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Teaching Efficacy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32초

장애학생 과학학습지도에 대한 예비과학교사들의 자기효능감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elf-Efficacy on Science Teaching for the Disabled Students)

  • 임성민;이윤정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1호
    • /
    • pp.13-22
    • /
    • 2011
  •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통합하는 환경에서의 과학교육은 최근 들어 점차 강조되고 있지만 과학교사양성 과정을 비롯하여 과학교육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와 실천은 아직 미흡하다. 또, 교과 학습지도에 대한 교사의 자기효능감은 교수 수행과 학생의 성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려져 왔으나 장애학생의 과학학습지도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장애학생과학학습지도에 대한 예비과학교사의 자기효능감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효능감, 교수효능감, 성과기대감의 하위 차원으로 구성된 장애학생 과학학습지도에 대한 자기효능감 설문을 97명의 예비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예비과학교사들은 장애학생에게 과학을 지도하는 수행 능력에 대한 효능감은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자신의 과학학습능력과 장애학생 대상의 과학교수성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기대감을 보이고 있었다. 이와 같은 자기효능감의 분포는 응답자의 성별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응답자의 장애학생 과학학습지도 관련 경험에 따라서는 교수성과의 기대감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통합교육 환경의 과학교육을 대비하기 위한 과학교사양성과정에 있어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 이은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35-158
    • /
    • 201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3년제와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 회수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지식이 보통정도이며 과학적 태도도 보통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는 3년제 대학의 3학년과 4년제 대학의 3 4학년 집단이 2학년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학년 집단은 1학년 집단보다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가 낮게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 효능감은 4년제 대학의 경우,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와 유사하게 2학년 집단이 가장 낮은 반응을 나타냈고 3년제 대학의 경우 학년이 높아질수록 과학교수 개인효능감이 높아졌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으며 이는 과학교수지식이 높을수록 과학적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중에서 과학적 태도가 과학교수 효능감보다 과학교수지식과 더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앞으로 예비유아교사 교육에서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수방법에 대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과학 탐구중심 모의수업 경험이 초등예비교사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cientific Inquiry-based Peer Teaching Experiences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ffective Features)

  • 이인선;조선미;장신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4호
    • /
    • pp.465-47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act of scientific inquiry-based peer teaching experience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anxiety to science and attitude toward scienc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118 pre-service teachers. The pre-post paired t-test design was implement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is program. In addition, the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for investigating their change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inquiry-based peer teaching provided pre-service teachers with the opportunities to enhance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e toward science and reduce their anxiety to science. The findings imply that it is possible to meaningfully change elementary teachers' affective characteristics when effective strategies are adequately adopted.

  • PDF

초등교사의 첨단과학기술 교수에 대한 인식 및 교수효능감 조사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Frontier Science Teaching and their Teaching Efficacy)

  • 박현주;백윤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3-9
    • /
    • 2017
  • 초등교사 39명을 대상으로, 첨단과학기술 교수에 대한 인식 및 교수효능감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초등교사들은 첨단과학기술에 대하여 관심이 있고 일상생활 속에서 첨단과학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또한 초등학교에서의 첨단과학기술 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해서도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등교사들은 첨단과학기술 교육의 과학학습 동기 유발과 과학 분야의 진로 지도 등 유용성에 대하여 확신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초등학교 수준에서 첨단과학기술 교육의 적합성에 동의하지 않았다. 또한 현재 초등학교에서 첨단과학기술을 가르칠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첨단과학기술 STEAM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후의 초등교사의 첨단과학기술에 대한 교수효능감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3.67, p<0.01).

포트폴리오 체제의 적용이 초등예비교사의 과학교수 자기효능 신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Portfolio System o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Beliefs)

  • 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83-192
    • /
    • 2000
  • 이 연구는 포트폴리오 체제를 활용한 과학교육 강의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수 자기 효능 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청주교육대학교 2학년 83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중 5명은 남학생이다.포트폴리오 체제는 연구자에 의해서 개발되었으며, 1999년 1학기에 적용되었다. 한국 과학교수 효능신념 검사도구(K-STEBI)를 학기초와 학기말에 실시하였으며, 학생 포트폴리오의 일부 내용을 과학 교수학습 지도에 대한 자신감을 중심으로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포트폴리오를 이용한 수업을 받은 후 학생들의 과학교수에 대한 자기 효능 신념은 향상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초등 과학교수에 대한 자신감과 포트폴리오에 대한 태도 역시 매우 높아졌다. 포트폴리오 체제는 예비 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효능 신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며, 교사 교육에서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초등 예비 교사의 구성주의적 과학 평가관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 윤지현;강석진;노태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1호
    • /
    • pp.86-92
    • /
    • 2010
  • Although constructivist assessment has been emphasized by many science educators,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still not familiar with th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this problem, we examined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the views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and the perception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ported previously. The results of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views on constructivis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perception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 PDF

초등학교 과학 교사가 인식하는 PCK, 그릿, 교수 효능감 사이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CK, Grit, and Teaching Efficac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 채유정;이기영;박재용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89-402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PCK, 그릿, 교수 효능감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문헌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PCK를 수업 지식 영역과 수업 실행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들 두 가지 영역을 외생잠재변수로 설정하여 PCK와 교수 효능감 사이의 구조적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에 교사의 그릿을 외생잠재변수로 추가하여 수업 지식, 수업 실행, 그릿이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CK와 교수 효능감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한 결과, 수업 지식과 수업 실행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수업 지식은 수업 실행과 비교하여 교수 효능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PCK, 그릿, 교수 효능감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한 결과, 수업 지식과 그릿은 모두 교수 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수업 실행과 교수 효능감 사이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 전문성과 교수 효능감을 강화하는 방안과 교사 전문성 영역에서 그릿이 갖는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습조직문화, 과학 인식론적 신념, 과학 교수 효능감, 과학 수업 전문성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al Culture, Science Epistemological Beliefs, Science Teaching Efficacy,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 김남훈;여상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7-4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 전문성과 관련된 변인들 간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외적 변인인 학습조직문화를 외생변인으로, 내적 변인인 과학 인식론적 신념, 과학 교수 효능감을 내생 변인으로 설정하고 변인들 간의 직·간접적인 효과와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과학을 가르치는 현직 초등교사 499명의 설문지 응답 결과를 데이터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측정한 학습조직문화, 과학 인식론적 신념, 과학 교수 효능감 및 과학 수업 전문성과의 관계에 대한 상관을 살펴보면, 각 측정요인 간의 상관은 모두 유의한 상관계수를 보였다. 둘째, 과학 인식론적 신념과 과학 교수 효능감은 과학 수업 전문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 인식론적 신념은 과학 교수 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과학 교수 효능감을 매개하여 과학 수업 전문성에도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넷째, 교사가 지각한 학습조직문화는 과학 수업 전문성에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과학 인식론적 신념과 과학 교수 효능감에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조직문화, 과학 인식론적 신념, 과학 교수 효능감, 과학 수업 전문성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교사의 과학 수업 전문성의 효율적인 향상을 위해 교사 개인의 내적 요인과 함께 학교 조직문화의 개선에 대한 방안도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초등예비교사의 토의 토론 중심 과학수업이 과학개념 및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Discussion-Based Science Class of Pre-service Teachers on Concept of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 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5-17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토의 토론 중심 과학수업이 과학적 개념 습득 및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B 교육대학교의 2학년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연구집단을 구성하였다. 토의 토론 중심을 활용한 과학수업을 위해 2015 개정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지구와 우주영역인 '태양계와 별', '지구와 달의 운동', '계절의 변화' 단원에서 20개의 과학개념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과학주제를 토의 토론 중심 과학수업 12차시로 나누었으며, 12주간의 실험처치를 하였다. 연구집단에 사전-사후검사로 과학개념 검사,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를 하였다. 토의 토론 중심 과학수업을 통해 자연스럽게 과학개념의 습득과 과학교수효능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연구절차를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의 토의 토론 중심 과학수업은 과학개념 습득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초등예비교사들의 토의 토론 중심 과학수업이 과학교수효능감 함양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의 토의 토론 중심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한 결과 참가한 학생 대부분이 토의 토론 중심의 과학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토의 토론 중심 과학수업이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 개념 습득 및 과학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육교사의 교사적성과 과학태도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 김헤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3-58
    • /
    • 2014
  •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적성, 과학태도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교사 297명이었으며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 Inventory of Science Attitudes, 보육교사적성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와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보육교사의 적성은 과학교수 개인효능감, 과학교수 결과기대감, 과학교수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과학태도 중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의 사회적 가치는 과학교수 개인효능감, 과학교수 결과기대감, 과학교수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자체는 과학교수 개인효능감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적성과 과학태도를 살펴본 결과, 과학교수 개인효능감에 대해 과학에 대한 흥미와 긍정적 정서가 영향을 미치고,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에 대해서는 과학의 사회적 가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대인관계능력이 영향을 미쳤으며, 과학교수효능감에 대해서는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의 사회적 가치, 긍정적 정서, 대인관계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보육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을 증가시켜 영유아교육 현장에서 바람직한 과학교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