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4초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과정중심평가 실행 및 어려움에 대한 인식 탐색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Implementation and Challenges on Process-Based Assessment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이현주;백종민;곽영순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2호
    • /
    • pp.133-144
    • /
    • 2020
  • 본 연구는 현장 적용 2년차를 맞이하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운영 모니터링 연구의 일부분으로, 중학교 1, 2학년 수업을 담당하는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과정중심평가 적용 실태와 어려움 및 효과성 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학교육 선도학교와 일반학교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비교하기 위해 선도학교 교사 44명(41.9%), 일반학교 교사 61명(58.1%)을 표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전국으로부터 105명의 과학교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조사 후 교사 초점집단을 구성하는 16명의 중학교 과학교사들과 심층면담을 통해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적용 실태와 어려움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사의 평가 방식 변화, 과정중심평가 현장 적용의 어려움, 과정중심평가의 효과에 대한 인식으로 제시하였다. 교사들은 교육과정에서 과정중심평가를 강조함에 따라 본인의 수업에서도 과정중심평가의 요소들을 반영하게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기존의 평가방법에 비해 다양한 과정중심평가를 활용하는 빈도도 증가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응답은 선도학교 교사들이 일반학교 교사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면담결과 중학교 과학교사들은 과정중심평가 적용의 어려움으로 과정중심평가 개념의 모호성, 과정중심평가와 순위를 정해야 하는 학교평가체제와의 충돌, 평가의 객관성과 신뢰도의 확보의 부담감, 개개인을 평가해야 하는 현실적인 업무 부담 등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과정중심평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교사들은 학생들의 성장을 관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매우 효과적이라는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각론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for a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 in Details)

  • 정창희;손정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7권2호
    • /
    • pp.117-126
    • /
    • 2023
  •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서 초등교사들이 과학수업을 준비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각론은 중요하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를 개발하는 데 시사점을 얻기 위해서는 지도서 각론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조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각론의 구성 요소와 디자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개발하여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초등교사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지도서 각론의 구성 요소별 필요성, 만족도와 활용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지도서 각론의 구성 요소와 디자인 등에 관한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수업 준비와 진행에 도움이 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해 초등교사들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초등교사들은 수업에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배치와 가독성 높은 디자인 구성을 원하였다. 결론적으로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각론은 과학 교수·학습에 필요한 수업 준비, 수업 흐름, 교수·학습 자료 등을 한눈에 파악하고, 가독성 높게 구성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초등교사들이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교과용도서가 될 수 있게 새로운 접근과 시도를 해야 할 것이다.

Analysis of Preferences and Reality for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 Secondary School Science Classroom

  • Seo, Kyoung-Hee;Lim, Soo-Min;Park, Min-Jung;Sonn, Jong Kyung;Kim, Young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391-1404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teachers' and students' preferences and reality with regard to their interaction in secondary school science clas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0 teachers and 1,389 students.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for the teachers included the quality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the teachers' recognition of teaching activities, and the questionnaire for the students dealt with the quality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classes. The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divided into preferences and reality for the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interac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compared to their preferences with regard to such. Second, the female teachers showed higher levels of preferences and reality compared to the male teachers in the case of the teacher variables, and the middle school teachers showed higher levels of preferences and reality compared to the high school teachers. Third, the 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perception level compared to the female students, and both the preferences and reality level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level of interaction was lower in big cities than in small cities.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preferences and reality with regard to their interaction.

초등 예비교사와 교사의 교직 전문성과 과학교수 전문성에 대한 인식 (The perceptions o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ing profession and science teaching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 임희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3호
    • /
    • pp.538-54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의 과학 심화전공 예비교사 및 과학교육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교사들의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 초등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또한, 과학 심화전공자로서 초등 과학교육에 대한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 이러한 인식이 과학교수의 효능감과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한 교육대학교의 과학교육과 예비교사 2학년 64명, 4학년 53명, 과학교육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교사 23명으로 총 140명이었다. 검사도구는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교직 전문성 인식 검사 도구, 과학교수 효능감 검사 도구 및 초등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초등 과학교육의 전문성 인식에 대한 서술형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았으며, 특히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장기간의 전문적 교육, 교사로서의 자율성과 책무성에 많은 의미를 부여함을 알 수 있었다. 교직 전문성 및 일부 하위 영역에서 예비교사 2학년의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긍정적이었으며, 과학 심화전공자로서 초등 과학교육에 대한 전문성은 그에 비해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과학교육 전문성 인식 여부로 집단을 나누었을 때,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집단이 과학교수 효능감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초등교사교육에서의 과학 교과 전문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교육실습이 중등 예비교사들의 순환학습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Teaching Practices upon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s on Learning Cycle)

  • 강훈식;유지연;김경순;이정순;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50-462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이 중등 예비교사들의 순환 학습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순환학습에 대한 이해도에 따라 조사했다. 2개 사범대학의 화학교육과 4학년 학생 37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전에 순환학습에 대한 이해도와 인식 검사를 실시했고, 교육실습 후에는 순환학습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했다. 또한, 순환학습에 대한 인식이 크게 감소한 예비교사 7명을 선정하여 인식 감소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심층면담도 실시했다. 연구 결과, 교육실습 전 중등 예비교사들의 순환학습에 대한 이해도는 높지 않았으나, 순환학습의 장단점이나 실행의지, 실행과 관련된 외부요인 등의 측면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그러나 교육실습을 마친 후에는 이런 긍정적인 인식이 다소 감소했으며, 특히 순환학습에 대한 이해도가 낮았던 예비교사들보다 높았던 예비교사들의 감소폭이 더 컸다. 그 원인으로 면담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예비교사 요인, 학생 요인, 교육과정 요인, 외부환경 요인을 지적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과학중점학교 담당교사 관점에서 본 운영 효과 및 교육적 의의에 대한 탐색 (Exploring Science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in Operating Science Core Schools)

  • 최임정;이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71-181
    • /
    • 2021
  • 본 연구는 과학중점학교에서 오랫동안 교육과정을 운영해온 과학교사들의 경험과 노력을 탐색함으로써 과학중점학교의 성과와 시사점을 되짚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과학중점학교 운영 경험이 많은 12명의 과학교사들과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세 교사의 사례연구와 사례 간 비교 분석으로 제시하여 각 교사 간의 차이와 공통점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사례연구에서 소개된 3명의 과학교사는 과학중점학교 운영으로 인한 업무 부담이 컸음에도 불구하고 그 운영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정부의 재정적 지원으로 마련된 실험실 등의 학교 교육 환경에 대해서 만족함을 드러내었다. 사례 간 분석에서 12명의 교사들은 모두 과학 체험활동을 운영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학생 지도에 깊은 애정과 열정을 쏟았다. 그러한 노력이 학생들로 하여금 이공계 진로에 대해 고민하는 기회를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이공계 진학률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하였다고 믿고 있었다. 또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제공은 학교에 대한 지역 내 학부모와 학생의 인지도와 선호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교사들은 과학중점학교를 운영하면서 힘든 점도 많았지만 그 속에서 교사로서의 전문성이 향상되었으며 교사에 대한 자극과 수업방식의 변화를 가져왔다는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STS(Science-Technology-Society) 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에관한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Inservice Program for STS(Science-Technology-Society) Education)

  • 최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0-106
    • /
    • 1999
  • 본 연구는 공통과학 연수에서 STS 교육에 접한 고등학교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STS 교육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연수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현직 과학교사들에게 체계적인 STS 교육을 실시하여 과학교육 현장에서 STS 교육을 활성화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고등학교 교사 2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 교사들은 STS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STS 교육 연수 개설을 찬성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은 STS 연수에서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관련 학습자료와 연구분야에 관한 자료를 가장 필요로 하였다.

  • PDF

Comparison perceptions of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between Korea and Indonesia in covid-19 era

  • Taekwon Son;Kwangho Lee;Ari Widod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93-109
    • /
    • 2024
  • This study compared the perceptions of 548 Korean and Indonesian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he COVID-19 era and examined factors affecting their intention to continue online learning. Based on survey data, the two countries were compared on seven factors (teaching readiness, challenges and issues, competencies that require training, sources of support, types of support, and endurance). Furthermore, we examined what factors influence the intention to continue online learning. As a result, Korean teachers perceived their teaching readiness for online learning to be less than that of Indonesian teachers. Indonesian teachers perceived that they did not receive sufficient support. Additionally,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continue online learning differed depending on the country.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implications for integrating online learning into mathematics education.

과학관을 활용한 교수.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교육 요구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for Instructions Using the Science Museum)

  • 한문정;양찬호;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1060-1074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의 초 중등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과학관 학습 관련 교수 학습 경험, 과학관 학습의 이해 및 실행에 대한 자기인식, 과학관 학습의 효과, 교수전략 및 본성에 대한인식, 과학관 학습 관련 교육 요구, 과학수업에서 과학관 학습 실행 의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과학관 학습과 관련된 교육을 받은 경험이 거의 없었고 과학관을 활용한 교수 학습 경험도 많지 않았다. 또한, 많은 교사들이 과학관 학습의 이해 및 실행에 대한 자기 인식이 높지 않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관 학습의 교육적 효과와 과학관 학습의 본성 및 교수전략에 대한 이해 수준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형식적인 학교교육에서의 교수관을 과학관 학습에도 그대로 적용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과학관 학습 실행 의향과 교육 요구가 높았는데, 교사들은 과학관 학습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사항들에 대한 정보를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