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6초

초등학생의 학교주변 폭력 피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hool Violence in the Elementary Schools in Korea)

  • 김선애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437-451
    • /
    • 1999
  • This paper tries to find out the prevalence of the school violence among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explores variables to explain the violence based on the various victimization theories including the life style theory. One out of ten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at least one experience of victimization. Bullying was found out to be the most frequent type of the school violence. The school violence experience are shown to have no statistical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life style of respondents, the family background, and the academic achievements, but to have relatively high correlation to delinquency propensity. This may indicate that both offender and victim of the school violence could be recruited from the same group.

  • PDF

초등학교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대한 전국조사 : 성인의 회고적 보고에 의한 연구 (National Survey 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t Elementary School : Retrospective Reports by Adults)

  • 한인영;박명숙;유서구;김경희
    • 아동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5-167
    • /
    • 2008
  • The study examines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school violence in elementary school, utilizing a census-based nationwide sample of 2,037 adults, 19 years of age and older.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which reported their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retrospectively. The findings revealed that a third of the respondents were victims of one or more episodes of school violence during their elementary school years. Men reported much higher rates of victimization than women, and those from low-income families experienced more episodes of victimization than those from middle or high-income families. The study also showed that the rate of school violence is increasing among the younger generations.

  • PDF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s of Child Maltreatment Experiences on School Bullying Experienc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and Aggression

  • Kim, Hyung-Hee;Kim, Yong-Seob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8호
    • /
    • pp.203-210
    • /
    • 2022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대경험과 학교폭력가해경험 간의 관계에서 학교폭력피해경험과 공격성의 종단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분석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 패널데이터 3차, 5차, 6차, 7차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총 1,813명의 데이터를 통계 프로그램 SPSS 26.0과 Amos 26.0을 이용하여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폭력피해경험과 공격성의 종단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학교폭력가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학대경험과 학교폭력피해경험, 공격성의 수준을 낮추기 위한 다각적인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학대경험이 학교폭력 가해경험으로 재생산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초등학생의 인터넷게임 중독, 가족기능성, 또래폭력 가해경험, 피해경험이 또래폭력 행위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ernet Game Addiction, Family Functioning, Offense Eexperi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on Possibility of Peer Viol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경희;이경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425-43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인터넷게임 중독, 가족기능성, 또래폭력 가해경험, 또래폭력 피해경험, 또래폭력 행위가능성의 관계를 파악하고 또래폭력 행위가능성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부산과 울산의 초등학생 3, 4, 5, 6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789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WIN(20.0 ver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인터넷게임 중독이 높을수록 가족기능성이 낮았고, 또래폭력 가해경험, 또래폭력 피해경험, 또래폭력 행위가능성이 높았다. 또래폭력 행위가능성의 영향요인으로 교사와의 관계와 또래폭력 가해경험이 63.1%의 설명력으로 나타났다. 인터넷게임 중독을 예방하고 또래폭력 가해경험을 차단하는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아동과 교사와의 관계를 활성화 하는 것이 또래폭력 행위가능성을 막는 대안이 될 것이다.

성폭력 피해 아동·청소년이 2차 피해로 인지한 경험 연구 (A empirical Study of Secondary Victimization Among Sexually Abused Children and Adolescents)

  • 채현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1호
    • /
    • pp.117-140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 피해 아동 청소년이 인지하는 2차 피해의 경험을 보다 깊이 있게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차 피해 경험이 있다고 스스로 인지하고 있는 성폭력 피해 아동 청소년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섭외하였고, 2~4회에 걸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가 제시한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상처 위에 소금 뿌리는 가해자', '비빌 언덕조차 되어주지 않는 가족', '울타리가 무너진 학교', '상처를 덧내는 사법기관', '믿었던 도끼로 발등 찍는 상담원', '강 건너 불구경하는 이웃'이라는 6개 하위범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아동 청소년이 경험하는 2차 피해는 성폭력이라는 1차 피해 후에 '이중삼중으로 밀려오는 후폭풍'과 같은 경험으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아동 청소년 성폭력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교사의 비판적 의식이 다문화 청소년 학교폭력 귀인 및 학교적응 예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s' Critical Consciousness on Attribu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chool Adjustment Prediction)

  • 김태선;이주;신주연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0호
    • /
    • pp.177-18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비판적 의식이 다문화 청소년 학교폭력 피해 원인귀인, 문제해결 책임귀인, 그리고 학교적응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 학생의 학교폭력 피해사례를 담은 4개의 가상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교사의 비판적 의식, 학교폭력 피해 원인귀인, 문제해결 책임귀인, 학교적응 예측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평등주의 관점이 높을수록 다문화 청소년 학교폭력 피해 원인과 문제해결 책임에 관하여 개인귀인 아닌 상황귀인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평등 인식은 학교폭력 귀인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교사들은 평등주의 관점이 높을수록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부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다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논하고 제한점 및 후속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학교분위기가 중학생의 또래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hool Climate on Peer Victimization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 김은영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26호
    • /
    • pp.87-111
    • /
    • 2008
  • 본 연구는 중학생의 또래폭력피해 실태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진행되지 않은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분위기의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고 그 상대적인 영향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서울지역에 있는 11개의 중학교를 편의표집 하여 선정된 중학생들이며 최종적으로 1,204부의 설문조사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피어슨의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중학생의 또래폭력피해 행위 중 언어폭력의 피해행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단계로 구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1단계 모델보다 2단계 모델에서는 설명 변량이 19.6% 증가하였다. 또래폭력 피해 행위에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beta}=.130$), 학교건물의 유지보수(${\beta}=.067$), 교내환경의 안전성(${\beta}=.331$)의 변수들과 통제변수 중 성별과 경제력이 유의미한 변수였으며 전체모델의 23.0%를 설명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학교분위기를 개선시키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또래 괴롭힘 피해가 중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Effect of Peer Victimization on Social Anxiety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Mediating Role of Self-Concept)

  • 김지혜;박주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6호
    • /
    • pp.625-635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on the relationship of peer victimization and social anxiety in middle school students.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235 (122 boys and 113 girls) first to third graders from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The School Violence Experience Scale and the Self-Concept Scale were used to measure research variables in the Korean version of Social Anxiety Scale for adolescents.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of study variables. In addi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model.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eer victimizat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decreased the self-concept level; in addition, the self-concept level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social anxiety level. Second, the self-concept level fully mediated the peer victimization and social anxiety relationship. In conclusion, a higher peer victimization level resulted in a lower self-concept level, that produced a higher social anxiety level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uggested that implementing effective interventions to prevent peer victimization and encouraging a positive self-concept in middle school students would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reducing social anxiety.

학교폭력 피해 경험 중학생의 정신건강과 신체적 증상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Adolescent's Victimization of Violence, Mental Health and Physical Symptoms on Suicide Thinking)

  • 한상영;전용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155-516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피해경험, 정신건강, 신체증상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강원도 T시에 위치한 4개의 중학교에서 총 17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17.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 정신건강, 신체증상, 자살생각에 따른 공통적인 유형별로는 성별, 학년, 부모유형,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정신건강,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자살생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정신건강과 자살생각은 통계적으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신체증상은 자살생각과 약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피해경험 중학생들의 정신건강, 신체증상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중학생들이 자살생각에 대한 예방접근방법과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학교현장은 물론 지역사회의 사회적, 정서적 지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생들의 데이팅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II) -피해자를 중심으로- (Variables that Affect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II) -Focused on Victims-)

  • 김예정;김득성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7권3호
    • /
    • pp.187-20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ales' and females 'experiences of violence and to determine what variables served as predicting indicators among unmarried college student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ose who sustained psychological agression were 61% physical violence 43% and sexual violence 22% As the sample indicates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is a common phenomenon.2. More males sustained the severe from of physical violence and the sexual violence than females did while both sexes reciprocally sustained psychological aggression. 3. For males significant predictors of sustaining dating violence were conflicts inthe dating relationship and witness of interparental aggression while for females conflicts in the dating relationship a need to control one's partner and school violence served as significant predict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