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the Scientific Preferences of Middle School Girls

협동학습이 여중생들의 과학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

  • Cho, Kyu-Seong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Koang-Ho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Yang, Su-Mi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조규성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 이광호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 양수미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Published : 2005.02.18

Abstract

I conducted a pretest on the students' preference before I incorporated Cooperative learning in five classes of second grade students, at a girl's middle school which is located in Gimje city. After ten weeks of Cooperative school work, the students took a post test with the same questions as the pretest. The result of this method greatly impacted on the change of students' scientific preference. It means that the students showed their positive awareness of and the participation in the science class in comparison with the classes before they were taught this new style of educ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of their scientific attitude on the recognition about the scientists and the habit which they think scientifically. This resulted from a short period of ten weeks of learning which is not sufficient to carry out the study strategy effectively. Surveys of the students on Cooperative learning indicates that the middle level students prefer this method unlike the higher or lower level. I am convinced that they can learn from the students of higher level and are able to help the lower level with the interaction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본 연구는 김제시 1개 중학교 2학년 여학생 5개반을 연구 대상으로 협동학습 실시 전 과학 선호도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약 10주간의 실험 처치를 한 후 사전 검사와 동일한 검사지로 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여중생들의 과학적 선호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과 과학 수업에 대한 참여도가 협동학습 전과 달리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과학자들에 대한 인식이나 과학적으로 사고하거나 행동하는 습관을 나타내는 과학적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10주 동안의 기간은 협동학습 전략을 효과적으로 시행하는데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협동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조사서에서 중위 수준 학생들은 상-하위 수준 학생들과 달리 협동학습에 대해 강한 긍정을 나타냈다. 협동학습을 통해 상위 수준 학생들에게 배우고, 하위 수준 학생들에게 나누는 모둠 활동에서 자신감을 얻고 흥미를 느낀 것으로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