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Culture

검색결과 512건 처리시간 0.024초

Cultural Idea and Space Development

  • Kim, Jong-bu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5권1호
    • /
    • pp.32-39
    • /
    • 2017
  • The ideology of space developmen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national security, scientific inquiry, and commercialism. Korea and Japan have influenced the space development innovation system by different proportions. In the rhetoric analysis of Kim Young Sam, Kim Dae Jung, Roh Moo Hyun, and President Lee Myung Bak, the periods when Korea's space development began in earnest, the pragmatism (commercialism) of strengthening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rough space development has been consistently emphasized. But it also maintains national security and scientific inquiry as ancillary.

Exploring the effects of unplugged play for children aged 3, 4 and 5 - Based on Bee-bot -

  • Kwon, Un-jou;Nam, Ki-won;Lee, Ji-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239-245
    • /
    • 2020
  • With the recent revised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exploring children's play through new teaching media is increasing in kindergarten. In this study, it is to use the robot 'Bee-bot' for early children to uncover the changes that children have through free exploration and pla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hange of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of 3, 4, and 5-year-olds,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all three sub-elements. We propose to us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test tools, propose and apply ideas for problem-solving, conclusion on problem-solving Building.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unplugged play using 'Bee-bot' is meaningful as a play environment and as a teaching medium for children aged 3, 4 and 5 years old.

탐구실험 수업에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적용: 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대한 효과 (Applications for Self-Regulating Learning Strategy to Quantitative Relationships in Chemical Reaction)

  • 김연철;박종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487-495
    • /
    • 2021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창의적 및 비판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는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이용하여, 고등학교 화학I '화학반응에서의 양적관계' 단원의 탐구실험 수업에 응용하였으며, 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였다. 학업성취도의 경우,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의 평균값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실험집단 학생들은 모둠별 토의, 메타인지 활동 등으로 부피비, 몰비, 입자수 비 및 계수 비, 등의 양적관계를 더 잘 이해하였다. 학업성취도는 메타인지와의 상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과학적 태도의 경우, 준비성, 호기심, 등에서 두 집단 간의 평균점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과학적 태도는 행동조절과의 상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메타인지와 과학적 태도에 대한 효과를 고려할 때,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이 시대에 필요한 창의성 및 인성교육에 가장 적합한 교수-학습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군사혁신 3요소를 적용한 과학화 경계시스템 발전방향 (A Development Direction for Scientific Guard Systems Applying 3 Elements of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 권영호;유준성;박성준;최현규;조상근;박상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249-25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우리 육군의 현 과학화 경계시스템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2035년을 목표로 군사혁신 3요소를 적용하여 과학화 경계시스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현 과학화 경계시스템의 도전요소를 분석하고, 다른 나라의 유사사례를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군사혁신 3요소(작전운용개념, 조직편성, 무기체계)의 틀을 적용하여 경계작전개념, 경계부대 조직편성, 유·무인 복합경계체계로 구분하여 과학화 경계시스템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당면한 도전요소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민첩하고 스마트한 경계부대와 더불어 첨단기술 기반의 유·무인 복합경계체계를 적용한 혁신적인 과학화 경계시스템이 필요하다.

Formation Of Digital Culture Of Scientific And Pedagogical Workers In The Conditions Of General Digitalization Of Education

  • Kononenko, Andrii;Smyrnova, Iryna;Rybalko, Petro;Obraz, Vasyl;Balakhovska, Yuliia;Prepotenska, Mary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호
    • /
    • pp.189-192
    • /
    • 2021
  • The article theoretically substantiated, developed and practically implemented a structural and functional model of the formation of ICT competence, taking into account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defines the pedagogical conditions that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ICT competence: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as a basis for building an interdisciplinary course, the content of which is aimed at the formation of ICT competence; the use of IEE, including information, didactic, technological components as a basis for the formation of ICT competence; integration of formal, non-formal and informal education for the implementation the integrity of the acquired knowledge, skills, experience as the basis for the formation of the ICT competence of teachers; creation and use of a set of tasks (educational (UZ), educational and methodological (UMP),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UPZ)) as special tools for the formation of ICT competence.

송대(宋代) 교정의서국(校定醫書局)에 대한 고찰 -학문연구의 근거 구축의 관점을 중심으로- (The Study about GyoJungEuiSeoGook of Song Dynasty -On the basis of viewpoint in building the foundation of scientific research-)

  • 왕소영;최환수;김용진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7-160
    • /
    • 2003
  • The GyoJungEuiSeoGook(校定醫書局, the bureau for revising of medical books)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2nd year of InJong GaWoou of Song dynasty, made comparative analyzation about various kinds of publication and reference materials of all classical medical books that was published until Jin Han and Su Dang dynasty, revised the medical books like as Bozushinnongboncho(補注神農本草), Zungkwangbozuhwangjenegyungsomun(重廣補注黃帝內經素問), Shanghanlon(傷寒論), Bigupchunggumyobang (備急千金要方), Magkyung(脈經), Oedaebiyo(外臺備要), Hwangjechimgugapeulgyung(黃帝鍼灸甲乙經), Cchunggumikbang(千金翼方) etc. The signification of such revision was not only to preserve the materials which may be lost before, bibliographically and also make the books of Hwangjenegyung(黃帝內經), Shanghanlon(傷寒論) etc. become more regularly. And it made the foundation of Korean Medical research depends on the documentary records so as to make it have big development by deductive method till the beginning of modern age. The success of GyoJungEuiSeoGook(校定醫書局) indicates that the stagnation of Korean Medical research due to it's behind with the development of politics-economy, social culture and scientific technology which based on western scientific culture. So we may draw the conclusion that the success of scientific research needs to parallel with the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of the surrounding science.

  • PDF

송대 교정의서국(校定醫書局)에 대한 고찰 -학문연구의 근거 구축의 관점을 중심으로- (The Study about GyoJungEuiSeoGuk of Song Dynasty - On the basis of viewpoint in building the foundation of scientific research -)

  • 왕소영;최환수;김용진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6-110
    • /
    • 2004
  • The GyoJungEuiSeoGuk(교정의서국, the bureau for revising of medical books)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2nd year of InJong GaWoou of Song dynasty, made comparative analyzation about various kinds of publication and reference materials of all classical medical books that was published until Jin Han and Su Dang dynasty, revised the medical books like as Bozushinnongboncho(보주신농본초), Zungkwangbojuhwangjenegyungsomun(중황보주황제내경소문), Shanghanlon(상한론), Bigupchunggumyobang (비급천금요방), Magkyung (맥경), Hwangjechimgugapeulgyung(황제침구갑을경), Oedaebiyo (외대비요), Chunggumikbang(천금익방) etc. The signification of such revision was not only to preserve the materials which may be lost before, bibliographically and also make the books of Hwangjenegyung(황제내경), Shanghanlon(상한론) etc. become more regularly. And it made the foundation of Korean Medical research depends on the documentary records so as to make it have big development by deductive method till the beginning of modem age. The success of GyoJungEuiSeoGuk indicates that the stagnation of Korean Medical research due to $it^{circ}{\Phi}s$ behind with the development of politics-economy, social culture and scientific technology which based on western scientific culture. So we may draw the conclusion that the success of scientific research needs to parallel with the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of the surrounding science.

  • PDF

국가 수준의 과학문화 실태 진단을 위한 지표 체제 개발 (Developing the Indicator System for Diagnosing the National Status Quo of Science Culture)

  • 송진웅;최재혁;김희경;정민경;임진영;조숙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16-330
    • /
    • 2008
  • 지난 수 십 년 동안 과학문화는 과학정책 및 과학교육의 주요 화두가 되어왔다. 그러나 과학문화의 정의나 과학문화의 측정에 대한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은 채로 여러 과학문화 관련 사업이 진행되어 왔다. 국내에서도 국가기관 및 민간기간에서 과학문화와 관련된 사업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으나, 이러한 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진단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 문화의 새로운 모형과 한국의 과학문화를 진단하기 위한 과학문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문헌에서의 과학문화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국내외의 과학기술 관련 지표를 참고하여 과학문화를 '개인과 사회가 과학기술과 관련하여 공유하는 잠재적이고 실천적인 삶의 양식 및 가치의 총체'라고 정의하였다. 이에 따라 과학문화를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를 다시 잠재와 실행적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개인적 차원은 개인의 과학문화 소양을, 사회적 차원은 과학문화 기반시설을 의미한다. 이 $2{\times}2$의 각각의 범주는 다시 여러 개의 하위범주로 나눠진다. 개인의 잠재적 영역을 의견 관심 이해로, 개인의 실행적 영역은 학습 적용 참여로, 사회의 잠재적 영역은 인적 물적 제도적 인프라로, 사회의 실행적 영역은 매체 행사 시민활동으로 나눠진다. 각각의 범주는 서로 순환적이며 복합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 지표는 과학문화를 체계적이며 종합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국내외의 과학기술 관련 지표의 조사결과와 비교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지표를 이용하여 국가적 수준에서 정기적으로 과학문화의 현황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학관련 사회적 이슈에 대한 과학문화지표의 개발: '기후변화'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Science Culture Indicators for Socio-Scientific Issues: Focusing on Climate Change)

  • 김리경;하은선;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72-486
    • /
    • 2010
  • 현재 행해지는 과학관련 사회적 이슈(socio-scientific issue: SSI)에 대한 대중의 인식 조사는 대개 현상의 위험성 인식 및 정책 선호도와 같은 일부 영역에 한정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 SSI에 대한 대중의 과학문화소양을 보다 다각적이고 총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지표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최근 세계적으로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는 기후변화를 특정 SSI로 선정하였으며, 이 이슈를 중심으로 새로운 지표체계 및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SSI에 대한 과학문화소양'을 '다양한 측면에서 SSI를 바라보고, 이를 통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며, 관련된 문제에 현명하게 대처해나가는 생활양식'이라 정의하였다. 보다 체계적인 접근을 위하여 개인의 과학문화소양을 잠재적 소양과 실행적 소양으로 구분하였으며, 대범주 '잠재'는 중범주 '관심', '의견', '이해'로, 대범주 '실행'은 중범주 '학습', '실천'으로 나누어 지표 및 설문항목을 구성하였다. 개발 과정에서 과학교육, 환경 교육, 대기과학 전문가의 검토를 거쳤으며, 중학생 777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적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지표체계와 설문지의 일부가 수정 보완되었으며, 수정된 지표체계는 2개의 대범주, 5개의 중범주, 15개의 소범주, 34개의 지표, 63개의 설문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표체계는 향후 다양한 SSI 주제에 관한 대중의 인식을 조사함에 있어 종합적인 자료를 효율적으로 축적하고 분석할 수 있는 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과학 문화 해설사 되어보기 활동을 통한 전통 과학 지식의 교육적 활용 방안 탐색 (Exploring the Use of Traditional Science Knowledge by 'Being a Commentator on Korean Traditional Science Culture' Activities)

  • 이지혜;신동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93-214
    • /
    • 2017
  • 본 연구는 우리 전통 과학의 고유한 의미를 유지하며 TSK를 과학 교육에 접목할 수 있는 방향 모색의 방법으로 '우리 과학 문화 해설사'라는 과학 활동을 통해 중학교 학생들이 이해한 TSK의 소재는 무엇인지, TSK의 이해에 영향을 준 학습 맥락은 무엇인지, 학생들이 구성한 TSK 가치관은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7명의 중학교 1학년 남 여 학생들은 7개월 동안 창덕궁의 전통 과학 소재를 발굴하고 전통 과학 문화 해설 대본을 만들어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해설을 실시했다. 분석 대상으로 학생들의 수업 과정, 해설 대본, 활동지, 조사지, 활동 후 개별 면담 등이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TSK의 소재를 전통 자연관, 전통 과학 기술, 과학을 이용한 삶, 자연 과학 소재 등의 네 가지 유형으로 이해했다. 학생들의 전통 과학 학습 경험에서의 주요 학습 맥락은 소통으로 현장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소통, 활동 과정에서 동료 혹은 어른들과의 의사소통, 해설사 역할로써 동생들과의 소통 등은 학생들의 TSK에 대한 경험적 이해와 맥락적이고 감각적인 과학 지식 형성, 과학의 다양한 형태와 표현에 대한 이해 그리고 과학의 설득적, 이해적, 전달적 설명 방법에 대한 경험 등에 도움을 주었다. 학생들은 TSK의 과학성, 인간적이고 소박한 특징, 과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필요성, 문화로서 TSK를 지키고 유지할 필요성 등의 가치관을 형성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TSK가 과학 교육에서 통합적이고 실제 맥락적인 교육 현장을 제공하고 과학과 과학 방법에 대한 문화적 다양성과 동양 과학적 사고의 특성 이해에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전통 문화에 대한 TSK와 학교 과학의 동시적 접근은 우리 전통 문화를 바라보는 올바른 시각 형성과 주체적 태도에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