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reening of resistant strains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2초

Nationwide survey of Turnip mosaic virus and selection of cabbage lines with resistance against major TuMV isolates

  • Chung, Jinsoo;Han, Jae-yeong;Kim, Jungkyu;Ju, Hyekyoung;Gong, Junsu;Seo, Eun-young;Choi, Su Ryun;Lim, Yong Pyo;Hammond, John;Lim, Hyoun-Sub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4호
    • /
    • pp.567-574
    • /
    • 2016
  • This survey was conducted in 2015, following up on theed tthe occurrence of Turnip mosaic virus (TuMV) nationwide in radish and Chinese cabbage fields of 28 cities in South Korea. A total of 152 samples of Raphanus sativus and 29 samples of Brassica rapa, showing virus-like symptoms, were collected. Among these, 107 B. rapa samples and 9 B. rapa samples were positive for TuMV when analyzed by RT-PCR. The TuMV strains found in the two crops showed 99% homology in nucleotide and amino acid sequences of coat protein to each other. Furthermore, their sequences showed 99% homology to the sequences of TuMV isolates R007 (GenBank: KU140420) and R041 (GenBank: KU140421) that were collected in 2014. These results suggested TuMV isolated from radish and cabbage in 2015 were the same strain as the isolates R007 and R041 collected in 2014. A screening test was conducted using these two isolates to select TuMV-resistant B. rapa lines out of 167 B. rapa breeding lines.and identified eight lines resistant to R007 (Kenshin, 279002, 279012, 279064, 279081, MP, C-21, HKC-004) and nine lines resistant to R041 (C-26, HKC-005, 11Su-4, 11Su-5, 11Su-7, 11Su-8, Tian Jin Lv Qing Ma Ye, CNU_141193, Jing Lv 60). Our prior data indicated 4.24% difference in sequences between the two isolates and these can serve as potential tools to develop B. rapa markers to screen for resistance against TuMV strainsin breeding populations.

Evaluation of the antimalarial activity of SAM13-2HCl with morpholine amide (SKM13 derivative) against antimalarial drug-resistant Plasmodium falciparum and Plasmodium berghei infected ICR mice

  • Hyelee Hong;Kwonmo Moon;Thuy-Tien Thi Trinh;Tae-Hui Eom;Hyun Park;Hak Sung Kim;Seon-Ju Ye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2권1호
    • /
    • pp.42-52
    • /
    • 2024
  • Antimalarial drugs are an urgently need and crucial tool in the campaign against malaria, which can threaten public health.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ytotoxicity of the 9 antimalarial compounds chemically synthesized using SKM13-2HCl. Except for SKM13-2HCl, the 5 newly synthesized compounds had a 50% cytotoxic concentration (CC50) >100 μM, indicating that they would be less cytotoxic than SKM13-2HCl. Among the 5 compounds, only SAM13-2HCl outperformed SKM13-2HCl for antimalarial activity, showing a 3- and 1.3-fold greater selective index (SI) (CC50/IC50) than SKM13-2HCl in vitro against both chloroquine-sensitive (3D7) and chloroquine -resistant (K1) Plasmodium falciparum strains, respectively. Thus, the presence of morpholine amide may help to effectively suppress human-infectious P. falciparum parasites. However, the antimalarial activity of SAM13-2HCl was inferior to that of the SKM13-2HCl template compound in the P. berghei NK65-infected mouse model, possibly because SAM13-2HCl had a lower polarity and less efficient pharmacokinetics than SKM13-2HCl. SAM13-2HCl was more toxic in the rodent model. Consequently, SAM13-2HCl containing morpholine was selected from screening a combination of pharmacologically significant structures as being the most effective in vitro against human-infectious P. falciparum but was less efficient in vivo in a P. berghei-infected animal model when compared with SKM13-2HCl. Therefore, SAM13-2HCl containing morpholine could be considered a promising compound to treat chloroquine-resistant P. falciparum infections, although further optimization is crucial to maintain antimalarial activity while reducing toxicity in animals.

신규 분리균주 Streptomyces sp. BCNU 1030의 in vitro 항균활성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a New Isolate Streptomyces sp. BCNU 1030)

  • 방지훈;최혜정;안철수;김동완;정영기;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89-595
    • /
    • 2011
  • 질병를 유발하는 미생물들의 항생물질에 대한 증가하는 내성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항생물질을 개발하고자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방선균을 탐색하여 특성화하는데 본 연구는 초점을 맞추고 있다. 충청북도 일대의 토양으로부터 PDA, starch casein agar 등의 배지를 이용하여 100여 개의 방선균주를 순수분리하였다. 순수분리된 방선균주 중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가장 활성이 뛰어난 BCNU 1030을 선발하여 형태학적,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동정한 결과 Streptomyces 속으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주인 BCNU 1030은 MRSA를 포함한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세균에 대한 폭넓은 항균스펙트럼을 가졌다. BCNU 1030의 디클로로메탄 추출물은 MRSA CCARM 3090에 대하여 최소$0.78\;{\mu}g/ml$의 농도에서 저해활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BCNU 1030은 새로운 anti-MRSA 항생물질의 개발에 있어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콩과식물 종실 추출물의 살균활성 (Fungicidal activities of leguminous seed extracts toward phytopathogenic fungi)

  • 이회선;김병섭;김흥태;조광연;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21-27
    • /
    • 1998
  • 25종 콩과식물 종자의 메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기주식물상의 온실실험조건에서 6종의 주요 식물병원균에 대해 방제효과를 조사한 그 효과는 콩과식물의 종류에 따라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25종의 공시종자를 5 mg/pot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결명자 (C. obtusifolia), 소리테(G. max var. solitae), 약콩(G. max var. yagkong), 흑태(G. max var. hooktae), (P. multiflorusf), (P. radiatus var. aurea)과 (V. sinensis) 추출물들은 오이잿빛곰팡이병, 밀붉은녹병 및 보리횐가루병에 대하여 80%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을 뿐 아니라, 잿빛곰팡이병의 살균제 저항성 균주에 대해서도 높은 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공시종자 모두 벼도열병, 벼잎집무늬마름병 및 Phytophthora infestans병에 대해서는 거의 활성이 없거나 활성이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잿빛곰팡이병, 밀녹병 및 보리흰가루병 등에 높은 방제효과를 보인 상기 종자추출물들은 식물병 방제제로서 사용 가능성이 예상되었으며, 특히 살균제 저항성 잿곰팡이병에 높은 활성을 보여 시설원예재배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잿빛곰팡이병의 방제에도 크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Pseudomonas sp. 유래 녹두 부패병의 병 저항성 녹두 계통 검정 (Evaluation of the Resistance of Mungbean Lines to Sprout Rot Caused by Pseudomonas species)

  • 벨루사미비제야난드;박의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987-990
    • /
    • 2012
  • 녹두나물(숙주나물)은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 채소다. 그런데 녹두나물 재배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녹두나물 무름병은 녹두나물 생산량은 물론 품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녹두나물 부패 조직으로부터 70계통의 병원균을 분리하였으며, 각 병원균의 병원성을 검정하였다. 그 가운데 강한 병원성을 가진 Pseudomonas 균류의 계통 YV-St-033를 확인하여 선발하였으며, 분리된 병원균계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유전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YV-St-033는 P. mosselii, P. putita, P. fluorescens, P. entomophila, P. lecoglossicida 등의 종이 속한 그룹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Pseudomonas mosselii R10 strain과 가장 높은 염기서열 identity (약 99%)를 보였다. 또한 YV-St-033 strain을 이용하여 영남대학교에서 보유하고 있는 녹두 유전자원들에 대해 녹두나물 무름병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3일간 배양한 녹두에 병원균을 접종하고 녹두의 생장율을 비교한 결과 YV148 line에서 높은 저항성이 확인되었으며, 그 외 녹두 계통에서도 부분적인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숙주나물 무름병에 저항성을 보인 YV 148 계통은 나물이 가늘고 연하고 생장율이 우수하여 앞으로 품종 육종의 좋은 재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Screening the extracts of the seeds of Achillea millefolium, Angelica sylvestris and Phleum pratense for antibacterial, antioxidant activities and general toxicity

  • Sarker, Satyajit Dey;Eynon, Elaine;Fok, Katharine;Kumarasamy, Yashodharan;Murphy, Eavan Marie;Nahar, Lutfun;Shaeen, Ehab Mohammed;Shaw, Nichola Mary;Siakalima, Munachonga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3권3호
    • /
    • pp.157-162
    • /
    • 2003
  • Various extracts of higher plants have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systems for centuries. While tropical and sub-tropical plants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from the researchers for evaluation of their bioactivity, temeperate plants have always been neglected somewhat. Similarly, seeds of the plants have not been considered seriously compared to other plant parts, e.g. leaves, stems, roots, flowers, etc. as a potential source for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As part of our on-going evaluation of the extracts of the seeds of temperate plants, especially from Scotland, for biological activity, Achillea millefolium, Angelica sylvestris and Phleum pratense have been chosen for the present study. Both A. millefolium and A. sylvestris are well known for their traditional medicinal uses in Europe and also in the orient, but there is no report on any medicinal properties of P. pratense available to date. Extracts of the seeds of these plants have been assessed for their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potential and also for general toxicity. Both DCM and MeOH extracts of A. millefolium showed the most significant broad spectrum antibacterial activity among the three plants and inhibited the growth of almost all test strains of bacteria. The DCM extracts of all three species were active against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Citrobacter freundii $(MIC=6.25{\times}10^{-1}\;mg/mL)$. While the MeOH extracts of A. millefolium and P. pratense were active against C. freundii, that of P. pratense was also active against MRSA. The MeOH extract of A. sylvestris did not show any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any of the eight bacterial strains at test concentrations. The MeOH extract of P. pratense showed the most prominent antioxidant activity $(IC_{50}=145\;{\mu}g/ml)$ and there was no antioxidant activity observed with the DCM extract of A. millefolium. The DCM extract of P. pratense was the most toxic $(LC_{50}=20\;{\mu}g/ml)$ among the extracts.

가잠의 품종별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 및 이형 바이러스 첨식에 의한 유발에 관한 연구 (Interstrain Difference in the Resistance of the Silkworm, Bombyx mori,. to Peroral Infection and Induction with the Two Strains of Cytoplasmic Polyhedrosis Virus)

  • 임종성;김근영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3-88
    • /
    • 1976
  •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에 대한 가잠의 품종별 저항성과 이형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 첨식에 의한 유발에 관한 시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품종간의 저항성 1) 일본종 및 중국종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2) 장잠기(4령)가 추잠기(2령) 보다 저항성이 강했다. 3) 육각형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가 사각형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보다 병원성이 높았다. 4) 육각형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의 LC$_{50}$의 평균치는 원종에서는 2령기잠 처리에서 6.12$\times$$10^{6}$/$m\ell$, 4령기잠 처리에서 1.57$\times$$10^{7}$ /$m\ell$ 이었고 교잡종에서는 2령기잠 처리에서 1.28$\times$$10^{6}$/$m\ell$, 4령기잠 처리에서 4.99$\times$$10^{6}$/$m\ell$이었다. 5) 사각형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의 LC$_{50}$의 평균치는 원종에서는 2령기잠 처리에서 2.06$\times$$10^{7}$ /$m\ell$, 4령기나 처리에서 5.67$\times$$10^{7}$ /$m\ell$ 이었고 교잡종에서는 2령기잠 처리에서 9.84$\times$$10^{6}$/$m\ell$, 사령기잠 처리에서 3.86$\times$$10^{7}$ /$m\ell$이었다. 2. 이형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 첨식에 의한 유발사각형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 첨식에 의한 육각형 세포질다각체 바이러스의 유발은 1) 영기별로 볼 때 2령기잠 처리에서가 4영기잠 처리에서보다 월등히 높은 유발률을 보였다. 2) 유형별로 볼 때 대부분이 육각형과 사각형의 혼합감염 형태로 나타났다. 3) 농도별로 볼 때 대체로 1.3$\times$$10^{6}$/$m\ell$ 농도를 중심한 중간농도에서 높은 유발률을 나타냈다.타냈다.

  • PDF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칩(Oligonucleotide Chip)을 이용한 항결핵제 감수성과 관련된 Mycobacterium tuberculosis rpoB 유전자의 점돌연변이 판별 방법 (Detection of Point Mutations in the rpoB Gene Related to Drug Susceptibility in Mycobacterium Tuberculosis using an Oligonucleotide Chip)

  • 김현정;김성근;심태선;박용두;박미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1호
    • /
    • pp.29-41
    • /
    • 2001
  • 결핵환자에 있어 rpoB 유전자 염기서열 돌연변이로 인해 생겨나는 rifampin(RIF)내성은 화학요법치료에서 나타나는 다제내성의 표지자로서 많은 연구가 되어 있으며 rifabutin(RIB)은 이러한 RIF의 내성을 보이는 일부 점돌연변이에 대하여 감성 또는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mycobacteria rpoB 유전자의 특정 DNA 서열(17 bp)을 고정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칩을 개발하여 rpoB 유전자의 점돌연변이으로 인한 RIF과 RIB의 감수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사용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칩은 RIF 내성 프로브 및 RIB 감성 프로브를 포함하도록 고안되었으며, 각각의 돌연변이에 상응하는 야생형 프로브를 동일한 염기서열에서 선정하여 형광 시그날 세기의 직접비교에 의해 보다 정확한 탐지를 가능하게 하였다. 결과 : 15개의 임상 분리체를 검사한 결과 RIF 내성으로 밝혀진 돌연변이중 13개의 임상 분리체에서 RIB 감수성 돌연변이 종류를 판별할 수 있었다. 결론 : 올리고뉴레오티드 칩으로 rpoB 유전자에 대한 점돌연변이 연구는 결핵환자에 대한 RIF과 RIB 약제내성 유무를 판단케 함으로써 효과적인 화학요법치료를 가능케 할 것이며 기존 방법과 비교시 효율 및 재현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되었다.

  • PDF

고농도 Galactose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하는 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의 육성 (Development of Ethanol Producing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Using High Concentration Galactose)

  • 김주혜;윤민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1호
    • /
    • pp.41-46
    • /
    • 2011
  • 에탄올을 생성하는 고농도 galactose 발효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No. 9를 선발하여 비교균주인 S. cerevisiae NRRL Y-1528과 함께 glucose, mannose, galactose에서 순치배양하고, 이어서 이들 3개의 탄소원을 기질로 사용하여 발효 효율을 평가하였다. 모균주인 No. 9의 에탄올 생산은 초기 12시간에는 천천히 상승하다가 18시간 후에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그 수율은 $[EtOH]_{max}/Sugar]_{ini}(g/g)$을 퍼센트로 환산하였을 때 glucose, galactose, mannose의 3개 기질에서 비교용 균주 NRRL Y-1528와 비슷한 36~38%로 수준이었고 실험한 3 균주 모두 galactose 발효에 있어서 탄소원의 종류에 따라 순치배양 조건이 에탄올 수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전통적인 EMS 처리에 의하여 모균주인 galactose 발효성 효모 S. cerevisiae No. 9로부터 에탄올 발효력이 향상된 변이주 Mut-5 (SJ1-40), -17 (LK4-25) 및 -24 (LK2-48) 3개주를 선발하였다. 기질인 10, 15, 20% galactose를 이용한 에탄올 발효능을 실험 하였을때 모균주 No. 9 및 변이주에서도 galactose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Galactose 20% 농도에서 변이주는 모균주보다 에탄올 발효율이 39.9~51.6% 높았으나, 비교용 균주 S. cerevisiae NRRL Y-1528의 에탄올 발효력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Salmonella Enteritidis와 Salmonella Gallinarum의 세균막 스트레스를 인식하는 spy-gfp 오페론 융합 (The spy-gfp Operon Fusion in Salmonella Enteritidis and Salmonella Gallinarum Senses the Envelope Stress)

  • 강보경;방일수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208-219
    • /
    • 2018
  • 낙농업 및 유가공 제품의 생산과 유통에서 살모넬라 감염에 의한 살모넬라증의 발생은 빈번하며, 이 세균의 항미생물 제제에 대한 내성 증가 현상 또한 지속되고 있어 새로운 항미생물 제제의 수요는 감소하지 않는다. 세균막의 훼손은 세균 생존을 쉽게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발되는 항미생물 제제들은 주로 세균의 막을 표적으로 삼지만, 개발되는 제제들이 실제로 세균막의 훼손을 초래하는지 구별하는 것은 많은 노력과 비용을 수반한다. 본 연구에서는 E. coli 세포막 스트레스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고, 세균막 외부공간에서만 위치하며, 그 구조상 많은 단백질의 구조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chaperone 단백질 Spy(spheroplast protein Y)의 유전자에 상응하는 살모넬라 spy 유전자에 gfp(green fluorescence protein) 오페론 융합체를 제조하여, 이 융합체가 Salmonella enterica의 두 혈청형 Enteritidis와 Gallinarum의 세포막 스트레스를 인지하여 GFP 발현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균막 스트레스 신호를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이인자 신호전달 체계(two component signal transduction system)인 Bae와 Cpx들이 두 살모넬라 혈청형의 spy 유전자 전사 유도에 필수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spy-gfp 오페론 융합체는 S. Enteritidis와 S. Gallinarum의 세포막 훼손을 특이적이고 신속하게 인식하는 biosensor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