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admission criteria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7초

대학입학사정관제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 면접전형을 중심으로 (A Study of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the Admissions Officer Interview System for College Admission: Focusing on the interview screening)

  • 한우석;강경희;김진경;이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391-398
    • /
    • 2012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입학사정관제의 면접영역에 대한 평가와 입학사정관제도 전반의 개선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대전지역 인문계 고교 교사들의 응답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잠재력 평가와 관련하여 학생들의 가치관과 도전정신, 적극성 등을 중요한 요소로 평가하였고, 인성 평가와 관련하여 책임감과 공동체 의식, 갈등극복의 유연성을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이외에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보강되어야 할 면접문항은 학생들의 의욕과 인생관, 창의성 등이었다. 둘째,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만족도는 총 15점 중 9.34점으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입학사정관제의 운영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는 선발과정의 공정성 확보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입학사정관의 전문성을 보장하고, 입학사정관제도의 개선방안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단일 의과대학에서 학생 선발 전형 요소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Student selection factors of admission and academic performance in one medical school)

  • 이근미;황태윤;박소영;최형철;서완석;송필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4권1호
    • /
    • pp.62-68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first year medical students in one medical school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student selection factors of admission. Methods: The admission scores of student selection factors (Medical Education Eligibility Test [MEET], grade point average [GPA], English test score and interview) and demographic information were obtained from 61 students who had interviewed (multiple mini interview [MMI]) for admission (38 graduate medical school students in 2014, 23 medical college-transfer students in 2015). T-tests and ANOVA were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student characteristics. Correlations between admission criteria scores and academic achievements were examined. Results: MEET score was higher among graduate medical students than medical college transfer students among student selection factors for admis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of first grade medical school between age, gender, region of high school, years after graduation and school system. The lowest interview score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hievement in problem-based learning (PBL) (p=0.034). Undergraduate GPA sco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irst grade total score (r=0.446, p=0.001) among admission scores of student selection factors. Conclusion: Students with higher GPA scores tend to do better academically in their first year of medical school. In case of interview, academic achievement did not lead to differences except for PBL.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 요소와 기준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J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High School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School-Record Focused Selection System: Focusing on the Case of J University)

  • 이제영;백광호;백민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74-38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 요소와 기준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학생 역량을 보다 공정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대입 전형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고등학교 교사 102명과 고등학생 자녀를 갖고 있는 68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지는 J대학의 학생종합전형 기준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크게 '서류평가', '면접평가', '기초설문'의 3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부모 모두 학생생활기록부 중심의 학생부종합전형이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대입전형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교사와 학부모 모두 인성, 적성, 잠재력 모두 서류 평가와 면접 평가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 활성화를 위해 학생부종합전형이 계속 유지되어야 하나 해당 전형의 공정성 확보가 선행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입 전형 개선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nalysis of the Predictive Validity of College Entrance Criteria

  • Bae, Hyun-W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8권4호
    • /
    • pp.973-983
    • /
    • 2007
  • Korea Military Academy has been using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and High School Grades(HSG) with other measures such as an Essay-type Test(ET), Physical Test(PT) and Personal Interview(PI) as criteria for entrance.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perness of the criteria in admission decision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ege GPA and criteria, and the prediction of academic performance. The study showed that CSAT and HSG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ollege GPA, and these two criteria are better predictors for academic performance. Regression analysis also provided an important message that HSG is a better predictor than CSAT.

  • PDF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입학전형 실태: 학교의 학생 선발과 학생의 진학 결정 (The Practice of Vocational and Meister High Schools' Admission Selection and Students' School Choices Through Admission Process)

  • 백선희;이지영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1호
    • /
    • pp.1-22
    • /
    • 2017
  •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의 입학전형을 통하여 학교는 설립목적에 부합하는 학생을 선발하고 있는지, 학생은 자신의 적성, 흥미, 진로 등을 고려한 진학을 하고 있는지를 진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입학전형 과정을 홍보, 지원, 전형으로 구분하고 마이스터고 입학 담당 교사, 1학년 학부모,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진학률이 높은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중점 집단 면담(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홍보과정에서 학교는 성적 높은 학생을 모집하기 위한 홍보와 취업률 홍보에 중점을 둔 반면, 학생의 입장에서는 고등학교의 홍보 접근 기회의 불균형과 전공학과에 대한 정보부족이 발견되었다. 둘째, 지원과정에 있어서 학교는 여전히 성적을 중시하는데 반해 학생은 진로를 고려한 진학 결정을 시도하고 있었다. 셋째, 전형과정에 있어 학교의 입장에서는 특별전형과 일반전형으로 선발하는 학생이 차이가 크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학생의 입장에서는 성적이 조금 부족하다고 생각할 경우 특별전형이 일반전형에 비해 합격 가능성을 높일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고 있었다.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입학전형이 보다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홍보활동의 형평성과 홍보 내용의 구체화, 학교단위의 선발 및 지원 방식에 대한 재검토, 성적 이외의 인성과 역량 등과 같은 다양한 전형요소의 평가 비중 조정, 적성과 흥미 및 진로를 고려한 의사결정을 위한 학생의 노력과 학부모 및 학교의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특성화고등학교 미래인재전형의 평가기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비교 : 서울시교육청 특성화고 사례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Educato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Evaluation Criteria for Admission to Career and Technical High Schools: A Case Study)

  • 조성란;이화영;한지윤;예철해;신창호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227-254
    • /
    • 2018
  • 본 연구는 특성화고 미래인재전형과 평가기준에 대한 입학사정교사와 지원학생의 인식차이를 살 펴보고 미래인재전형의 학생선발과 평가방향에서 고려할 시사점을 탐구하기 위해 서울특별시교 육청 산하 특성화고 미래인재전형 입학사정교사와 특성화고 1학년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미래인 재전형에 관한 실태조사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인재전형 제도에 관한 인식의 측면에서 교사들은 그 선발 의도에 대해 공감하면서도 성적블라인드와 전형 방법에 부정적 평가를 하였으나 미래인재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평가요소의 영향력 측면에서 교사들은 면접과 출석을 가장 중시하며 학업계획서 자기소개서 봉사활동 포트폴리오 순으로 고려하였으나, 학생들은 출석 면접 자기소개서 포트폴리오 학 업계획서 봉사활동 순으로 중시하여 자기소개서와 포트폴리오의 영향력을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학생의 지원사유와 교사의 선발기준 측면에서 학생은 꿈 끼 취업가능성을 중시하였고 교사는 인성과 역량을 중시하였다. 이와 같은 몇 가지 측면의 결과로 볼 때, 선발자인 입학사정교사보다는 지원학생들이 미래인재전형의 선발의도에 상대적으로 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인 재전형이 설립취지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특성화고 별로 원하는 인재상의 정립과 지원학생들과의 전형에 관한 인식의 폭을 줄일 수 있는 평가방향을 정하고, 그에 맞는 평가기준과 선발 전략을 세워, 시대의 요구에 부합하는 인재양성의 기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특성화고 미래인재전형 담당교사들의 역량모델 연구 (Development of the Competency Model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s Admission Officers)

  • 두민영;우버들;신창호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3호
    • /
    • pp.47-6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미래인재전형 담당교사들의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미래인재전형은 특성화고의 특별전형 중 하나로, 교과 성적과 상관없이 취업 및 창업의지, 소질과 적성을 가진 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해 2016년 서울시 소재 특성화고에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미래인재전형 담당교사들의 역량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특성화고 교사 191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고경력자와 일반 경력자의 응답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나타난 특성화고 미래인재전형 담당교사의 핵심역량은 3개 역량군, 14개 역량으로 나타났다 : 1) 공통 역량군은 입학담당자로서 직무를 수행하는 데 기본적으로 필요한 역량으로 (1)입학전형 담당자로서의 책임감, (2)평가자로서의 윤리성, (3)의사소통 역량, (4)팀워크 역량을 포함한다. 2) 기획 역량군은 미래인재전형 선발에 적합한 모든 전략과 세부 계획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역량으로 (5)특성화고 입학전형에 대한 이해력, (6)인재상에 따른 평가 준거 및 요소추출 역량, (7)면접 문항 개발 역량, (8)평가 기준 개발 및 지침 이해 역량, (9)평가자간 신뢰도 제고 역량 등이다. 3) 실행 역량군은 성공적인 미래 인재 선발에 적용하고 실천할 수 있는 역량으로 (10)면접 진행 역량, (11)면접 답변에 대한 실시간 평가 역량, (12)평가결과를 객관화, 수치화하는 역력, (13)평가결과에 대한 통합적 해석 역량, (14)평가 결과에 대한 의사결정 역량이 포함된다.

Relevance of emergency level assessment by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for adult patients in a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

  • ;이숙희
    • 대한응급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95-602
    • /
    • 2018
  • Objective: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which was implemented in 2016, needs to be assessed for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Here we evaluate the relevance of emergency level assessment by analyzing the validity of KTAS as a Korean standardized triage system.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adults who presented to a local emergency room (ER) during an 18-month period. We compared medical resources used, life-saving interventions performed, length of stay (LOS) in ER, admission rate, and mortality at each KTAS level. Results: Among a total of 40,339 patients, most patients were at KTAS 4 (n=19,532, 48.4%) and the longest median LOS in ER was 450 minutes at KTAS 2. As the KTAS level increased, the percentage of medical resources used and lifesaving interventions performed increased significantly. The odds of total admission and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KTAS 1 through 4 compared to those at KTAS 5. The odds related to admission and mortality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at KTAS 3 than at KTAS 4.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the KTAS, as a Korean standardized triage system of emergency level assessment, is relevant. Further, KTAS 1-3 and KTAS 4-5 are appropriate criteria to distinguish emergency and non-emergency patients.

학령기 아동의 입원생활 적응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Promoting the Adjustment and its Effectiveness for School aged Children′s Hospital Life)

  • 오진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25-533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promoting adjustment to hospital life and determining its effectiveness for school aged children. Method: The sample group consisted of 76 hospitalized children in 2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Busan.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he program on admission and feedback was obtained on the 3rd day and again 24 hours later.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and ANOVA in the SPSS program package.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ormation(t=4.235, p=0.000) and coping effort criteria (t=2.922, p=0.005)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re was a non-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 criteria between the two groups(t=1.009, p=0.316).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adjustment promoting program for hospital life for school aged children was effective, but not enough to promote self-esteem. The program, based on a learning theory, was improved and shown to be an effective and strong method to promote adjustment of school-aged children.

노인인구의 간호요양원(Nursing Home) 필요예측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nursing home needs in elderly people)

  • 강임옥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5-20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population requiring nursing home services among elderly people in Korea. This study identifies the need of nursing home services determined by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estimates the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requiring nursing home service according to the admission criteria. Surveys were conducted on health care professionals including medical doctors, home care nurses, and nurse practitioners. They were asked to assess nursing home need based on four content areas: Physical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chronic disease, Physical symptoms (incontinence), mobility, eating, and sensory function. Based on the professionally determined need criteria the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requiring nursing home services was estimated using secondary data from the 1994 Survey on the Living Status of the Korean Elderly. The number of study subjects to estimate nursing home need who were 60 and older totaled 2,058. The most important factor contributing to the admission eligibility criteria was the elderly living alone. Other factors related were the elderly being unable or having difficulty carrying out activities, and having insufficient help from other our activities, and having insufficient help from other members of the household. Using only physical function, the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requiring nursing home was $8{\sim}9%$. When only chronic disease was used, proportions varied widely; for the doctor's group, the proportion was over 30%. Using all areas, the proportions of elderly people requiring nursing home were between 13% and 38%. The estimate using chronic disease and physical function was similar to the on using all area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