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Museum

검색결과 1,244건 처리시간 0.027초

과학관 전시의 교육 과정 반영에 대한 평가 기준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지구과학 내용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ssessment Standards for the Reflection of Science Museum Exhibitions in the Curriculum: A Case Study of the Contents of Earth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 이창진;류춘렬;신명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803-810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관 전시의 교육 과정 반영에 대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초등 과학과 지구과학 성취기준에 근거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고 이를 국립중앙과학관 전시에 적용하여 과학관 전시의 교육 과정 반영도와 평가 척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국립중앙과학관의 초등 과학과 교육 과정 중 지구과학 내용의 반영도는 52%이고 평가 척도는 3.53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지질 영역과 천문 영역에서는 높은 반영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립중앙과학관이 비형식 교육 기관으로서 학교 과학 교육과 비교적 잘 연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과학관은 학교 과학 교육과 연계되어야 하며, 그 과정은 과학관이 교육 과정을 충실히 반영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과학관이 교육 과정을 반영하는데 지표가 될 기준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의 결과는 과학관과 학교 과학 교육의 연계 수준을 진단하고 발전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개관 전시 대상 도자기의 보존 - 청화백자운봉문대호(靑畵白磁雲鳳文大壺)·청자공작수주(靑磁孔雀水注) - (Conservation of Ceramic-Ware to be Exhibited at Yongsan New National Museum at Its Opening - Restoration of Blue-and-white porcelain jar with phoenix design and Celadon peahen-shaped water dropper -)

  • 황현성;이해순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5권
    • /
    • pp.5-15
    • /
    • 2004
  •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은 미술관리부에서 용산 새 박물관에 개관 전시할 소장품 중 도자기실에 새로이 전시할 도자기 보존처리 목록을 보내온 바 있다. 이에 의거하여 보존과학실에서는 그 목록을 토대로 2002년부터 연차적으로 보존처리를 해오고 있는 상태이다. 이번 글은 그중 청화백자운봉문대호(접수631)와 청자공작수주(덕수5202)를 복원하는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과학관 전시디자인에 있어서 연출기법과 디자인기획과정에 관한 연구-수산 과학관 전시기획 과정을 사례로 하여- (A Study on the Space Production Techiqueds and the Planning Process for Designing a Science Museum-using the sample case of design a marine science museum-)

  • 신문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43-52
    • /
    • 1998
  • 자연과 인간, 과학기술의 조화를 요하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과학관은 대중에게 친숙한 공간이 되어 그 수요가 늘고 있다. 과학기술문화에 대한 정보는 산업화, 정보화, 전문화 사회에 있어 미래를 개척하는 힘이다. 따라서 그러한 정보를 전달하는 전시관은 적극적이고 활발한 정보의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계획되어야 하는데 그것은 잘 짜여진 전시 연출의 기획과정을 통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전시관의 디자인에 있어서 연출의 중요성을 밝히는 데에 의의를 둔다. 연구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과학관의 기능과 역할을 고찰하고 전시 연출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다. 2. 전시공간을 연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매체와 기법을 제시하고 연출 사례를 연구한다. 3. 구체적인 전시 연출의 기획 과정과 연출에 따른 시나리오를 제안하여 연출의 효과와 중요성을 밝힌다 연구 결과 연출은 전시의 효율성(활발한 정보의 커뮤니케이션)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져오며 따라서 기획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과학관 전시체험관에 대한 관람자 행동유형 및 만족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behavioral patterns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exhibition in science museum)

  • 박혜정;이석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85-195
    • /
    • 2013
  • This study has been analyzed various exhibition in Ulsan Museum of Science which was opened in March 2011 and found out the connections between elementary school science and its curriculum. In addition, this study has pointed out how visitors' behavioral patterns chang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The Study has also examined the visitors' satisfaction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facilities and environment of the museum and aimed to seek ways to revitalize and improve the general conditions of exhibition rooms which is essential for Ulsan Museum of Science.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form exhibition showed that 31.7% were in a passive form and the other 68.2% were in active form which was 43 out of 63 exhibition. After analyzing the visitors behavioral patterns, the majority of exhibition with higher attraction power and holding power were active-type exhibition and especially the experience-type exhibition takes the large portion. Based on the survey, we found out that both students and teachers represent high expectations of pleasure through active experience. They showed high satisfaction rates on the number of exhibition, guide facilities, inside temperature and accessibility of Ulsan Museum of Science.

박물관 전시 조명 조사 연구 (Study of Lighting for Museum Exhibitions)

  • 이승은;제이슨 길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9권
    • /
    • pp.83-98
    • /
    • 2018
  • 본 조사 연구에서는 박물관 사용 조명에 대한 조사 방법이 주로 조도에 국한된 것에서 나아가 조도, 휘도, 연색성 등 좀 더 다양한 항목의 조사를 통해 조명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박물관 조명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시각적으로 측정하여 도출하였고, 박물관의 조도 기준에 적합하면서도 쾌적하게 관람할 수 있는 조명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물론 앞으로도 박물관의 조명은 문화재의 보존이 우선시 되어야 하지만 효과적인 관람을 위해 휘도와 색온도, 연색성 등을 같이 고려하여 조명하는 것이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전시가 될 것이다.

자연사박물관의 전시매체유형 및 연출기법에 관한 고찰 - 국내자연사박물관사례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ir Presentation Types and Exhibition Methods in National History Museum - Focused on National History Museum In Korea -)

  • 이종숙;김경미;유동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31-138
    • /
    • 2006
  • This paper compares presentation methods which are characteristic among museums of natural history in Korea. The different medium for exhibitions are divided into Specimen, Model or Panel Type Displays, Video Presentations, Sound, and Tactile Exhibits, and further classified as Fixed (A Type), Observable (B Type), or Performance Art (C Type) Displays. The museums we studied were the Seodaemun Museum of Natural History,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of Natural History, Seoul National Science Museum, Gyeryongsan Natural History Museum, the National Science Museum, Mokpo Natural History Museum, and the JejuDo Folklore and Natural History Museum. A study of these museums' approaches to display composition, and exhibition methods according to their exhibit types and content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The museums of natural history rely more on Fixed type displays to show information, with appropriate uses of the Observable and the Performance Art type exhibitions. Better utilization of appropriate medium is desired for display contents of Astronomy Space Earth, Minerals Rocks Geology, Animals, Plants, Insects, Prehistoric Organisms Environment, and Anthrop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