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Chemistry Term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2초

연소의 과학적 모형형성 수업에서 나타난 중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징 (Characteristics of Social Interaction in Scientific Modeling Instruction on Combustion in Middle School)

  • 박현주;김혜영;장신호;심영숙;김찬종;김희백;유준희;최승언;박경미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93-405
    • /
    • 2014
  • 이 연구는 연소의 과학적 모형형성 수업에서 나타난 중학생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문화적, 언어적 상호작용, 토론유형도(map)를 통해 분석한 것이다. 중학생의 연소에 대한 모형형성 과정을 사회적 상호작용 측면에서 CLEQ (Cultural Learning Environment Questionnaire)를 살펴보고 모형형성 측면에서 언어적 상호작용, 토론유형도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의 문화적 특징은 경쟁보다는 협동 측면에서의 집단주의를 선호하지만 과학학습 태도는 타인의존적인 경향이 높고, 모형형성 과정에서 스스로의 의견을 소극적으로 제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은 모형형성에 관련된 지식을 단순하게 제시한 형태가 많았고, 상대방의 의견에 대한 반응과 피드백을 하는 메타인지 영역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토론유형도는 특정한 학생에 의존하여 의견제시만 하는 개념제시 상호작용과 응답진술을 반복하며 이루어지는 반응 상호작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의견교환 할 때 새로운 의견제시, 수정, 근거를 들어 설명하는 등의 정교화 상호작용은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는 모형형성에 영향을 주는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이해와 우리나라 학생들의 상황을 고려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교수 설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인삼포상토(人蔘圃床土)의 화학적(化學的) 성상(性狀)에 관(關)한 연구(硏究)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Nursery Soil in Cultivation of Panax ginseng)

  • 임선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2호
    • /
    • pp.65-70
    • /
    • 1975
  • 약용식물(藥用植物)인 인삼(人蔘)의 재배(栽培)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특수성(特殊性)이 전래(傳來)되어 오고있다. 인삼(人蔘)은 묘기(苗期)로부터 수확기(收穫期)까지 영양(營養)의 요구성(要求性)이 특수(特殊)하여 상토(床土)의 조제(諸製) 및 본포(本圃)에서의 영양공급(營養供給)을 주(主)로 ‘약토’(藥土)에 의존(依存)하고 있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인삼재배포(人蔘栽培圃) 토양(土壤)의 특성(特性)과 약토(藥土)의 성상(性狀)에 대(對)하여 화학적(化學的) 측면(側面)에서 검토(檢討)한 것이다. 묘상토(苗床土)는 토성(土性)이 심(甚)히 거칠며 비옥도(肥沃度)가 몹시 낮고 미숙(未熟)한 원야토(原野土)에 약토(藥土)를 혼합(混合)하여 육묘(育苗)하므로 약토(藥土)의 조성(組成)과 성상(性狀)이 인삼묘(人蔘苗)에 대(對)하여 매우 중요(重要)한 성장요인(生長要因)이 되고 있다. 약토(藥土)는 활엽수엽(闊葉樹葉)을 약간(若干) 부숙(腐熟)시켜 주재(主材)로한 혼성유기물질(混成有機物質)로서 그의 조구성상태(粗構成狀態)를 분석검토(分析檢討)하했고 또한 그의 용해성(溶解性)에 따라 분획(分劃)하였다. 각(各) 획분별(劃分別)로 그의 조성(組成)과 성질(性質)을 추구(追究)하고 상호비교(相互比較)하기 위하여 질소(望素)의 형태별(形態別) 분포(分布), 유기관금기(有機官能基)(-COOH, Phenolic-OH, Alcoholic-OH, $-OCH_3$)의 함유량(含有量), 가시부(可視部)와 적외선부위(赤外線部位)에서의 흡광성(吸光性) 측정(測定). 그리고 가수분해성(加水分解性) 당류(糖類)의 구성상태(構成狀態) 등을 조사(調査)하였으며 한편 약토(藥土)의 Alkali추출물(抽出物)의 성상(性狀)을 전토양부식산(田土壤腐植酸)과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 PDF

예비 화학교사들의 실천적 지식(PPK) 함양을 위한 사례연구 -실행공동체(CoP) 활동의 반성적 논의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for Developing 'Personal Practical Knowledge(PPK)'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Based on the Reflective Discussion of Community of Practice(CoP) Activity)

  • 김유정;홍훈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47-35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 화학교사가 사범대학의 삶과 교육을 통해 발달시켜가는 교사 전문성을 실천적 지식(PPK)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예비 화학교사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5명의 예비 화학교사가 실행 공동체(CoP) 활동을 통하여 사범대학 삶과 교육에 대한 반성적 논의에 참여하였으며, 논의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예비 화학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5가지 영역 중 교과내용 지식은 방대한 화학 지식으로 편극화된 경향이 있고, 교육과정 지식은 교육과정 자료들을 비판적으로 선택 분석 응용하는 수준으로 이어지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학습 지식에서는 특히 탐구실험 지도력이 부족하며, 교수 학습환경 지식은 사범대학-지역사회 간 연계부족, 교육 관련자들과의 소통의장 부족으로 인해 발달에 제한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예비 화학교사들은 교직에 목적을 두지 않는 주변인들로부터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었고, 교사로서의 신념을 충분히 숙고할 수 있는 대화의 장이 학과 내 부족하여 교사자신관련 지식을 충분히 함양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화학교사의 실천적 지식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자신관련 지식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예비교사 현직교사 교수자 지역사회 담당자 교육행정가 교육 연구자 등이 함께 하는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운영이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교과내용 지식의 깊이와 방향성에 대한 제고,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재구성해볼 수 있는 기회의 제공, 탐구실험 지도력 향상을 위한 교과내용실험 과목의 개선, 교육봉사 활동의 개선이 예비 화학교사의 실천적 지식 함양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한다.

과제연구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 및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search Project Program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of High School Students)

  • 정혜영;문성배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93-30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search project program of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for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were accompanied by 72 junior students of G High School who were reorganized as students whose research subject was closely related to chemistry. These students went through 28 periods of 14 sessions of research project program,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the study on their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A simple questionnaire afterwards to get their thoughts on this program, was survey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project program was effective in the science process skills (p<0.01).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subcategory of deduction, setting up hypotheses, finding variables, building experiments, graphing and interpreting data. Although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average scores of prediction, operant definition, and generalization factors, it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p>0.05). Second, the research project program showed an increase in the post-test of the science-related attitudes but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p>0.05). In terms of subcategoty, the social importance of science, criterion of scientists, application of scientific attitude, and enjoyment of science classes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p<0.05). Third, according to the survey of research project program, there was an increase in creating a research problem and solving it by oneself as well as in participating with other teammates to solve a problem. But the most difficult thing was when the experiment failed during the research was processing. The curiosity and interest, towards objects around all lives and science classes after the program done, were increased.

세계 고구마 재배현황 및 대량생산의 선결과제 (Current status on global sweetpotato cultivation and its prior tasks of mass production)

  • 김호수;이찬주;김소은;지창윤;김성태;김진석;김상용;곽상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190-195
    • /
    • 2018
  • 고구마는 21세기 인류가 당면한 식량, 에너지, 환경, 보건문제 등을 해결하는 21세기 구원투수로 등장하고 있다. 고구마는 식량자원 뿐만 아니라 바이오에탄올, 기능성 사료, 항산화물질 등 고부가가치소재를 생산하는 생체반응기로 평가된다. 미국 공익과학단체(The nonprofit Center for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CSPI)는 고구마가 저분자항산화물질, 식이섬유, 칼륨 등을 고함유하고 있는 고구마를 몸에 좋은 10대 슈퍼식품 가운데 하나로 선정하였다. 미국 농무부는 고구마를 전분작물 가운데 식량수급에 영향을 최소화하는 척박한 토양에 가장 적합한 바이오에너지작물로 평가하였다. UN 식량농업기구는 2050년에 세계인구가 97억 명이 될 것이며 지금 추세로 식량을 사용하면 2050년에는 지금의 1.7배의 식량이 필요하다고 전망했다. 어떻게 미래 식량위기를 극복할 것인가? 이러한 측면에서 척박한 토양에서도 어느 정도 수량을 보장하는 고구마가 지구가 당면한 제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세계 고구마 유전자원과 생산현황을 살펴보고, 글로벌 식량자원 및 고부가가치 바이오소재 측면에서 새로운 고구마의 북방로드 개척 및 상업적 대량재배를 위한 선결과제를 기술하고자 한다.

중학생의 자유 탐구 보고서에 나타난 특징과 탐구 수행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Open-Inquiry Report and Their Perceptions of Conducting Inquiry)

  • 박미현;차정호;김인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371-377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대구 지역 중학교 2학년 165명이 작성한 자유 탐구 보고서를 주제 영역, 탐구 가설, 그리고 탐구 변인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여름방학이 시작되기 전 2시간 동안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면서 탐구 과정에 대해 소개하고, 주제를 탐색하도록 하였다. 여름방학 동안 학생들은 주제 선정, 실험설계 및 수행, 자료 수집 및 분석, 결과 보고서 작성 등의 과정을 스스로 진행하였다. 여름방학 후, 결과보고서를 제출받으면서 학생들이 주제 선정에서 활용한 자료의 출처, 가설의 정의, 그리고 탐구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단계에 대한 인식도 조사하였다. 보고서의 주제 영역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생활 영역으로, 보고서에 기술된 가설은 예측 가설과 설명 가설로 분류하였고 가설의 정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비교하였다. 탐구 주제, 탐구 가설, 실험 설계 부분에 제시된 탐구 변인을 분석하여 범주형, 연속형, 불확실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주제 영역 중 화학 영역의 보고서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생물과 생활 영역이 많았다. 전체 165개 보고서 중 130개에 탐구 가설을 포함하고 있었는데, 이들 중 대부분은 예측 가설에 해당하였다. 보고서에 제시된 탐구 변인을 분석한 결과, 탐구 주제와 탐구 가설에 기술된 독립 변인과 종속 변인은 불확실 유형이 많았다. 그러나 실험 설계 부분에 기술된 변인들은 불확실 유형이 많이 줄어들었고, 범주형 변인이 증가하였다. 탐구 수행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단계에 대한 질문에 학생들은 주제 선정 단계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수업에 대한 동료교사의 협의가 과학교사의 수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er Discussion about Classroom Practices on Science Teachers' Teaching)

  • 성숙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7-123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들이 함께 서로의 수업 동영상을 관찰하고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동료교사의 협의가 어떤 내용으로 이루어지는지 또한 그들의 과학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에 근무하는 세명의 과학교사가 1년 동안 1회의 예비모임과 5회의 본 모임을 가졌으며, 각 교사가 5차시씩의 수업을 녹화하여 총 15차시의 수업 동영상을 함께 모여 관찰하고 서로의 수업에 대해 반성적으로 협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모든 논의 내용을 녹음하였으며, 15차시의 수업 동영상과 6회의 협의는 전사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교사의 반성적 논의과정에서는 교수전략과 내용측면에 대한 협의뿐 아니라 교육과정 조직과 교수목표와 관련된 부분이 폭넓게 논의되고 있었다. 동영상 자료를 통해 수업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수업전략 측면의 변화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목표와 관련된 교육과정 조직 측면의 변화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관찰과 동료교사와의 협의 과정을 통하여 교사는 수업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실현가능한 대안을 고민하게 되었으나, 이것이 실천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이를 직접 적용해보는 경험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동료교사의 수업관찰과 반성적 논의를 통한 수업개선의 가능성과 한계점을 알게 되었으며, 이러한 방법이 학교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 필요한 방안들을 찾을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수업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많은 교사들에게 수업개선 방법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