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model

검색결과 1,307건 처리시간 0.033초

The development of automated control system for the growth of shaped sapphire crystals: combined control

  • Borodin, A.V.;Borodin, V.A.;Petkov, I.S.;Sidorov, V.V.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37-440
    • /
    • 1999
  • New method of control based upon a physical model of the Stepanov growth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The controller keeps the system stable and completely denies operator's interference into the process. The system demonstrates very reliable results under commercial production of shaped sapphire crystals.

  • PDF

중등학교 지구과학 교사들의 과학적 설명: 논리적 형식과 담화적 특징 분석 (Scientific Explanations by Earth Scien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Analyses of the Logical Forms and Discursive Features)

  • 오필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7-49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교사들이 제공하는 과학적 설명을 논리적 형식에 따라 분류하고, 서로 다른 형식의 과학적 설명이 지니는 특징과 과학적 설명을 위한 담화 행위에서 교사와 학생들의 역할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2003년과 2004년에 해외 단기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구과학 교사들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총18차시에 해당하는 지구과학 수업 녹화 자료와 전사본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지구과학 수업에서는 연역-법칙적 설명이 가장 빈번히 발생하였고, 연역-법칙적 모형은 과학적 설명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과학 법칙이나 상위의 원리가 잘 정립된 문제에 알맞은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지구과학의 후진적 추론 과제를 다루는 상황에서는 귀추적 설명이 제공되었고, 일기 속담이나 기상 이변과 같이 지구과학에 특징적인 대상을 설명할 때에는 각각 통계-확률적 모형과 통계-유관성 모형에 부합하는 설명이 활용되었다. 지구과학수업에서 과학적 설명은 주로 교사의 단독적인 발화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학생들은 과학적 설명을 구성하기 위한 담화 행위에서 주로 소극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가 과학 수업과 과학교육 연구에 시사하는 점들을 논의하였다.

서울대학교 과학 영재 프로그램의 학습 목표, 과학적 모형, 과학탐구의 인지 과정 분석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Scientific Models and Cognitive Processes in Scientific Inquiry of the SNU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 Program)

  • 신미영;전미란;최승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87-394
    • /
    • 2005
  • 본 연구는 과학 영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선하는데 반영하고자 2002년도 서울 대학교 과학 영재 교육센터에서 운영된 과학 영재 프로그램의 각 주제에 제시된 학습 목표, 과학적 모형,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을 분석하였다. 교육 목표와 과학적 모형, 탐구 활동의 세 요소들은 과학 교육 과정의 구성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각 요소들이 제시된 정도를 파악한 후 이들의 수준이 영재 학생들의 인지적 요구를 충족시키는지에 초점을 두어 분석 결과를 해석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 목표의 인지 영역 중에서 상위 사고력 영역에 해당하는 종합 영역, 과학적 모형 중에서 상위수준의 추상성과 복잡성 모형인 다 개념-과정 모형,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 중 창의성 영역에 해당하는 실험 설계의 인지 과정이 과학 영재 학생들을 가르치는 데 중요한 항목임을 전제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 대학교 과학 영재 프로그램의 각 주제에 제시된 교육 목표는 상위사고력 영역과 하위사고력 영역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며, 그 중에서 종합 영역은 낮게 나타났다. 과학적 모형은 다 개념-과정 모형보다는 단일 개념 모형이 많았으며 추상성 수준은 중간 정도였다.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은 실제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을 고르게 다루지는 않았다. 특히 실험 설계의 인지 과정은 적게 다루고 있었다. 따라서 분석한 과학 영재 프로그램이 과학 영재들의 인지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종합 영역의 교육 목표, 다 개념-과정 모형, 실험 설계의 인지 능력을 더 많이 반영해야 한다.

Fine-tuning BERT Models for Keyphrase Extraction in Scientific Articles

  • Lim, Yeonsoo;Seo, Deokjin;Jung, Yuchul
    • 한국정보기술학회 영문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45-56
    • /
    • 2020
  • Despite extensive research, performance enhancement of keyphrase (KP) extraction remains a challenging problem in modern informatics. Recently, deep learning-based supervised approaches have exhibited state-of-the-art accuracies with respect to this problem, and several of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s utilize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BERT)-based language models.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BERT-based fine-tuning techniques to the problem of KP extraction.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aforementioned problem in the context of scientific articles by investigating the fine-tuning characteristics of two distinct BERT models - BERT (i.e., base BERT model by Google) and SciBERT (i.e., a BERT model trained on scientific text). Three different datasets (WWW, KDD, and Inspec) comprising data obtained from the computer science domain are used to compare the results obtained by fine-tuning BERT and SciBERT in terms of KP extraction.

청소년의 과학적 소양 향상을 위한 문제해결 모형 개발 연구 (Problem-Solving Model to Improve Scientific Literacy of Youth)

  • 곽승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1-38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과학지식사회의 주역인 청소년의 과학에 대한 이해와 활용능력을 높이는 과학적 소양의 향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과학적 소양은 현대사회에서 꼭 필요하다는 주장이 많은 지지를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외에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미국의 '프로젝트 2061'은 과학적인 프로세스를 통하여 문제 해결력을 키워 평생학습을 유도하려는 것으로 모든 미국인들이 과학, 수학, 기술영역의 소양을 함양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청소년의 과학적 소양 향상을 위해서는 과학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는 정보서비스뿐만 아니라 학교 수업과 연계된 콘텐트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과학적 문제 해결력을 배양하기 위한 단계별 문제해결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과학정보 소양으로 통합된 교육과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 PDF

Model test and numerical simulation on the bearing mechanism of tunnel-type anchorage

  • Li, Yujie;Luo, Rong;Zhang, Qihua;Xiao, Guoqiang;Zhou, Liming;Zhang, Yuti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2권1호
    • /
    • pp.139-160
    • /
    • 2017
  • The bearing mechanism of tunnel-type anchorage (TTA) for suspension bridges is studied. Model tests are conducted using different shapes of plug bodies, which are circular column shape and circular truncated cone shape. The results show that the plug body of the latter shape possesses much larger bearing capacity, namely 4.48 times at elastic deformation stage and 4.54 times at failure stage compared to the former shape. Numerical simulation is th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echanical and structural responses of plug body and surrounding rock mass. The mechanical parameters of the surrounding rock mass are firstly back-analyzed based on the monitoring data. The calculation laws of deformation and equivalent plastic strain show that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are rational and provide subsequent mechanism analysis with an established basis. Afterwards, the bearing mechanism of TTA is studied. It is concluded that the plug body of circular truncated cone shape is able to take advantage of the material strength of the surrounding rock mass, which greatly enhances its bearing capacity. The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TTA, therefore, is concluded to be determined by the material strength of surrounding rock mass. Finally, recommendations for TTA design are proposed and discussed.

구성주의 교수방법에 의한 유아의 연령별 과학 개념변화 및 반응유형 분석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tructive instruction and analysis of response pattern of on scientific concepts among 3, 4, 5 years old)

  • 박충일;김신곤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9-79
    • /
    • 2009
  • 본 연구는 구성주의 교수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변화에 있어서 나타나는 연령에 따른 개념변화의 정도를 유아의 반응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그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3, 4, 5세 유아 3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6개의 과학개념에 대해 구성주의 교수방법을 적용하여 개념변화 수업을 실시하였다. 구성주의 교수방법의 연령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집단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유아의 정, 오반응의 비율을 비교하고, 반응내용을 범주화하여 반응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구성주의 교수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변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구성주의 교수방법은 유아의 연령이 높을수록 그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ochastic upscaling via linear Bayesian updating

  • Sarfaraz, Sadiq M.;Rosic, Bojana V.;Matthies, Hermann G.;Ibrahimbegovic, Adnan
    • Coupled systems mechanics
    • /
    • 제7권2호
    • /
    • pp.211-232
    • /
    • 2018
  • In this work we present an upscaling technique for multi-scale computations based on a stochastic model calibration technique. We consider a coarse-scale continuum material model described in the framework of generalized standard materials. The model parameters are considered uncertain, and are determined in a Bayesian framework for the given fine scale data in a form of stored energy and dissipation potential. The proposed stochastic upscaling approach is independent w.r.t. the choice of models on coarse and fine scales. Simple numerical examples are shown to demonstrate the ability of the proposed approach to calibrate coarse scale elastic and inelastic material parameters.

창의·인성교육 기반 지구과학 수업모형 제안 (A Suggesting of the Earth Science Lesson Model Based on the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 문병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97-30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earth science lesson model based on the creativity character education. To conduct this study, the curriculum revision in 2009 was analyzed by the causal mapping method. One after another, the creativity character education and earth system education were analyzed by the same method. Through as mentioned above, the key words which have relating concepts each other were picked out. Lastly, the key words were connected and compounded for the earth science lesson model based on the creativity character education. The model indicates that the earth science lesson based on the creativity character education requires the reconstructs of the processing and contents of the lesson. In other words, the teaching/learning must be progressed as corresponding between scientific facts and mental recognition, scientific concepts and compounding thinking skill, scientific laws and reconstructing thinking skill. In contents were reconstructed as relating to knowledge, creativity, characters and guidance couns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earth science lesson model based on the creativity character education needs developing and apply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managing discussing and cooperative learning.

확산과 삼투 분자운동 모형을 활용한 수업의 개념변화에의 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Molecular Movement Model Based Instruction on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diffusion and Osmosis)

  • 조정일;이현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93-303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 of molecular movement model based instruction on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diffusion and osmosis. The study was composed of two groups, the traditional instruction group in which the so-called traditional instruction was performed, and the other group in which interventions by researchers were made. The subjects of the traditional instruction group consisted of a total of 242 high school students from Seoul, Gwangju and Mokpo. The subjects of the model based instruction group consisted of 177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in Mokpo. The study was focused on the use of the term of 'molecular movement' in their explanation of diffusion and osmosis in the correct contexts. In general, students who got the molecular movement model based instruction showed more frequent use of the terms of 'molecular movement' in the correct contexts than the control group students did. It was found that misconceptions including teleological explanations changed into scientific explanations by the intervention. It seemed that the molecular movement model led students to make scientific explanations on natural phenomena. A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to assess the improvement of teleological explanation and scientific attitude by the molecular movement mod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