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textbooks

검색결과 1,872건 처리시간 0.031초

초등학생을 위한 SW 교육과정 표준 모델 개발 (A Development of the Software Education Curriculum Model for Elementary Students)

  • 정영식;김갑수;정인기;김현배;김철;유정수;김종우;홍명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67-480
    • /
    • 2015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르면, 초등학교 SW교육은 실과 교과에서 17시간이라는 제한된 시간을 할애하고 있어, SW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SW 교육과정에 대한 표준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SW 교육과정을 분석한 후 SW 내용 체계를 소프트웨어, 컴퓨터 시스템, 융합활동 등 3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하위 영역을 10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SW 교육 내용을 학년의 구분없이 학습할 수 있도록 무지개 색을 이용하여 7단계로 구분하였다. 향후 제안된 교육과정 모델을 토대로 교재와 교구를 개발하여 보급한다면 학교 현장의 SW교육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간호학과의 컴퓨터 활용 교과목 수업을 위한 브랜디드 러닝을 적용한 교과과정 설계 (Blended Learning Applied Curriculum Design for Nursing Department's Computer-Utilizing Academic Subjects)

  • 윤성자;김노환;박진섭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75-384
    • /
    • 2017
  • 본 논문은 간호학과의 컴퓨터 활용 교과목의 내실 있는 수업을 위하여, 관련 자격시험의 검정요강과 국내 대학에서 강의중인 교재와 강의계획서의 내용들을 분석한 후 효과적인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브랜디드 러닝을 적용하여 교과과정을 설계하면서, 컴퓨터 활용 관련 국내외 자격시험의 출제경향과 실무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자격증 취득 및 실무능력 제고가 가능한 새로운 교과과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컴퓨터 활용 교과목의 교과과정은 강의와 실습의 두 가지 트랙을 면대면 수업과 이 러닝 강좌를 혼합한 브랜디드 러닝을 기반으로 주차별로 핵심영역, 교육목표, 강의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교수자에게는 좋은 교수방안이 될 것이며 학생에게는 컴퓨터 활용 분야의 자격 취득과 취업을 위한 동기부여로 우수한 학습 결과가 기대된다.

우리나라 2009 개정 초등 과학교육과정과 핀란드 초등 과학교육과정 비교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2009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of South Korea and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of Finland)

  • 이소영;노석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3호
    • /
    • pp.491-50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of Finland, which ranked at the first place in the science domain of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a comparative study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OECD member nations, for three consecutive years and recorded a high national competitiveness index, and that of South Korea, thus providing information needed to develop curriculums and textbooks in the middle of occasional curriculum revisions and giving useful implic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science content areas based on the ratio of large area item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and analysis framework of TIMSS 2007, South Korea's ratio of life, chemistry, physics, and earth hardly showed fitness for TIMSS 2007 and exhibited equal distribution among the areas. In Finland, the ratio of life, chemistry, physical, and earth was similar to the fourth grade level of TIMSS 2007. The country showed differential distribution with life accounting for the highest percentage. Second, as for the cognitive domains, South Korea showed a high percentage in "Uses and Procedures of Tools" of "1. Knowing" and "Making Connections," "Comparison/Contrast/Classification," and "Uses of Models" of "2. Application." Finland recorded a high percentage in "Information Interpretation" of "2. Application." While South Korea focused on the uses and methods of scientific instruments during scientific activities, Finland made an approach with a focus on problems related to daily life such as the interpretation of information including reports and graphs from an interpretative perspective.

국내 지구 과학 교육 연구의 동향과 나아갈 방향 (Past, Present, and Future of Earth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 Korea)

  • 신동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79-487
    • /
    • 2000
  • ${\ulcorner}$한국지구과학회지${\lrcorner}$가 발간된 지 20년이 지난 이 시점에 우리 나라 지구 과학 연구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나아갈 방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ulcorner}$한국지구과학회지${\lrcorner}$에 게재된 106편의 지구 과학 교육 연구 논문을 분석하였다. 양적 측면의 분석 결과, 지구 과학 교육 관련 연구가 최근 2년 동안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주제 측면에서 보면, 지구 과학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나, 우주 과학, 지질 과학, 대기 과학, 해양 과학 등의 ,세부 영역별 연구가 동일한 비중으로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연구의 대상 측면에서 보면, 교사보다는 학생 , 특히 고등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연구의 방법 측면에서 보면, 교과서나 교육 과정을 분석하거나 검사 문항 등을 활용한 조사 연구가 가장 많았고, 문헌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연구의 내용 측면에서 보면, 교수/학습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반면 평가나 교사 양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 PDF

초등학교 자연과 생물 영역의 교육 목표 분석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s on Elementary School Biology)

  • 심규철;이현욱;장남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39-544
    • /
    • 1998
  • 교육 목표 영역으로 설정된 부분이 실제 각 단원, 소단원 그리고 수업 차시 목표에 균형있게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제 6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초등학교 자연과 생물 영역의 수업 목표를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교육목표설정 영역은 인지적 영역, 탐구과정 영역, 수공적 기능 영역, 창의성 영역, 정의적 영역과 STS 영역 등 6개이다. 인지적 영역의 교육목표가 가장 많았으나, 창의성 영역에 해당하는 것은 하나도 없었다. 단원 목표와 소단원 목표에서는 인지적 영역, 탐구과정 영역, 정의 영역, 수공적 기능 영역, STS 영역 순으로 비중이 높았으나, 차시 수업 목표에서는 인지적 영역과 탐구 과정 영역이 대부분이었다. 목표 영역 중에서 인지적 영역과 탐구과정 영역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단원, 소단원과 차시의 수업 목표의 연계성이 부족하였으며, 특히 정의적 영역에서는 대단원, 소단원, 차시 수준으로 갈수록 그 비중이 급속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목표 설정 영역의 형식적인 구분보다는 교과서의 개발시 목표 영역의 일관성 있고, 균형 있는 반영을 고려해야 하며, 또한 목표 설정 영역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안배가 요구된다.

  • PDF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의 운영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 조사 (A Survey on the Management Status and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Science in High School Based on 2009 Curriculum Revision)

  • 신영옥;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1599-1612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고등학교에 도입된 소위 융합형 과학의 운영 실태와 1년간 융합형 과학을 수업한 교사들의 과학 내용 및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수업을 운영하는 방식은 1명의 교사가 모든 단원을 수업하는 것 보다 2명 이상의 교사가 전공별로 나누어 수업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융합형 과학의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융합형 과학 교과서가 교육과정 내용을 잘 반영하였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나, 첨단과학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용어나 개념의 수준이 높아 자신의 전공과 다른 영역의 내용을 가르치는 것이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교사들은 융합형 과학을 지도할 때 과학적 소양 함양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나 평가는 개념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종전의 평가관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편광현미경을 이용한 조암광물 관찰 웹 컨텐츠 개발 (Developing Web Contents for Rock-forming Mineral Observation under Polarizing Microscope)

  • 이창진;박철모;류춘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6-184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암광물의 광학적 특징에 대한 웹 컨텐츠를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있다. 개발된 웹 콘텐츠는 학습 목표와 교수 학습 내용을 명료하게 보여주고 학습 내용의 접근과 항목간의 이동을 원활히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중고등 학교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8종의 조암광물에 대한 광학적 특징을 동영상과 사진으로 제시하여 학생들의 광물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개발된 웹 컨텐츠를 수업에 적용한 후 MALSM를 이용한 교수-학습 자료로서의 질적 수준과 학습 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수업목표, 학습내용, 수업전략, 화면구성, 이용의 편의성, 학습자료 항목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웹 컨텐츠를 이용한 수업을 받은 학생 중에서 약 62%의 학생들이 편광현미경으로 박편상의 조암광물을 동정할 수 있었다.

수학 내러티브의 교육적 활용 (An Educational Application of Mathematics Narrative)

  • 이기돈;최영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3호
    • /
    • pp.443-465
    • /
    • 2014
  • 수학 교수학습은 수리 논리적인 수학적 사고의 신장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그러나 최근 '서사적 방향 전환'과 함께 수학교육의 분야에서도 이야기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사학, Bruner의 논의, 교육 분야에서 내러티브에 대한 논의 등을 바탕으로, 만들어낸 이야기 또는 다른 사람이 겪은 이야기로서의 '이야기'와 저자 또는 화자가 경험한 수학적 사실들의 스토리 형식을 갖춘 재현으로서의 '수학 내러티브'를 구분하고, 수학 내러티브와 수학적 사실들에 대한 내러티브 사고 양식의 적용을 통해 인지적 의미와 정서적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수학 내러티브의 활용이 이야기 활용의 제한점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수학에 대한 흥미와 의미를 형성시킬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끝으로 수학 내러티브의 활용이 수학 교과와 학습자의 통합에 기여할 수 있음을 논의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수학 교수학습을 재음미하였다.

  • PDF

대학수학 학습에서 그룹프로젝트의 효과 (The Effect of Group Project in College Mathematics Teaching)

  • 김병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1043-1058
    • /
    • 2009
  • 대학수학을 수강하는 2007학년도 2학기 충주대학교 1학년 학생 100명에게 개인별로(부록2)에서 세 문항, 그룹별(2명)로 (부록3)에서 두 문항씩 학기 초에 프로젝트를 부여하고 결과를 알아보고 분석하여 다음 프로젝트 과제 수행에 활용 자료로 삼도록 하였다.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서 학생들은 수학에 대한 사고 능력과 글쓰기 능력이 향상되었고 그룹 활동을 통해 협동심과 상호 협조적인 관계의 유지의 중요성을 깨달았으며, 이런 기회를 갖게 된 것을 대학생활의 보람으로 느끼게 되었다. 특히, 효과적인 그룹 프로젝트를 통한 수업이 되려면 1) 수강 학생 수는 20인 이내가 좋고, 2) 그룹 프로젝트는 2명에게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교수는 학생의 수준에 맞는 문제를 교재 이외에서 선정하고, 4) 문제는 흥미 있고, 긍정적이며, 도전적이어야 하며, 5) 각 그룹에게 한 문제만 주어져야 하고, 6) 그룹들은 충분한 참고자료를 준비해야 하며, 7) 그룹의 각 구성원은 수학과 협력학습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해야 하고, 8) 학생들은 수학을 즐거운 마음으로 다루어야 하며, 9) 실생활에서 수학이 중요함을 일깨워 주고, 10) 프로젝트 수행에 적절한 기간이 2달은 되어야 한다.

  • PDF

여수 사도의 지형 및 지질경관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in Sado, Yeosu City, Korea)

  • 김해경;고영구;오강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43
    • /
    • 2013
  • 본 연구는 사도(중도와 증도를 포함)에 분포하는 지형 및 지질경관의 특성을 조사하여 생태관광 및 지오투어리즘 그리고 학생을 위한 현장체험학습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지형 및 지질경관은 국립환경과학원(2007)의 분류 안에 따르면 9종류의 지형경관 그리고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2003)의 분류 안을 따르면 17종류가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지형 및 지질경관은 사도를 찾는 관광객을 위한 생태관광, 지오투어리즘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뿐 아니라 초, 중등 학생이 교과서에 제시된 다양한 지형과 지질의 예를 경험하고 관찰할 수 있는 현장체험학습의 자료로서도 활용가치가 있다. 또한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2003)에서 제시한 지형 및 지질 유산의 조사 대상에 대해서는 보다 전문적이고 정밀한 조사를 통해 이들의 보존가치를 판단할 필요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