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ea mustard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31초

김·미역 양식의 기후변화 피해비용 분석 (Analysis of the Costs of Climate Change Damage to Laver and Sea Mustard Aquaculture in Korea)

  • 윤유진;김봉태
    • 수산경영론집
    • /
    • 제54권2호
    • /
    • pp.045-058
    • /
    • 2023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st of climate change damages to laver and sea mustard aquaculture, which are considered to be highly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correlation between aquaculture production and climate factors such as water temperature, salinity, ai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was estimated using a panel regression model. The SSP scenario was applied to predict the changes in production and damage costs due to changes in future climate fac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laver production is predicted to decrease by 18.0-27.2% in 2050 and 20.6-61.6% in 2100, and damage costs are predicted to increase from 29.7-50.8 billion KRW in 2050 to 35.7-116.1 billion KRW in 2100. Sea mustard production is projected to decrease by 24.5-37.2% in 2050 and 24.0-34.5% in 2100, with similar damage costs of 41.1-61.8 billion KRW and 41.1-58.6 billion KRW, respectively. These damage costs are expected to occur in the short term as damage caused by fishery disasters such as high temperatures, and in the long term as a decrease in production due to changes in aquaculture sites. Therefore, measures such as strengthening the forecasting system to prevent high-temperature damage, developing high-temperature-resistant varieties, and relocating fishing grounds in response to changes in aquaculture sites will be necessary.

Studies on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Seaweeds Protein-Polysaccharides

  • Lee, Yong-Kyu;Jung, Sook-Hy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3호
    • /
    • pp.272-276
    • /
    • 1998
  • Polysaccharide content in protein-polysaccharides (PPS) extracted from sea mustard, sea tangle and fusiform were 40.61, 38.42 and 52.80% , respectively. 5% of sea tangle PPS showed highest inhibitory activity on 4-nitorquinoline -1-oxide(4-NQO)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compared to the other seaweed PPS. 5% of sea mustard PPS showed highest inhibition ration of 62% on 2-nitrofluorene(2-NF)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hese PPS extracts showed cytotoxic activity against human colon cancer cell (SW-480), and showed mild cytotoxic activity on human stomach cancer cell(SNU-1) and human hepatic cancer cell(HepG 2).

  • PDF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Uncooked Foods Treated with Electrolyzed Water

  • Jin, Tie-Van;Oh, Deog-Hwan;Eun, Jong-B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72-79
    • /
    • 2008
  • In this study,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uncooked foods, including carrots, cabbage, shiitake (Lentinus edodes) and white button (Agaricus bisporus) mushrooms, sea mustard, and laver treated with electrolyzed water were investigated. No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primary compositions of any of the materials that were hot air- or freeze-dried after being treated with electrolyzed water. The l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of the carrots, shiitake, and laver were not affected by drying, while changes did occur in the cabbage (L-, a-, and b-values), mushrooms (a-value), and sea mustard (b-value) specimens that were hot air- or freeze-dried following the treatments with electrolyzed water. The dietary fiber contents of all the materials increased when they were hot air-dried. Vitamin C content decreased when the samples were treated with alkalic electrolyzed water. No changes occurred in the lectin, $\beta$-carotene, or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after the electrolyzed water treatments, suggesting that electrolyzed water could be used effectively as a pasteurization step for uncooked carrots, cabbage, shiitake and white button mushrooms, sea mustard, and laver.

미생물을 이용한 해조류의 가수분해 및 이용 -I. 다시마와 미역을 가수분해시키는 미생물군의 탐색- (Studies on the Hydrolysis of Seaweed Using Microorganisms and Its Application -I. Screening of Microfloras Involved in Hydrolysis of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and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 김해섭;배태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38-444
    • /
    • 2002
  • 조직이 단단하여 이용률이 낮은 해조류의 조직을 가수분해시키고 유용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자연계에서 미생물을 탐색하여 해조류의 가수분해에 사용하고자 하였다. 우선 자연계에서 약 200종류의 미생물군 시료를 수집하고, 이중에서 다시마와 미역의 조직파괴가 인정되는 33군의 시료를 사용하여 다시마와 미역의 조직파괴 및 가수분해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소의 배설물에서 취한 시료 (No. 5), 공중낙하균군 시료 (No.33), 토양에서 취한 시료 (No. 10, 26), 담수에서 취한 시료 (No.27, 30) 및 부식한 식물에서 취한 시료 (No. 8, 28)에서 다시마와 미역의 조체 붕괴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이들 미생물군들을 다시 다시마와 미역에 접종하여 4주간 배양하고, 그 배양물 중의 전당과 환원당 함량, 추출을 및 분해율을 측정한 결과 두 해조 모두에서 시료 번호 27번과 8번이 가수분해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들 미생물군에 의하여 가수분해된 배양물에서 전당의 추출율은 다시마에서 각각 $68.55\%$$44.02%$이었고, 미역에서는 각각 $80.87\%$$62.60\%$이었다. 그리고 환원당의 추출율은 다시마에서 각각 $47.59%$$28.81\%$, 미역에서는 각각 $76.83\%$$39.01\%$이었다.

논물의 미생물군으로부터 해조분해능을 갖는 균주의 분리 (Isolation of a Seaweed Hydrolytic Strain from the Microflora in Water of a Paddy Field)

  • 김해섭;최옥수;강동수;박욱민;백승한;배태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8-103
    • /
    • 2004
  • 해조 또는 해조성분을 가수분해시키는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 논물에서 채취한 미생물군 시료에서 다시마분말 첨가 고체배지를 이용하여 순수배양을 실시하여 16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들 균주를 다시마분말 첨가 액체배지에서 3주간 배양하며, 1주 간격으로 전당과 환원당의 함량을 측정하여 추출율을 비교한 결과 배양 전 기간에서 30A412균주가 높은 추출율을 나타내었다. 30A412 균주를 제외한 나머지 15균주는 3주간의 배양으로도 그 추출율이 10%이하를 나타내었다. 30A412균주의 알긴산, 미역 및 다시마 분말 첨가 배지에서의 성장율은 배양 1주일 후부터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대조구보다 높은 성장율을 보였다. 알긴산, 다시마 및 미역 분해율은 배양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균체 성장율과 분해율 모두 다시마 배지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미역배지, 알긴산 배지의 순이었다.

해조류의 Sarcoma-180에 대한 항암효과 (Antitumor Activity of Seaweeds toward Sarcoma-180)

  • 류병호;김동석;조경자;신동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95-600
    • /
    • 1989
  • 미역, 다시마, 톳 및 모자반 등의 해조류로부터 추출한 단백다당체의 조성과 항암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쥐에 sarcoma-180세포를 주사한 다음 이들 단백다당체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끓는 물로 추출한 해조류의 단백다당체의 다당류는 모자반, 톳, 미역 및 다시마가 각각 61.14, 55,61, 34.06 및 30.28%였고 주요 단당류는 glucose, galactose, mannose, fructose 및 xylose 이었으며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cysteine, valine 및 glycine이었다.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단백다당체의 종양성장저지율은 해조류 중 미역을 100mg/kg/day로 10일간 투여했을 때 69.76%로 가장 높았고, 수명연장율은 다시마의 경우 100mg/kg/day로 10일간 투여했을 때 25.22%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건미역의 수침에 따른 흡수율과 보수율, 색도 및 무기성분의 함량 변화 (Changes in Water Absorption, Water-holding Capacity, Chromaticity and Mineral Contents of Dried Sea Mustards on Soaking)

  • 한재숙;이연정;이신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09-218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water absorption, water-holding capacity, color and mineral contents in natural and cultured dried sea mustards on soaking treatment. Four dried samples of natural and cultured sea mustard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s. The effects of soaking treatment on water absorption and water-holding capacity in sea mustards were examined, as the results, these were rapidly accelerated 5 minutes after soaking. It showed that water-holding capacity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case of high absorption of water by soaking. The L, a and b values were increased until 30 minutes after soak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for potassium content between dried natural and dried cultured sea mustards and the natural sea mustard was 10 times as high as the cultured sample. All mineral elements in these materia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especially, potassium were significantly more decreased at 50~80% of total content by soaking treatment. Ca/ P ratio in these materials by soaking was about 2~3 : 1 levels.

  • PDF

한국 해조류 음식의 문헌적 고찰 - 1450${\sim}$1950년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Korean Seaweed Foods by Literature Review)

  • 손정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5-85
    • /
    • 2009
  • In this study, a total of 70 seaweed names among various kinds of seaweeds, including dried and powdered foods, were investigated by examining Korean foods literature published during 1450${\sim}$1950. There were 14 kinds of sea mustard, 13 kinds of laver, 3 kinds of kerp, 6 kinds of sea staghorn, 15 kinds of green laver, 1 kind of Ecklonia cava, 11 kinds of agar and 7 seaweeds classified as other. It was also found that seaweed was used as a main ingredient, secondary ingredient, or a garnish in a total of 74 traditional Korean foods. The seaweed foods appearing in the literature were classified by a traditional Korean food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cooking method. These traditional seaweed foods were placed into 6 categories including main dishes, side dishes, tteok lyou and hangwa lyou. Finally, a database was established in order to provide a research basis for traditional Korean seaweed foods.

조리에 따른 미역중의 색도 및 무기성분의 변화 (Changes in Chromaticity and 6 Mineral Contents of Sea Mustards according to Several Cooking Methods)

  • 한재숙;이연정;이신정;김정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1-108
    • /
    • 2002
  • 본 연구는 미역의 조리방법(수침, 끓이기, 볶아 끓이기, 초무침)에 따른 색도 및 6종의 무기성분 함유량 변화를 조사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역의 색도는 L, a, b 값 모두 끓이기를 했을 때가 가장 높았고 초무침시에 가장 낮았다. 특히 a값은 조리시에도 양식 미역이 자연산 미역보다 커서 더 녹색을 띠었다. 2 수분 함량은 끓이기>볶아 끓이기>수침>초무침 순으로 많았다. 3. 칼슘, 철, 마그네슘 및 인 함유량은 수침>끓이기>볶아 끓이기>초무침 순이었고 특히 초무침을 했을 때 가장 큰 감소가 일어났으며 끓이는 방법간에는 볶아끓이는 것이 그냥 끓이는 것보다 감소가 컸다. 이들 무기성분은 조리시에 국국물이나 초국물에 용출되어 나간 것으로 미역국이나 초무침을 해 먹을 경우에는 반드시 국국물이나 초국물을 함께 섭취하는 것이 요구되며 국을 끓일 때에도 볶아 끓이는 방법이 그냥 끓이는 방법보다 무기성분 용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칼륨 및 나트륨은 무기성분들 중에도 감소가 가장 두드러져 기초 조리작업인 수침만으로도 절반이상 감소하여 칼륨이 요구되는 사람은 미역을 수침해서 이용하는 요리보다는 자연산 건미역을 그대로 분말화시켜 차로 이용한다든가 생미역을 그대로 먹는 방법이 권장할 만하였다. 5. 칼슘 인의 함량 비율은 양식 미역의 경우 1.0∼3.1 : 1 수준이었고 자연산 미역의 경우는 3.3∼4.2 : 1 수준으로 칼슘의 함량이 높은 것은 우리식탁에서의 Ca과 P의 식사중의 균형을 위해서 오히려 효과적이라 여겨진다.

한국산 5종 해조류의 항산화효과와 총 폴리페놀 함량과의 관련성 (The Correlation of Antioxidative Effects of 5 Korean Common Edible Seaweed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 곽충실;김성애;이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143-1150
    • /
    • 2005
  • 한국에서 널리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미역, 다시마, 톳(갈조류), 파래(녹조류), 김(홍조류)의 항산화효과와 총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함량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건조 상태의 시판 해조류로부터 에탄올 추출시료를 얻은 후 $Fe^{2+}$로 유도된 지질과산화 억제율, DPPH 라디칼 소거율 및 MDA-BSA 결합 저해율을 측정하는 3가지 방법으로 항산화효과를 검정 하였고, 총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녹조류인 파래의 항산화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는데, 특히 지질과산화물이 단백질과 결합하는 반응을 매우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그 다음 김과 다시마의 항산화효과가 우수하였으며, 미 역과 톳은 항산화효과가 거의 없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미역이 11.63 mg/g 건조무게로 가장 높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파래가 8.97 mg/g 건조무게로 가장 높았다. 한편, 3가지 방법에 의해 측정된 해조류의 항산화효과 모두가 총 폴리페놀 함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지질과산화억제율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r=0.9351, p<0.0001), 해조류에서의 항산화효과에 폴리페놀 성분이 크게 기여할 가능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