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attitude

검색결과 444건 처리시간 0.026초

협동학습이 여중생들의 과학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the Scientific Preferences of Middle School Girls)

  • 조규성;이광호;양수미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3-200
    • /
    • 2005
  • 본 연구는 김제시 1개 중학교 2학년 여학생 5개반을 연구 대상으로 협동학습 실시 전 과학 선호도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약 10주간의 실험 처치를 한 후 사전 검사와 동일한 검사지로 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여중생들의 과학적 선호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과 과학 수업에 대한 참여도가 협동학습 전과 달리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과학자들에 대한 인식이나 과학적으로 사고하거나 행동하는 습관을 나타내는 과학적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10주 동안의 기간은 협동학습 전략을 효과적으로 시행하는데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협동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조사서에서 중위 수준 학생들은 상-하위 수준 학생들과 달리 협동학습에 대해 강한 긍정을 나타냈다. 협동학습을 통해 상위 수준 학생들에게 배우고, 하위 수준 학생들에게 나누는 모둠 활동에서 자신감을 얻고 흥미를 느낀 것으로 본다.

  • PDF

인공지능 시대에 더 중요해질 침상 옆 교육 (Bedside Education Will Be More Important than Now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 예병일
    • 의학교육논단
    • /
    • 제18권2호
    • /
    • pp.58-64
    • /
    • 2016
  • The birth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brought forth by Vesalius and Copernicus in 1543, marked the beginning of a new age. However, the changes such as treatment effectiveness, survival rate, prevalence of specific diseases, etc. had not yet become clear during the 16th century. In the early 17th century, Boerhaave emphasized bedside teaching and practice. His attitude influenced numerous students and educators, so many medical students visited hospital wards where he worked. From the late 18th to 19th centuries, Jenner's smallpox vaccination, Pasteur's anthrax and rabies vaccinations, and Koch's four postulates used to detect pathogens were developed using the scientific research method, which initiated big changes for medicine. Flexner, credited for reporting the new medical education system, adopted scientific medicine. He believed medical students must study basic medical science since it could be the foundation of clinical medicine and lead to a revolution in the field. He proposed a new medical curriculum composed of two-years of basic medicine and two-years of clinical medicine, which has been used more than 100 years. During the late 20th century, bedside teaching rounds decreased gradually as scientific medicine has become popular. Many medical educators in many articles have proposed bedside education as an effective method for medical learning. Despite the advent of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changing of medical environments in the near future, bedside education will be more useful and important for medical students, educators, and patients as it is a traditional method and essential for patients who desire a more personal approach.

과학 교육에서 정서 연구의 역사와 최근 동향에 관한 고찰 (A Review of the History of and Recent Trends on Emo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오필석;한문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3-11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육에서 정서 연구의 역사를 살펴보고 최근 연구 동향을 탐색하여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관련 문헌들에 대해 고찰하고 그 내용을 연구 문제에 따라 정리하였다. 그 결과, 과학 교육에서 정서 연구는 여러 가지 개념이 혼재된 상태에서 출발하여 과학적 태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가 구분되면서 좀 더 체계적인 면모를 갖추게 되었고, 이후 과학 학습에 관련된 긍정적 정서 및 부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로 이어져 왔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인지와 정서 사이에는 복잡한 관계가 있으며, 정서를 과학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인 요인으로만 취급하는 이분법적인 시도에 제한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는 달리 최근 인식적 정서에 관한 연구는 과학적 실천에 정서가 동반되고 인지와 정서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통합되어 있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 있었다. 따라서 과학적 실천을 통해 과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정서를 이해하고 부정적인 정서까지도 교육적으로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고등학생의 내.외향성에 따른 SSC(Small-Scale Chemistry) 실험 수업의 효과 (The Effect of Small-Scale Chemistry (SSC) Lab Program with Respect to High School Students' Extroversions and Introversions)

  • 유미현;김미영;홍훈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9-192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내 외향성 따른 SSC(Small-Scale Chemistry)실험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여 SSC 실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험 집단은 SSC 실험 수업을 실시하고 비교 집단은 교과서에 근거한 전통적 수업을 5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성격 검사 점수를 통해 학생들을 외향성과 내향성으로 구분하였고,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이원 공변량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사전 검사로 과학적 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사로 과학적 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SSC 실험 수업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및 사후 과학 성취도 점수는 중간고사 및 기말고사 과학 점수를 이용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학업 성취도는 처치에 따른 주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내 외향성과 수업처치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과학적 태도는 주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내 외향성과 수업처치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이는 외향적인 학생이 SSC실험 수업에서 실험의 기회가 많아지고 주도적으로 마음껏 실험할 수있었던 것과 달리 내향적인 학생은 소인수 실험으로 인해 오히려 자신에게 주어지는 책임감과 부담감을 느끼는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에서 수업 처치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SSC 실험 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내 외향성 학생 모두에서 '3인 1조의 소인수 실험'과 '이해도'와 '편리성' 항목에서 90%이상의 매우 긍정적인 인식이 나타났다. '다른 학생과 실험 결과 비교' 항목에서는 내 외향성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과학 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Writ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 related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 신정인;신예진;윤회정;우애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11-52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의 정리 단계에서 글쓰기를 강조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경기도 소재 중학교 1개교의 2학년 학생 127명을 연구 대상으로 총 30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정리 단계에서 실험반은 학습 목표와 연관된 과학 개념을 글쓰기로 정리하였고, 비교반은 문제 풀이로 정리하였다.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는 TOSRA를 수정 보완한 과학 관련 태도 검사지, 과학 학습 동기는 PALS와 MSLQ를 수정 보완한 과학 학습 동기 검사지, 학업 성취도는 학교의 지필 평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관련 태도 검사 결과, 과학 글쓰기 수업은 학생들의 전체적인 과학적 태도 함양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p<.05). 특히, 하위 영역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와 '과학 수업의 즐거움', ' 과학에 대한 적극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p<.05). 둘째, 과학 학습 동기 검사 결과, 과학 글쓰기 수업은 학생들의 전체적인 학습 동기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p<.05), 하위 영역에서는 '과제에 대한 가치'와 '자기 효능감'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과학 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특히 상위 수준의 학업 성취도 집단에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의 순환에 대한 과학 수업에서 개념 만화 활용이 중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Using the Concept Cartoons about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Attitudes in the Lessons on Water Cycle Unit)

  • 위수민;조현준;문은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2권1호
    • /
    • pp.19-32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물의 순환에 대한 과학 수업에서 개념 만화 활용이 중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해 개념 만화를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이 계발되었으며,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 과학 교과에 대한 학습 동기, 과학적 태도의 네 영역을 가진 과학 태도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설계는 준실험설계기법을 적용하였으며 개념 만화가 9차시 동안 실험집단에 적용되었다. 개발된 검사지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t-test를 통한 분석 결과 네 영역 중 과학 교과에 대한 학습 동기 영역에서만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개념만화가 과학 태도의 모든 영역에 효과적이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과학수업에서 개념만화의 사용은 좁은 영역에서 제한된 목적으로 사용되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 PDF

다문화 과학인재와 과학영재의 학습 경향성 및 사회적 특성과 과학캠프 참여 태도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on learning tendency & social characteristics and science camp participation attitude of the global science talented and the science gifted children)

  • 이숙영;권치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35-244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learning tendency & social characteristics and the science camp participation attitude of the global science talented and the science gifted c.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children who are taking part in Global Bridge project group and in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S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gifted children was more superior to the global science talented, when it comes to task commitment and fluency, creativity, enthusiasm for learning on the learning tendency. Second, the science gifted children have much more sociality than the global science talented in the sense of social characteristics. The global science talented showed lack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 confidence for human relationship. Third, both parties were positive in terms of attitude which participating science camp. It was proved that science camp made a positive affect on both groups in several senses such as improving awareness & attitude of science activity and enhancing sociality. As a result, unlike ordinary program for the science gifted children, one for the global science talented in global bridge project is highly demanded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cultural students. Moreover, it might be considered that educational circumstance would be needed, under which it is able to stimulates students' scientific curiosity throughout launching science hands-on program, such as systemized science camp etc.

인터넷 자원기반 문제중심학습이 초등학생의 과학과 학업성취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net Resource-Based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and the Attitude toward Sc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진민;이형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5-8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internet resource-based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and the attitude toward sc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e experiment class and one control class of grade 6 students were selected to perform a prior investiga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and the attitude toward science, then the experiment class attended 4 weeks of lessons that was applied the internet resource-based problem-based learning, and the control class attended the traditional lessons based on the guidelines of teachers. After conducting lessons, a post investigation was performed for each clas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produc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internet resource-based problem-based learning could be see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 science. The internet resource-based problem-based learning seemed to make students recognize the lesson details better and grasp well the questions given during lessons from the process of finding solutions among many informations and data on the internet. Second, the internet resource-based problem-based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attitudes' areas toward science of students. It looked like that the internet resource-based problem-based learning taught the students to use the internet resources and gave them a friendly feeling, so the children could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and had positive recognition on science. Third, from teacher observation and the result of the student recognition investigation, we could know that the students showed lots of interests in the internet resource-based problem-based learning, and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the scientific theories in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that were relevant to real life, and thought science in a positive way.

초등과학 수업에서 과학교육마술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따른 효과 (Development of Educational Science Magic Program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nd Effects of its Application)

  • 윤정현;최선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1호
    • /
    • pp.52-67
    • /
    • 2013
  • 이 연구는 과학교육마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함으로써 과학교육마술 프로그램 활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과학탐구능력,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과학교육마술 프로그램 활용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J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 60명을 대상으로 비교반(30명)과 실험반(30명)을 선정하였고, 비교반은 교과서 중심의 수업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실험반은 과학교육마술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처치 후, 실험반과 비교반을 대상으로 각 영역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여 과학교육마술 프로그램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과학탐구능력,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과학교육마술 프로그램 활용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교육마술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반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변화에 있어서 비교반 학생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둘째, 과학교육마술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반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점수는 비교반 학생들에 비해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그러나 기초탐구과정의 하위 영역 중 '측정'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과학교육마술 프로그램 활용 수업은 측정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실험반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점수는 비교반 학생들에 비해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그러나 과학적 태도의 하위 영역 중 '끈기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과학교육마술 프로그램 활용 수업은 끈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설문 분석 결과 '과학교육마술 수업으로 과학 수업이 즐거웠다'(100%), '과학교육마술 수업을 할 때 수업에 더 열심히 참여하였다'(87%), '과학교육마술 프로그램이 수업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93%), '과학교육마술 수업을 하면서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많아졌다'(90%), '앞으로도 과학교육마술 수업을 계속 했으면 좋겠다'(100%)라는 의견은 과학교육마술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 및 흥미 증가, 수업 참여도 향상, 학습 내용의 이해, 과학 수업에서의 즐거움 증가 등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골고루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적용한 과학교육마술 프로그램은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 학습 내용의 이해도, 과학수업에서의 즐거움, 수업 참여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초등 과학 현장에 활용할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과학 영상매체를 활용한 초등 융합형 교수학습 전략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Convergenc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Using the Science Visual Media)

  • 권난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1호
    • /
    • pp.29-40
    • /
    • 2014
  • 융합시대로의 패러다임 변화로 인하여 다양한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적 창의성과 예술적 감성 신장에 있어 기술, 공학적 방법 등이 종합된 영상매체의 교육적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과학교육 내에서 만의 융합교육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타 과목과 효과적으로 연계 지도할 수 있는 전략 모색이 필수적인데 이는 방법적인 면에서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내용적인 면에서는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 유발에 효과적인 영상매체가 하나의 전략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6학년 2학기 교육과정 내에 포함된 초등교과 단원에서 과학적 사고과정을 연계할 수 있는 교과별 주제를 선정하여 이를 재구성해서 과학적인 영상매체, 즉 과학사진, TV 영상, 영화, UCC 등을 투입하여 산출되는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에 대한 교육적 유의미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