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age follow-up

검색결과 837건 처리시간 0.031초

골연하 결손부에서 조직유도재생술의 장기적 방사선학적 변화 관찰 (Long-term radiographic evaluation of GTR treatment in intrabony defect)

  • 최미혜;박진우;서조영;이재목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2호
    • /
    • pp.181-192
    • /
    • 2007
  • Periodontal surgery as part of the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is mainly performed 1) to gain access to diseased areas for adequate cleaning; 2) to achieve pocket reduction or elimination; and 3) to restore the periodontal tissues lost through the disease; i.e., a new attachment formation of periodontal regeneration. To accomplish the latter, often referred to as the ultimate goal of periodontal therapy, a number of surgical procedures have been advocated throughout the years. Clinic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considerable gain of clinical attachment and bone can be achieved following guided tissue regeneration (GTR) therapy of intrabony def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radiographic bone changes 2-year after GTR using a bone graft material and nonresorbable membrane. Patients attending the department of periodontics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studied. Patients had clinical and radiographic evidence of intrabony defect(s), 33 sites of 30 patients aged 32 to 56 (mean age 45.6) were treated by GTR with a bone graft material and nonresorbable membrane. Baseline and 2-year follow-up radiographs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for this study. Radiographic assessment includes a bone fill, bone crest change, defect resolution, and % of defect resolution. Pre- and post-treatment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maxilla and mandible, defect depth, defect angle, bone graft materials) using the paired t-test were examined. We observed $2.86{\pm}1,87mm$ of bone fill, $065{\pm}0.79mm$ of crestal resorption, $3.49{\pm}2.11mm$ of defect resolution, and $44.42{\pm}19.51%$ of percentage of defect resolution. Mandible, deeper initial defect depth, narrower initial defect angle showed greater bone fill, defect resolution, and % of defect resolution.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xenograft and allograft. Outcome of GTR as a therapy of intrabony defect was better than other therapy, but herein, good oral hygiene maintenance as a anti-infective treatment and periodic recall check of patients are essential.

식도암의 방사선치료 결과 고찰 (Results of Radiotherapy With and Without Chemotherapy for Esophageal Cancers)

  • 김상보;윤상모;류삼열;박인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33-239
    • /
    • 1991
  • 방사선치료 단독(25명) 또는 화학요법과 방사선 병용치료(37명)를 받은 62명의 식도암환자에 대한 후향성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사선 단독치료를 받은환자중 14명이, 병용치료를 받은환자 중 25명이 계획된 치료를 끝내었다. 추적기간은 6일에서 50개월 이었다. 39명중 완전관해는 3명($8\%$)에서, 부분관해는 28명($72\%$)에서 보였다. 중앙 생존기간은 11개월이었고, 1년 및 2년 생존율은 각각 $48.6\%,\;13\%$이었다. 나이와 병기가 예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병기에 따른 1년 생존율은 1기에서 $70.1\%$, 2에서 $47.6\%$, 3기에서 $28.4\%$이었고, 중앙생존기간은 1기에서 19개월, 2기에서 11개월, 3기에서 6개월 원격전이가 있는 3기에서는 5.5개월 이었다. 나이에 따른 1년 생존률은 55세 이상에서 $69.6\%$, 54세 이하에서 $0\%$이었다. 치료방법, 종양의 위치, 원발병소의 반응에 따른 생존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관절경을 이용한 대퇴골과 박리성 골연골염에 대한 치료 (Arthscopic Treatment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in Femoral Condyle)

  • 김성중;경희수;인주철;이성만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8-143
    • /
    • 2000
  • 목적 : 관절경 소견을 기준으로 슬관절 대퇴골과의 박리성 골연골염에 대한 치료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분석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퇴골과의 박리성 골연골염 환자 17면 19례에 대해 관절경을 시행하고 그 소견을 토대로 치료방법을 결정하였다. 관절경 관찰후에 특별한 조작을 가하지 않은 경우를 1군, 다발성 천공술을 시행한 경우를 2군, Herbert 나사로 고정을 시도한 경 우를 3군, 유리체 제거나 기저부 소파술을 시행 한 경우를 4군으로 분류하여 그 결과를 Hughston등의 방법에 의한 분석으로 우수, 양호, 보통, 불량, 실패 등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 총 19례 중 14례$(74\%)$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치료 방법에 따른 분류상 1군 중 3례(3/4)에서, 2군 중 3례(3/4)에서, 3군 중 7례(7/8)에서, 4군 중 1례(1/3)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Herbert 나사 고정군에서 다른 군보다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 : 대퇴골과의 박리성 골연골염의 치료 방법 결정에 있어서 관절경 소견은 믿을만 한 지표로 판단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골성장판이 완전 폐쇄되기 전의 환자에서 Herbert 나사 고정술과 같이 병변부에 대하여 적극적인 재건을 시도하여 만족 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Triamcinolone Acetonide 주사를 이용한 족관절 외과 점액낭염의 치료 (Triamcinolone Acetonide Injections for Lateral Malleolar Bursitis of the Ankle)

  • 우승훈;김정신;손승민;신원철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17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linical outcomes and usefulness of triamcinolone acetonide (TA) injections as an option in the conservative treatment of patients with lateral malleolar bursitis of the ankl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7 patients (27 ankles), in whom TA injection had been performed between March 2016 and June 2017,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fter the aspiration of fluid in the lateral malleolar bursal sac, 1 mL (40 mg) of TA was injected into the malleolar bursal sac. After the injection, the ankle was compressed with an elastic cohesive bandage for 2 to 4 weeks. The clinical outcomes and side effects were evaluated at the following time points: 2 weeks, 4 weeks, 3 months, 6 months, and 1 year after TA injection therapy. The responses to treatment were assess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fluctuation, shrinkage of the bursal sac, and soft tissue swelling. Results: The mean age was 62.1 years (range, 41~81 years); there were 19 males and 8 females. Complete resolution was observed in 26 patients (96.3%) after the first or second application of a TA injection, and a partial response was observed in 1 patient (3.7%) after the first TA injection. The physical component scores of Medical Outcomes Study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improved from 71.1 to 76.0 at the last follow-up (p=0.001). Associated complications were 1 patient (3.7%) with skin atrophy and 3 patients (11.1%) with transient hyperglycemia in diabetes mellitus. Conclusion: TA injection is a useful and safe procedure for patients not responding to the usual conservative treatment of lateral malleolar bursitis of the ankle.

유치 함입 시 외상 치아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rognosis of Traumatized Tooth in Primary Tooth Intrusion)

  • 채용권;한윤경;남옥형;김미선;이효설;김광철;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9-37
    • /
    • 2019
  • 본 연구는 유치열에서 발생하는 함입성 손상의 특징을 조사하고 장기간의 추적 조사 기간 동안의 유치열 및 영구치열에 발생하는 합병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61명의 84개의 치아가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어 환자의 연령, 성별, 외상의 원인과 발생장소, 외상 치아의 손상 정도, 외상 발생 시 동반된 다른 손상, 치료방법, 추적조사 기간 중 유치열과 영구치열에 발생한 합병증이 조사되었다. 연령, 외상 치아의 손상 정도, 외상 발생 시 동반된 다른 손상의 종류가 유치 및 영구치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조사된 자료는 카이제곱 검정과 Fisher의 정확검정으로 평가하였다. 유전치의 함입은 남아에게 여아보다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함입의 원인으로는 낙상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유전치의 함입은 집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상악 유중절치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유치열에 발생한 함입의 중증도는 영구치열에 발생하는 후유증의 발생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p = 0.014). 유치의 함입성 손상에 연조직 손상이 동반된 경우, 다른 치주조직 손상이 동반된 경우 보다 합병증의 발생이 유의하게 적었다(p = 0.000).

골 이식술 후 Osstem Implant (US II Plus/GS II)의 다기관 임상연구 (A multicenter clinical study of installed US II Plus/GS II Osstem implants after bone graft)

  • 정광;오철중;하지원;국민석;박홍주;오희균;김수관;김영균;김우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0권12호
    • /
    • pp.743-754
    • /
    • 2012
  • 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 II plus/GS II Osstem$^{(R)}$ implants through the study for the clinical success rate during the installation of the Osstem¢Á implants after bone graft. Materials and Methods : This study was researched in the 4 medical institution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sun University, Bund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FM dental clinic from May, 2002 to September, 2009.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60 patients whose treatment was the installation of the US II plus/GS II Osstem¢Á implants after bone graft, we evaluated success rate of implants. We analysis the distribution of patient's age and gender, edentulous area, bone type, fixture length and diameter, installation and loading time, donor site, bone graft material and method, antagonistic teeth, and survival and success rate. From these analyses we got the following results. Results : 1. In this study,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who have been installed with US II plus implant was 27, and total of 52 implants were installed. The average age was 38.9, with 16 male, and 11 female patients. 2.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who have been installed with GS II implant was 33, and total of 54 implants were installed. The average age was 49.7, with 24 male, and 9 female patients. 3. As for bone graft method, either autogenous bone or a mix of autogenous and heterogenous bone was used(88.4%) for US II plus. Chin, iliac, and Maxillary tuberosity were the donor sites for autogenous bone graft, and onlay method of bone graft was performed. 4. Allogenic bone or a mix of autogenous and heterogenous bone was used(77.8%) for GS II. Chin, ramus, and tibia were the donor sites for autogenous bone graft, and GBR method of bone graft was performed. 5. The duration from the installation of implants to setting of final prosthesis was average of 16 months and 10 months for US II plus and GS II respectively. Also, the final follow up period was average of 31 months and 28 months respectively. During this period, one GS II implant was removed from 1 patient due to failure of early osteointegration. 6. The survival rates were 100% and 98.1%, and success rates were 94.2% and 94.4% for US II plus and GS II implant respectively. Conclusion : On the evaluation of our clinical study, both US II plus and GS II Osstem¢Á implants showed the excellent clinical results after bone graft.

한국 정부의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정책의 가능성과 한계: '제1-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2006-2020)'을 중심으로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Age-friendly Industry Activation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From the First to Third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2006-2020)')

  • 박승민
    • 한국노년학
    • /
    • 제37권1호
    • /
    • pp.55-82
    • /
    • 2017
  •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정부가 인구 고령화 문제에 대응하고자 저출산 고령사회위원회를 통해 제시한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정책 분석을 통해 한국의 고령친화산업 발전을 위한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3차 저출산 고령사회기본계획에 제시된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정책 중에서 한국 노인의 대표 3대 고통 완화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책을 분석 자료로 하여 그것의 구체적 내용, 공통 핵심 논리와 그 타당성을 분석해 정책적 이론적 함의를 도출했다. 분석 결과, 제1차 기본계획은 경제적 빈곤 문제 완화, 제2차 기본계획은 신체적 건강 문제 완화, 제3차 기본계획은 신체적 건강 문제와 심리적 외로움 문제 완화와 관련된 정책을 제시하였고, 이들은 공통적으로 논리적 한계를 지닌 성공적 노화와 활동적 노화 개념에 기반 해 있었으며, 분야의 협소함, 내용의 부실함, 정책의 불연속성을 띠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연속성을 담보한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정책이 내실 있고 다양해져야 하며, 성공적 노화의 탈-맥락성의 한계 및 소비자본주의와의 선택적 친화성, 활동적 노화의 예방 중심성, 노인의 (비)심리적 자원의 사회성, 사회투자국가 관련 리에이블먼트의 한계로부터 정책적 함의뿐만 아니라, 노화의 모델화를 통한 이분법적 노화 인식의 한계를 넘어 노화에 대한 사회 구성적 시각이 필요하다는 이론적 함의도 제공해주고 있다. 끝으로, 본 논문의 한계와 함께 필요한 후속 연구를 제안했다.

Association between cord blood 25-hydroxyvitamin D concentrations and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the first 6 months of age in a Korean population: a birth cohort study (COCOA)

  • Shin, Youn Ho;Yu, Jinho;Kim, Kyung Won;Ahn, Kangmo;Hong, Seo-Ah;Lee, Eun;Yang, Song-I;Jung, Young-Ho;Kim, Hyung Young;Seo, Ju-Hee;Kwon, Ji-Won;Kim, Byoung-Ju;Kim, Hyo-Bin;Shim, Jung Yeon;Kim, Woo Kyung;Song, Dae Jin;Lee, So-Yeon;Lee, Soo Young;Jang, Gwang Cheon;Suh, Dong In;Yang, Hyeon-Jong;Kim, Bong Sung;Hong, Soo-J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10호
    • /
    • pp.439-445
    • /
    • 2013
  • Purpose: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the concentration of 25-hydroxyvitamin D [25(OH)D] in cord blood may show an inverse association with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RTI) during childhoo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25(OH)D concentrations in cord blood on infant RTI in a Korean birth cohort. Methods: The levels of 25(OH)D in cord blood obtained from 525 Korean newborns in the prospective COhort for Childhood Origin of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were examined. The primary outcome variable of interest was the prevalence of RTI at 6-month follow-up, as diagnosed by pediatricians and pediatric allergy and pulmonology specialists. RTI included acute nasopharyngitis, rhinosinusitis, otitis media, croup, tracheobronchitis, bronchiolitis, and pneumonia. Results: The median concentration of 25(OH)D in cord blood was 32.0 nmol/L (interquartile range, 21.4 to 53.2). One hundred and eighty neonates (34.3%) showed 25(OH)D concentrations less than 25.0 nmol/L, 292 (55.6%) showed 25(OH)D concentrations of 25.0-74.9 nmol/L, and 53 (10.1%) showed concentrations of ${\geq}75.0$ nmol/L. Adjusting for the season of birth, multivitamin intake during pregnancy, and exposure to passive smoking during pregnancy, 25(OH)D concentrations showed an inverse association with the risk of acquiring acute nasopharyngitis by 6 months of age (P for trend=0.0004).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89.9% of healthy newborns in Korea are born with vitamin D insufficiency or deficiency (55.6% and 34.3%, respectively). Cord blood vitamin D insufficiency or deficiency in healthy neonates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acute nasopharyngitis by 6 months of age. More time spent outdoors and more intensified vitamin D supplementation for pregnant women may be needed to prevent the onset of acute nasopharyngitis in infants.

소아의 치아와 지지조직 외상에 관한 분석 (AN INVESTIGATION OF TRAUMATIC DENTAL INJURIES IN CHILDREN)

  • 백병주;양연미;양철희;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00-612
    • /
    • 2001
  • 본 연구는 소아의 외상에 관한 실태를 파악하여 외상의 예방 및 치료법을 확립하고자 전북 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1998년 4월 1일부터 2000년 3월 31일까지 2년간 외상을 주소로 내원한 212명(치아수:431개)의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및 구강검사를 통하여 연령, 성별분포, 발생원인, 초진시 처치, 치아외상의 세부항목을 조사, 분류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모든 나이군을 통해, 남아가 여아보다 치아외상의 더 높은 빈도를 보인다. 둘째, 환자방문이 가장 높은 나이는 유치에서는 1-2세, 영구치에서는 8-9세이다. 셋째, 외상원인으로 유치는 넘어짐, 추락, 충돌이고, 영구치는 넘어짐, 충돌, 사고, 타박 등이다. 외상빈도는 계절적으로 유치는 5월, 영구치는 3월에 가장 많으며, 유치에서는 수요일에, 영구치는 화요일과 목요일에 많다. 치아외상은 주로 오전에 발생한다. 넷째, 어린아동들은 넘어지거나 가구에 부딪혀서 가정에서 주로 손상을 받는다. 나이든 아동들은 가정밖인 학교등에서 스포츠나 사고등에 의해 외상이 증가한다. 다섯째, 가장 흔히 손상받는 부위는 상악유중절치, 상악중절치이다. 유치에서 손상은 동요 진탕이 많고, 영구치는 치관파절이 많고 또한 동요 진탕도 많다. 여섯째, 상하순 및 상악치은 열상이 가장 흔한 연조직 손상으로 나타난다. 일곱째 초진시 처치는 유치에서 경과관찰과 발치가 가장 흔한 치료법이며, 영구치에서는 주로 수복처치와 정복고정이 시행된다.

  • PDF

외측 반월상 연골손상의 치료 (Treatment of Lateral Meniscus Injury)

  • 배대경;권오수;임찬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2-98
    • /
    • 2001
  • 목적 : 반월상 연골 손상은 내,외측에서 단독으로 파열되거나 인대손상과 동반되어 자주 발생하는데 지금까지 내측 반월상연골 손상에 대한 보고는 많으나 외측 반월상 연골 단독 손상에 대한 보고는 흔하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외측 반월상 연골 단독 손상의 치료 결과를 임상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1월부터 2000년 6월까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 교실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으로 진단되어 수술적 치료를 받은 총 329례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했던 80례를 대상으로 임상적 평가를 후향적으로 시행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30.2세(15세$\~$47세), 평균 추시기간은 1년 3개월(1년$\~$3년 3개월)이었다. 80례를 원판형 연골 손상군과 비 원판형 연골 손상군, 운동 선수군과 비 운동선수군 및 봉합술 시행군과 절제술 시행군으로 분류하고 Tegner 활동도와 Lysholm score를 이용하여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 비 원판형 연골군에서 종파열의 빈도와 봉합술 시행의 빈도가 원판형 연골군보다 더 높았으며 운동 선수군에서 봉합술이 더 많이 시행되었다. 봉합술 시행군에서 절제술 시행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우수한 임상결과를 보였다. 결론 : 외측 반월상 연골은 절제술 시행 후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고 봉합술이 수기상 용이하지는 않으나 더 나은 술 후 성적을 얻기 위해서는 종파열뿐만 아니라 수평파열 및 복합파열에서도 부분절제술 후 가능한 한 봉합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