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our Depth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5초

흐름에 의한 관로의 세굴특성 (Characteristics of Scour around Pipeline in Current)

  • 김성덕;안광국;이호진;이성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7호
    • /
    • pp.117-12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흐름에 의한 관로의 세굴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관경 45mm, 60mm, 90mm의 관에 대해서 유속을 0.2m/s에서 0.5m/s까지 변화시켜 가면서 45회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관로 주변에서 세굴의 발달과정을 관찰하였고, 관경과 유속 변화에 따른 평형세굴심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평형세굴심은 유속과 관경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경이 평형세굴심에 미치는 영향이 유속의 영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세굴심과 Reynolds 수, Shields 수, Froude 수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Froude 수와 상대세굴심이 0.900의 높은 결정계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파랑 및 정상흐름에 의한 해저관로 주변의 국부세굴 특성 비교 (Comparison of Local Scour around Pipeline Caused by Waves and Steady Currents)

  • 김경호;오현식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1-28
    • /
    • 2011
  • The primary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causing scour around a pipeline placed on the seabed in a shallow water zone. Such submarine pipelines are usually exposed to currents and waves. The present experiments made estimates for each different flow type. The scour width and depth in the equilibrium scour phase were analyzed by non-dimensional parameters. The experiment in this study considered various parameters: pipe diameters, wave periods, wave heights, and current velocities. Using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correlations of scour width, scour depth, and main non-dimensional parameters such as the Fr number and KC number were analyzed. In the case of steady currents, the scour hole was closely related to the bottom velocity, while the scour hole in waves showed a relatively low correlation to the bottom velocity because when exposed to waves the scour hole was restric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water particles during a wave period. However, the scour width under a steady current was not limited because vortex shedding was well developed from having enough time and distance.

기존 세굴심 산정식의 적정성 검토 및 세굴심 산정식 개발에 대한 실험적 연구세요 (Review of appropriateness of existing formula for estimating the depth of scour and the experimental study on development of the formula to estimated the depth of scour)

  • 최한규;이영섭
    • 산업기술연구
    • /
    • 제29권A호
    • /
    • pp.67-75
    • /
    • 2009
  • In this study, the investigation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the pier data for the rivers in Youngseo area of Gangwon Province was carried out and the evaluation and comparison between the values from existing formulas and the values from the model tests was conducted, along with the statistical sensitivity analysis of the elements influencing the scour. As a result, the deviation between the values calculated from the existing formulas and the model tests appeared to be 1.09%~63.98% as the piers were getting larger, which indicated that the existing formulas were not appropriate to estimate the scour in the rivers in Gangwon area. And the formula which estimates the scour with the size of the pier only, among the existing ones, was far behind in estimating the sensitivity because of insufficient incorporation of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though it is convenient to estimate the value. The sensitivity analysis of the value from the model tests and the depth of the scour proved the significant impact on scour by the size of the pier and water depth, indicating 64% and 36%,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formula developed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based on the values from the model tests, which appeared to be appropriate for the rivers in Gangwon Province, was proposed.

  • PDF

기초세굴의 영향을 고려한 교량시스템의 지진거동분석 (Seismic Behavior Analysis of a Bridge Considering Bridge Scour)

  • 김상효;마호성;이상우;김호상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37-544
    • /
    • 2001
  • Bridge dynamic behaviors are examined under seismic excitations including the local scour effect. The corresponding simplified mechanical model, which can also consider the effect of other influence elements, is proposed to simulate the bridge motions. The scour depth around the pier is estimated by the CSU equation recommended by the HEC-18, and the local scour effect upon global bridge motions is then investigated by applying various foundation stiffness based upon the reduced embedded depths. From the results, it is found that seismic responses of a bridge with the same scour depth level for both piers increase as the scour depth increase due to the local scour effect. The scour effect is found to be significant under weak excitations and still to be quite notable even for moderate excitations.

  • PDF

교각주변의 정적세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ear water xcour around piers)

  • 김희종;신동수;이승우
    • 물과 미래
    • /
    • 제20권1호
    • /
    • pp.41-47
    • /
    • 1987
  • 교각은 때때로 국소세굴에 의해 손상받는다. 교각주변의 국소세굴 문제는 광법위하게 연구되었지만, 세굴심을 정량적으로 산정하는 것은 어렵다. 본연구는 정적세굴 조건하에서 형태로 배치된 반원 및 장방형 교각주변의 국소세굴에 대한 것으로 차원해석을 통하여 세굴심은 Re, Fr, 및 Ns등에 관계됨을 파악하여 무차원 시간에 따른 무차원 세굴심의 변화(상사수, 교각경과 길이 , 영각의 영향), 와도, 저항력에 따른 세굴심의 변화들이 세굴심산정공식을 얻기위해 실험적으로 연구되었으며 최대 세굴심 산정공식이 얻어졌다.

  • PDF

수위변화에 따른 교각주위에서의 세굴현상연구 (Scour around Piers in the Stage Hydrograph)

  • 안상진;연기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335-346
    • /
    • 1997
  • 본 연구는 실제하천에서의 불규칙한 수위변화에 따라 교각주위에서 발생하는 세굴현상에 대하여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IHP 대표유역인 금강수계내 보청천 최하류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산계교를 중심으로 최근 15년 동안에 발생된 6개 홍수사상에 대한 수위수문곡선을 선택하여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모형수로는 실제하천과 모형수로에서의 조도계수 실측, 모형수로 경사변화에 따른 최대세굴심도의 변화, 실제하천과 모형내 하상재료의 침강속도와 마찰속도의 비를 검토하여 하상경사를 결정하고 실제하천에서의 세굴심도를 직접 측정하여 모형수로 실험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모형수로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정류상태에서 모형실험을 실시하여 실제하천에 대한 최대세굴심을 예측할 경우에는 최고수위를 택하여 실시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수위수문곡선 하강시 평형세굴심도는 최대세굴심보다 작으므로 실제하천에서 세굴심을 실측할 경우에는 되메우기에 의해 감소된 만큼의 세굴심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급경사 자갈하상 만곡수로의 최대세굴심 산정공식 평가 (Estimation methods of maximum scour depth in steep gravel-bed bend channel)

  • 조재웅;남아름;우태영;박상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6호
    • /
    • pp.529-536
    • /
    • 2016
  • 본 연구는 급경사 자갈하상 만곡수로의 이동상 수리실험을 이용하여 만곡부 최대세굴심 산정공식들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평균입경 43mm의 하천자갈을 $90^{\circ}$ 만곡 급경사 개수로에 포설하고 유량과 하상경사에 따른 만곡부의 최대세굴심을 조사하고 세굴심 공식으로 산정한 최대세굴심과 비교하였다. 자갈하상 만곡부 국부세굴은 유입부의 하상경사 0.02이상 $F_r$ 0.95이상에서 발생하였다. 이 수로에서 Lacey공식과 Zeller공식을 제외한 기존 세굴심 산정공식들은 최대세굴심을 과대 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상재료를 고려한 Lacey공식과 접근경사와 만곡도를 반영한 Zeller공식은 급경사 자갈하상 만곡부의 최대세굴심 평가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Pier Scour Prediction in Pressure Flow

  • Choi, Gye-Woon;Ahn, Sang-Jin;Kim, Jong-Sup
    • Korean Journal of Hydrosciences
    • /
    • 제6권
    • /
    • pp.23-37
    • /
    • 1995
  • In this experimental paper, the maximum scour depth at pier was student. The model of the pier of San Gye bridge in the Bocheong stream was set for the experimental studies. Several model verification processes were conducted through the roughness comparisons between model and prototype, pursuing scour depth variations with time depending upon channel bed variation, the comparison of the ratios between falling velocities and shear velocities in the model and prototype, and the comparison of pier scour depths between experimental data and field measuring data.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free flow conditions and pressure flow conditions. The maximum scour depth at piers in the pressure flow conditions is almost twice as much as compared to the free flow conditions. Also, the maximum scour depth variations are indicated in the figures based on the Froude numbers, opening ratios, water depths and approaching angles in the free surface flow conditions.

  • PDF

방조제 물막이구간의 세굴심도 추정 (Estimation of Scour Depth at the Seadike Closure Gap)

  • 나정우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87-292
    • /
    • 1998
  • The phenomena of local scour due to a current from a seadike closure gap which is protected by rock, then on to an erodible bed, have been studied. Based on the data of hydraulic model test, the scour characteristics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e variation of maximum scour depth with time until reaching equilibrium stage and the shape of ultimate scour hole. A brief evaluation of DHL formula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aximum scouring depth and time and a dimensionless form leading to time-scale introduced. On the basis of DHL formula, modified DHL formula denoted DHL-RDC formula is extend to the range of estimation of scour depth compared to DHL formula verified by model test.

  • PDF

원환 크기의 변화에 따른 균등원통교각 주위의 세굴심 감소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Reduction Effect of Scour Depth arounding Uniform Cylindrical Pier with Various Size of Circular Collar)

  • 심우배;송재우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39-14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원환에 따른 균등원통교각 주위의 세굴심을 분석하여 세굴심 감소효과 및 원환의 적정 크기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교각에 원환을 설치한 경우 원환을 하상 위보다 하상 아래에 설치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었으며, 원환의 크기가 클수록 세굴심 감소 효과가 뚜렷하였다. 교각 직경에 대한 원환 직경의 비(W/D)가 2인 경우 약 67% 세굴심이 감소하였으며, 퇴적고는 약 70%정도 증가하였다. 세굴심 감소 효과, 세굴공 및 퇴적고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W/D=2인 원환을 최적 크기로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