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eer Discussion about Classroom Practices on Science Teachers' Teaching

수업에 대한 동료교사의 협의가 과학교사의 수업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09.09.14
  • Accepted : 2010.02.02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tent and the effect of peer discussion about classroom practices on their science teaching. Participants included three science teachers with chemistry backgrounds in middle and high schools. Each of them had their classes videotaped and observed the footage as well as discussed the lessons together. The teachers had six meetings on 15 recorded lessons including one meeting beforehand. Teachers' discussions were also audio-taped and the data was transcribed. Teachers extensively discussed their lessons not only in terms of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scientific concepts but also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eaching goals. Analysis of video-recorded lessons showed that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changed partially, but the aspects of curriculum organization in relation to teaching goals were not changed. Analysis of the recorded data revealed that teachers recognized the problems in their science teaching and considered the practical alternative ideas suggested by peers, but teachers proposed the necessity of experience to practice in their class. The study shows that observing and discussing each other's classes is one possible way to improve the class. Implications about teaching improvement for other teachers we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들이 함께 서로의 수업 동영상을 관찰하고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동료교사의 협의가 어떤 내용으로 이루어지는지 또한 그들의 과학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에 근무하는 세명의 과학교사가 1년 동안 1회의 예비모임과 5회의 본 모임을 가졌으며, 각 교사가 5차시씩의 수업을 녹화하여 총 15차시의 수업 동영상을 함께 모여 관찰하고 서로의 수업에 대해 반성적으로 협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모든 논의 내용을 녹음하였으며, 15차시의 수업 동영상과 6회의 협의는 전사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교사의 반성적 논의과정에서는 교수전략과 내용측면에 대한 협의뿐 아니라 교육과정 조직과 교수목표와 관련된 부분이 폭넓게 논의되고 있었다. 동영상 자료를 통해 수업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수업전략 측면의 변화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목표와 관련된 교육과정 조직 측면의 변화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관찰과 동료교사와의 협의 과정을 통하여 교사는 수업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실현가능한 대안을 고민하게 되었으나, 이것이 실천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이를 직접 적용해보는 경험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동료교사의 수업관찰과 반성적 논의를 통한 수업개선의 가능성과 한계점을 알게 되었으며, 이러한 방법이 학교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 필요한 방안들을 찾을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수업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많은 교사들에게 수업개선 방법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선 (2003). 생물 교육 실습생의 자기 수업에 대한 반성을 통한 수업 기술 개선 연구: 비디오 촬영과 자기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곽영순 (2003). 과학과 수업분석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84-493.
  3. 곽영순 (2005). 과학과 수업평가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494-502.
  4. 곽영순, 강호선 (2005). 교사평가 수업평가. 서울:원미사
  5. 교육인적자원부 (2007). 개정 초.중등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2007-79호 [별책1].
  6. 김수현 (1999). 과학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계속 프로그램의 평가 준거 요소.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찬종, 맹승호, 차현정, 박영신, 오필석 (2006). 과학 교수활동에 대한 우선순위와 동기적 근접발달영역에 비추어 본 초임과학교사와 경력과학교사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425-439.
  8. 박미화 (2007). 과학 교사의 수업에 대한 반성적사고의 유형 및 내용탐색: 예비 과학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박성혜 (2000).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 과학 교수에 대한 태도,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의 상호 관계성 조사 (I).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542-561.
  10. 박성혜 (2003).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예측변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6), 671-683.
  11. 박성혜 (2006). 중등과학교사들의 교수법 및 자기효능감과 태도에 따른 교과교육학지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122-131.
  12. 박현주 (2005). 초임 중등과학 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421-430.
  13. 서경혜 (2009). 교사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접근으로서 교사학습 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43-276.
  14. 안유민, 김찬종, 최승언 (2006). 초임 중등 과학교사의 수업에서 과학내용의 전개방식과 내용이해 전략.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691-702.
  15. 양일호, 정진우, 조현준, 최현동, 오창호 (2005). 초등학교 신규교사의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수업기술의 특징.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4(5), 583-594.
  16. 이은진, 김찬종, 이선경, 장신호, 권홍진, 유은정 (2007). 교사-연구자간 협력적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과학교사의 구성주의적 수업에 대한 내면화 과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54-869.
  17. 이화진 (2006). 수업 컨설팅 지원 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6-1.
  18. 이희원 (2005). 중학교 과학수업 개선을 위한 과학교사의 수업능력 평가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 정민주, 전미란, 채희권 (2007). 과학 영재 수업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본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사례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81-892.
  20. 정애란 (2007).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수업에 대한 관심영역과 반성적 사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1. 조정일, 윤수미 (2002). 구성주의 과학교사를 만들기 위한 장기적인 현직교육의 한 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32-648.
  22. 팽애진, 백성혜 (2005). 과학 실험 수업에 대한 중등 과학 교사의 신념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146-161.
  23. 최진영, 송경오 (2005). 사회과 교수실제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연수 특징 분석: 교사연수의 내용 및 방법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18(2), 411-430.
  24. Berry, A., Loughran, J., & van Driel, J. H. (2008). Revising the roo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0), 1271-1279. https://doi.org/10.1080/09500690801998885
  25. Erickson, G., Brandes, G. M., Mitchell, I., & Mitchell, J. (2005). Collaborative teacher learning: Findings from two professional development projects. Teacher and Teacher Education, 21, 787-798. https://doi.org/10.1016/j.tate.2005.05.018
  26. Hammerness, K. et al. (2005). How teachers learn and develop. In Darling-Hammond, L., & Bransford, J. (Eds.), Preparing teachers for a changing world: what teachers should learn and be able to do (pp. 358-360).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7. Henze, I., van Driel, J. H., & Verloop, N. (2008). Development of experienced science teachers'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odels of the solar system and the univers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0), 1321-1342. https://doi.org/10.1080/09500690802187017
  28. Jones, M. & Straker, M. (2006). What informs mentors'practice when working with trainees and newly qualified teachers? An investigation into mentors'professional knowledge base.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32(2), 165-184. https://doi.org/10.1080/02607470600655227
  29. Lederman, N. J., & Gess-Newsome, J. (2002). Reconceptualizing secondary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199-213).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Publishers.
  30. Lee, E. & Luft, J. A. (2008). Experienced secondary science teachers'represent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0), 1343-1363. https://doi.org/10.1080/09500690802187058
  31. Lincoln, Y. S., & Guba, E. G. (1989).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
  32. Lombrozo, T. & Carey, S. (2006).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function of explanation. Cogniton, 99, 167-204. https://doi.org/10.1016/j.cognition.2004.12.009
  33. Loughran, J., Mulhall, P., & Berry, A. (2008). Explor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0), 1301-1320. https://doi.org/10.1080/09500690802187009
  34.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2002).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95-132).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Publishers.
  35.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36. Mulhall, P., Berry, A., & Loughran J. (2003). Frameworks for representing science teachers'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ia-Pacific Forum on Science Learning and Teaching, 4(2), 1-25.
  37. Munthe, E. (2003). Teachers'workplace and professional certaint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9(8), 801-813. https://doi.org/10.1016/j.tate.2003.02.002
  38. NCTM. (2001).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39.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40. Pomeroy, D. (1993). Implications of teachers'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comparison of the beliefs of scientists, secondary science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Science Education, 77(3), 261-278. https://doi.org/10.1002/sce.3730770302
  41. Riggs, I. M. (1988).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Dissertation Abstract International.
  42. Rollnick, M., Bennett, J., Rhemtula, M., Dharsey, M., & Ndlovu, T. (2008). The place of subject matter knowledge i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case study of South African teachers teaching the amount of substance and chemical equilibriu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0), 1365-1387. https://doi.org/10.1080/09500690802187025
  43. Schon, D. A. (1987).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44. Seymour, J. R. & Lehrer, R. (2006). Tracing the evolu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 the development of interanimated discourses.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5(4), 549-582. https://doi.org/10.1207/s15327809jls1504_5
  45.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22. https://doi.org/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
  46. Tobin, K., & Garnett, P. (1988). Exemplary Practice in Science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72(2), 197-208. https://doi.org/10.1002/sce.3730720208
  47. Thomson, C. L., & Shrigley, R. L. (1986). What research sqys: Revising the science attitude scal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86(4), 331-343. https://doi.org/10.1111/j.1949-8594.1986.tb11625.x
  48. Wells, C., & Fuen. L. (2007). Implementation of learning community principles: A study of six high schools. NASSP Bulletin, 91(2), 141-160. https://doi.org/10.1177/0192636507302085
  49. Zeichner, K. M., Melnick, S., & Gomez, M. L. (1996). Currents of reform in preservice education. Mew York: Teacher College Press.

Cited by

  1. 교수 실제를 통한 초임 과학교사의 PCK 분석 vol.30, pp.4,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4.437
  2. 멘토링을 통한 예비화학교사들의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변화 vol.31, pp.4,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4.621
  3. 수업에 대한 멘토링이 초임화학교사의 교수실행에 미치는 영향 vol.31, pp.8,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8.1055
  4. 동료 장학 모임에 참여한 과학교사의 경험 사례 연구 vol.33, pp.1,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1.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