계열 바람을 통해 차가운 공기가 남하하면서 기온을 하강시켜 전 해역에 저수온을 유발한 반면 온난 한파가 발생했던 2019년은 평년 수준의 기온으로 하강하였지만 수온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강한 한파가 발생했던 2018년 기온 하강에 따른 수온의 지연시간은 평균 14시간으로 0.7 이상의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고 온난 한파가 발생했던 2019년은 평균 지연시간이 20시간으로 0.44-0.67 사이의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해역별로 기온 하강에 따른 표층수온의 반응을 해석하였고 지연시간을 파악함으로써 양식생물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한파 피해의 신속한 대응에 기여할 수 것으로 기대한다.

표면파 성분을 고려한 해면전파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enomena of Sea Propagation Considering Surface Wave)

  • 서덕수;이민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376-383
    • /
    • 1996
  • 일반적인 수직 다이폴 안테나에 대한 전자계 해석은 공간파 성분을 주로 다루고 있다. 하지만 공간파 성분만을 고려하띤 수산점이 매칠 표면에 가까울수록 수신 전계강도가 급격히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라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표면파 성분을 공간파 성분과 함께 고려하였다. 표변파 성분을 유도하기 위해 벡더 포텐셜을 각 스펙트럼으로 변환하여 해석하면 최종적인 전계식에 공간파 성분과 표면파 성분이 포함된다 이러한 최종전계식을 이용하여 해면에서 나타나는 표면파 영향을 분석하고 그래프를 통하여 해 면천파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 세부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이동 통신 주파수대인 880,2MHz에서의 측정값을 그래프를 통해 이론값과 비교함으로써 이론식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3D Numerical Investigation on Reservoir System for an Overtopping Wave Energy Convertor

  • Jin, Jiyuan;Liu, Zhen;Hong, Key-Yong;Hyun, Beom-Soo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7-103
    • /
    • 2012
  • Overtopping Wave Energy Convertor (OWEC) is an offshore wave energy convertor, which comprises the circular ramp and reservoir. It collects the overtopped waves and converting water pressure head into electric power through the hydro-turbines installed in the vertical duct, which is fixed in the sea bed. The performance of OWEC can be represented by the operating water heads of the device, which depends on the amount of the wave water overtopping into the reservoir. In the present paper, the reservoir with the duct connecting to the sea water are studied in the 3D numerical wave tank, which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oftware Fluent 6.3. Both the overtopping motion and the discharges of the reservoir are investigated together, and several shape parameters and incident wave conditions are varied to demonstrate their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OWEC.

동해 한국대륙주변부 정동진 연안 지층의 지음향 모델 (Geoacoustic Model of Coastal Bottom Strata at Jeongdongjin in the Korean Continental Margin of the East Sea)

  • 양우헌;김성필;김대철;한주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00-210
    • /
    • 2016
  • 지음향 모델링은 퇴적층과 기반암의 해저 지층을 통해 전파되는 음파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연구는 동해 한국대륙주변부의 정동진 해역에서 50 m 퇴적층 심도의 4개 지음향 모델을 구성하였다. 지층 모델은 고해상 에어건 탄성파 자료, SBP 자료, 퇴적물 코어에 근거한다. P파 속도는 신호투과법에 의해 측정되었고, 압전기 트랜스듀서의 공진 중심 주파수는 1 MHz를 유지하였다. 42개 P파 속도와 41개 음감쇠 측정이 세 개 코어 퇴적물에서 수행되었다. 실제 모델링을 위해, 모델의 P파 속도는 Hamilton 방법을 이용하여 해저면 아래 현장 심도 속도로 보정하였다. 연안 지층의 이 지음향 모델은 동해 정동진 해역에서 지음향 특성의 수직/수평 변화를 반영하는 지음향/수중음향 실험을 위해 활용될 것이다.

우리나라 서해에서 발생한 겨울철 고파의 관측자료 분석 (Analysis of the Observation Data for Winter-Season High Waves Occurred in the West Sea of Korea)

  • 오상호;정원무;김상익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168-174
    • /
    • 2015
  • 우리나라 서해안 다섯 개 관측점에서 취득된 파랑자료를 분석하여 겨울철 서해에서 발생한 고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고파가 발생하였던 네 시기를 선별하여 그 기간 동안의 파랑 및 기상자료를 함께 분석에 이용하였다. 이들 관측 기간 중 유의파고의 최대값은 2005년 12월 4일에 관측된 6.42 m였다. 분석 결과로부터 온대성저기압이 급속하게 발달할 때 서해상에 형성되는 강한 바람장에 의해 고파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파랑 관측점에서의 파고의 시간적 변화는 인근 기상관측점에서의 풍속의 시간적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나타냈으며, 이는 서해상에서 생성된 고파가 풍파의 성격이 지배적임을 나타낸다.

양향성 대륙붕의 대륙붕파 (III): 강제파와 황해에서의 바람에 의한 해수순환 (Coastally Trapped Waves over a Double Shelf Topography(III) : Forced Waves and Circulations Driven by Winds in the Yellow Sea)

  • 방익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57-473
    • /
    • 1992
  • 양향성 대륙붕에서 1차 파동방정식은 양 해안경계에서의 바람응력과, 대륙붕폭에 걸친 바람응력의 회전효과를 갖는다. 황해에서 바람응력 회전효과는 대륙붕파를 발생시키는 힘으로서 무시될 수 있다. 켈빈파는 대륙붕파보다 약화될 때까지의 거리가 매우 크기 때문에 황해 북쪽만(별)을 거의 약화되지 않고 통과할 수 있다. 파동특성을 따라 적분하는 수치방법은 반대방향으로 전파되는 파동을 수용하기 위해 조절되었다. 보다 실제와 가까운 해안선을 사용한 결과, 모델재생이 해류에서는 개선되었으나 해수면에서는 거의 개선되지 않았다. 이것은 해수면을 주로 결정하는 켈빈파가 해저지형의 변화에 영향을 극히 적게 받음을 의미한다 보다 개선된 해수면 재생을 위해서는 동지나 해에서 황해로 전파되는 켈빈파의 에너지를 알 필요가 있다. 해안을 따른 순풍류와 골을 따른 역풍류의 기본구조는 계절풍에 의해 발생하는 황해의 계절순환을 뒷받침한다.

  • PDF

준설해사로 충진된 바닥보호공의 형상 및 침투유속평가 (Seepage Velocity and Borehole Image of Bottom Protection Layer Filled with Dredged Sand in Sea Dyke)

  • 오영인;강병윤;김기년;조영권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727-1734
    • /
    • 2008
  • After the final closure of sea dyke, seepage behaviour of embankment is highly changed by variation of water head different between tide wave and controlled water level at fresh lake. Especially, the seepage behaviour of bottom protection layer of final closure section is more important factor for structural and functional stability of sea dyke, because of the bottom protection layer of final closure section is penetrated sea side to fresh lake. Even though bottom protection layer was filled with dredged fine sand, it has a high permeability. In this paper, mainly described about the seepage velocity and borehole image of bottom protection layer filled with dredged sand after final closure. Various in-situ tests such as BIPS (Borehole Image Processing System) and ABI (Acoustic Borehole Imager) survey, wave velocity measuring, and color tracer survey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seepage behavior of bottom protection layer. Based on the in-situ tests, the bottom protection layer of final closure section was almost filled with dredged sand which is slightly coarse grain sand and there have sea water flow by water head different between tide wave and controlled water level at fresh lake. Also, comply with tracer survey results, the sea water flow path was not exist or generated in the bottom protection layer. However, because of this result not only short term survey but also just one test borehole survey results, additional long term and other borehole tests are needed.

  • PDF

Hydroelastic analysis of a truss pontoon Mobile Offshore Base

  • Somansundar, S.;Selvam, R. Panneer;Karmakar, D.
    • Ocean Systems Engineering
    • /
    • 제9권4호
    • /
    • pp.423-448
    • /
    • 2019
  •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s (VLFS) are one among the solution to pursu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ustainable technology in birthing land from the sea. VLFS are extra-large in size and mostly extra-long in span. VLFS may be classified into two broad categories, namely the pontoon type and semi-submersible type. The pontoon-type VLFS is a flat box structure floating on the sea surface and suitable in regions with lower sea state. The semi-submersible VLFS has a deck raised above the sea level and supported by columns which are connected to submerged pontoons and are subjected to less wave forces. These structures are very flexible compared to other kinds of offshore structures, and its elastic deformations are more important than their rigid body motions. This paper presents hydroelastic analysis carried out on an innovative VLFS called truss pontoon Mobile Offshore Base (MOB) platform concept proposed by Srinivasan and Sundaravadivelu (2013). The truss pontoon MOB is modelled and hydroelastic analysis is carried out using HYDRAN-XR* for regular 0° waves heading angle. Results are presented for variation of added mass and damping coefficients, diffraction and wave excitation forces, RAOs for translational, rotation and deformational modes and vertical displacement at salient sections with respect to wave periods.

Implementation of a Joint System for Waves and Currents in the Black Sea

  • Toderascu, Robert;Rusu, Eugen
    • International Journal of Ocean System Engineering
    • /
    • 제4권1호
    • /
    • pp.29-42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implementation of a joint modeling system able to evaluate the propagation of the polluting agents in the marine environment. The system is composed by circulation model (Mohid) and a spectral wave model (SWAN). The results coming from the circulation model are provided as input to the SWAN simulations. Following this target the Mohid water circulation model was implemented and calibrated in the Black Sea basin. The current simulations were run for one year (2010) with a time step of 24 hours, using wind fields from ECMWF. The results concerning the current fields were introduced into SWA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the SWAN simulations with and without the current input from Mohid was assessed. In this regard, 10 points where the significant wave height difference is higher were considered and analyzed. The conclusion of the work is that such a joint system provides more reliable results concerning the wave and current conditions in the Black Sea as it is very useful in providing the support in the case of the environmental alerts that may occur in marine environments.

수직이착륙 무인기 함상 착륙점의 상하 운동 추정 (Heave Motion Estimation of a Ship Deck for Shipboard Landing of a VTOL UAV)

  • 조암;유창선;강영신;박범진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4-19
    • /
    • 2014
  • When a helicopter lands on a ship deck in high sea states, one of main difficulties is the ship motion by sea wave, In case of a manned helicopter, a pilot lands a helicopter on the deck during quiescent period of ship motion, which is perceived from different visual cues around landing spot. The capability to predict this quiescent period is very important especially for shipboard recovery of VTOL UAV in harsh environments. This paper describes how to predict heave motion of a ship for shipboard landing of a VTOL UAV. For simulation, ship motion by sea wave was generated using a 4,000 ton class US destroyer model. Heave motion of ship deck was predicted by applying auto-regression method to generated time series data of ship 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