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media literacy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초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대학생들의 건강정보 요구와 추구행태에 관한 탐험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Undergraduate Students' Health Information Needs and Seeking Behaviors in Social Media)

  • 김수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9-260
    • /
    • 2012
  •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활발한 이용자 집단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의 건강정보 요구와, 건강정보 추구행태, 그리고 소셜 미디어에서 제공되는 건강정보의 신뢰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22명의 대학생들을 심층면접한 결과, 소셜 미디어의 이용은 특히 몸에 이상증상을 느끼는 단계에서 증상의 진단을 위해 이루어지거나 건강한 상태에서 건강유지를 위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개별 소셜 미디어에 대한 신뢰성 인식은 개인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온라인상의 건강정보를 효과적으로 평가, 획득할 수 있도록 건강정보 활용능력 교육이 필요하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IFLA의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Study of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21
    • /
    • 2020
  • 본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IFLA의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의 언어적 의미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IFLA의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은 2002년 초판과 2015년에 개정한 제2판이 있다.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의 2002년판과 2015년판을 언어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상호 비교하였다. 대상 테스트로부터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동시출현관계를 바탕으로 언어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동시출현 네트워크로부터 중심성(연결정도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넷마이너4.0의 LDA 기능을 사용하여 토픽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심성 차원에서 비교해 보면, 2015년판에서 'Program, Teaching, Reading, Inquiry, Literacy, Media' 등의 키워드가 2002년판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2002년판의 중심성 상위 리스트에서 보이지 않던 'Inquiry'와 'Achievement' 키워드가 2015년판의 연결정도 중심성과 근접중심성에 새롭게 출현하고 있다. 셋째, 토픽 모델링의 분석 결과, 2002년판에 비해 2015년판은 학교도서관 서비스, 사서교사의 교수학습 활동, 미디어 및 정보활용교육, 교육과정 참여 등에 관한 토픽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Exploring Science Communication in Panels of Exhibitions and Proposing its Development Direction in Exhibition Education: Two cases of Natural History Museum

  • Park, Young-Shin;Choi, Eunji;Ryu, Hyo-Suk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1호
    • /
    • pp.205-229
    • /
    • 201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what components of science communication and its level are contained in text panels of exhibitions in natural history museums and to propose its development direction of exhibition education in Korea. First, to find out the component and level of science communication contained in exhibition panels, the researcher team developed the analyzing tool which was called SEPAT (Science Exhibition Panel Analyzing Tool), then employed them to profile the component and level of science communication. Second, the researchers introduced the exemplary designed media of exhibitions to demonstrate how much science communication could be enhanced. The results were made as follows. First, the components of science communication was considerably weighted toward to 'concept' one. There were also a few 'awareness' and 'engagement', both of which were under 5% in each zone of exhibition and there was not 'NOSI' or 'opinion' embedded in the analyzed exhibitions. Second, the various type of designing exhibitions were found to promote or enhance the restrictedly represented components of science communication. It is suggestable for exhibitions to be designed through various type of 'media' to enhance science communication. Visitors are required to experience rich science communication to meet their educational needs, and exhibition developers in natural history museums and other museums are recommended to be professional in containing all components of science communication through various type of designing exhibitions.

  • PDF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알아본 대중의 과학관에 대한 인식 및 사용 행태 (Public Perception and Usage Pattern of Science Museum by Social Media Big Data Analysis)

  • 윤은정;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005-1014
    • /
    • 2017
  • 본 연구는 대중의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기관으로서의 과학관의 역할에 주목하고, 우리나라 과학관이 대중에게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대중의 과학관에 대한 인식과 사용 행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네이버 블로그와 트위터에에서 '과학관'이 포함된 게시글들을 추출한 뒤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빈도 분석, 공기어 분석 및 의미 분석을 실시하고 영어권의 분석 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블로그에서는 주로 어린 자녀를 둔 부모 층에서 과학관이 이슈가 되고 있었고, 트위터에서는 단체 관람을 하는 학생 층이 다수 드러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대중들은 과학관을 주로 아이의 체험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었고, 이 경우 과학관의 프로그램과 전시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단체 관람하는 학생들은 다소 부정적 감정을 표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관과 대중과의 소통, 대중의 과학에 대한 참여 등 제 3세대적 과학관의 기능적 측면에서 외국의 사례와 비교해본 결과 우리나라 대중들은 과학관 관람 이후 관람한 과학적 내용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었고, 논쟁이나 심포지움 등 과학적 의사소통과 관련된 언급 역시 거의 없었다. 또한 해설사나 직원들도 외국과는 달리 전혀 회자되지 않고 있었다. 한편, 영어권 게시글의 동사 분석에서 '배우다', '참여하다', '듣다', '읽다', '묻다', '생각하다', '그리다' 등의 유의미한 활동과 관련된 동사들이 다수 나타난 것에 비해 우리나라 게시글에서는 '물어보다', '생각하다' 가 소수 나타나는 것에 그치고 있었다. 따라서 과학관은 과학관 관람객들이 관람을 마친 뒤에 그들의 기억에 남고 대중들 사이에서 회자될 만큼 영향력 있고 다양한 내용과 활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겠다.

초·중·고등학생들의 극지에 대한 인식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Polar Region)

  • 정수임;최하늘;김민지;신동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17-733
    • /
    • 2021
  • 이 연구는 극지 연구의 중요성을 확산하고자, 극지 소양 교육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초·중·고등학생들의 극지 인식을 극지 정보 획득 현황, 극지에 대한 인상, 극지 문제 인식 측면에서 조사했다. 초·중·고 9개교 학생 975명이 선택형과 서답형이 포함된 16문항에 대한 설문 조사에 참여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시청각 매체를 중심으로 한 극지 경험이 많았고, 학교 교육에서 극지에 대한 학습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극지에 대한 인상은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위기에 처한 북극곰과 같은 이미지가 대부분이었다. 학생들은 시청각 매체에서 본 장면을 정서와 결합하면서 이미지를 형성했다. 극지 문제 인식 측면에서 학생들은 공통적으로 생물과 자연 환경, 기후 변화에 관심이 많았지만, 학교급 및 진로 희망에 따라 관심 분야가 달랐다. 학생들은 극지 문제를 해결하는 주체로서 과학자의 위상을 높게 평가했으며, 극지 문제에 대해 실용적 가치보다는 세계 시민적 가치를 우선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과정에서 극지 내용 수용 및 체계화, 극지 과학자와 교육자의 협력에 의한 차별화된 학습 경험 마련, 여러 교과에 생성력 있는 빅아이디어 중심의 극지 소양 설정, 지구계 중심의 학습 접근법, 후속 연구의 방향 설정, 다양한 가치를 수용하는 과학 교육의 필요성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했다.

정보능력 개발을 위한 컴퓨터${\cdot}$정보 이용 교육과정 -교과 교육의 관점을 중심으로- ([ $Computer{\cdot}Information$ ] Use Curriculum toy Information Literacy Development)

  • 함명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27-144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 이용 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미국의 정보 이용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우리 나라 초${\cdot}$중등 학교 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정보 이용 교육과정을 개발, 실천한 사례를 교과 교육의 관점에서 고찰하는데 있다. 정보 사회의 학교 교육은 정보능력의 개발과 이를 위한 정보 이용 교육과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급속히 변화하는 정보 사회에서 학교에서 배우는 지식은 그 유용성이 짧기 때문에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다루는 정보능력 교육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정보능력은 문헌 정보, 영상 정보, 전자 통신 정보 체험 정보 등 각종 정보 매체를 통한 정보의 접근, 분석, 적용, 평가 능력을 의미한다. 정보이용 교육과정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새로운 정보를 탐구하여 모든 정보 과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정보를 창조할 수 있는 정보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 PDF

학교도서관과 교육과정의 통합 전략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tegration Strategies of School Library into School's Curriculum)

  • 이병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85-105
    • /
    • 2005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과 학교의 교육과정을 통합할 수 있는 전략을 제도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의 초$\cdot$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학교도서관에 관한 사항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를 비교$\cdot$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할 학교도서관 요소를 제안하였다.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학교도서관 관련 사항을 반영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도서관활용수업의 제도화, 독서교육과 정보활용교육 시간의 확보, 독서교육과 정보활용교육의 범위와 계열 설정, 탄력적 시간표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의 개선 방안 (Improvement Plans in School Library Use Education for Self-Directed Learning)

  • 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7-40
    • /
    • 2003
  • 평생학습 사회에서의 학교도서관은 교육이 추구하고 있는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우선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계발이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의 주된 목적임을 밝히고자 한다. 다음으로 학교도서관의 중요한 교육적 역할인 이용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끝으로, 이용교육의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1. 학교도서관의 연합운영체계 구축 2. 정보교육의 문화교육차원에서 재정립 3. 교육과정 기반 협동수업을 통한 이용교육 전개

  • PDF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분석 - 인천광역시교육청 교원들을 대상으로 - (An Analysis on the Teachers' Perception on School Library Services: Targeting the Teachers in Incheon City Office of Education)

  • 박주현;허우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81-61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교 교원들의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분석하여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내용과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얻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교육청 소재 초·중·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원 498명을 대상으로 독서실태, 학교도서관 인식과 정서, 학교도서관 이용 경험, 학교도서관 활용 수업 경험, 사서교사의 역할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학교급과 학교도서관 근무인력에 따라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과 정서와 경험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학교도서관 근무인력은 교원들의 학교도서관 서비스 인식과 정서와 경험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개념과 분류기준에 따른 미디어 종류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dia Type according to Media Concept and Classification Criteria)

  • 박주현;박성훈;강봉숙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81-10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에서 미디어 교육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하는 당위성을 주장하고 문헌정보학의 관점에서 미디어의 개념과 분류기준에 따라 미디어의 종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미디어의 개념에 따른 미디어 종류를 제시하기 위하여 미디어의 사전적 개념과 목록규칙 RDA에 제시된 미디어 분류를 고찰하였고,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교과서와 한국언론학회의 초 중등학생용 교육 자료 및 문헌정보학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 개념과 분류기준에 따른 미디어의 종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를 매체와 동일한 의미로 설정하고, 미디어가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기능하며, 정보를 담고 있거나 전달하거나 재현하는 물리적인 물체를 통해 그 속에 담긴 정보를 인간의 감각기관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미디어속 정보', '자료', '재현 장치'를 미디어의 3가지의 논리적 구성요소로 설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