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he Competency Model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s Admission Officers

특성화고 미래인재전형 담당교사들의 역량모델 연구

  • Received : 2018.02.26
  • Accepted : 2018.06.26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mpetency model of specialized vocational school teachers as admission officers. Whereas professional admission officers deal with a variety of admission activities in universities, teachers are responsible for admission dutie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in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teachers responsible for admission duties in specialized high school settings. In order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actor analysis was completed for the survey results of 191 teachers who teach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Seoul, Korea. For evaluating validity of the competency model, the responses from those who had high experiences in admission duties and the average teachers were compared.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d a total of 14 competencies in three competency areas.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include responsibilities for admission officers, ethics for evaluators, communication skills, teamwork, understandings of admissions process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generating interview questions, increasing interrater reliability, interview skills, simultaneous evaluation of interviewees, quantification of evaluation results, synthesis of evaluation results, and decision making skills.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미래인재전형 담당교사들의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미래인재전형은 특성화고의 특별전형 중 하나로, 교과 성적과 상관없이 취업 및 창업의지, 소질과 적성을 가진 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해 2016년 서울시 소재 특성화고에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미래인재전형 담당교사들의 역량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특성화고 교사 191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고경력자와 일반 경력자의 응답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나타난 특성화고 미래인재전형 담당교사의 핵심역량은 3개 역량군, 14개 역량으로 나타났다 : 1) 공통 역량군은 입학담당자로서 직무를 수행하는 데 기본적으로 필요한 역량으로 (1)입학전형 담당자로서의 책임감, (2)평가자로서의 윤리성, (3)의사소통 역량, (4)팀워크 역량을 포함한다. 2) 기획 역량군은 미래인재전형 선발에 적합한 모든 전략과 세부 계획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역량으로 (5)특성화고 입학전형에 대한 이해력, (6)인재상에 따른 평가 준거 및 요소추출 역량, (7)면접 문항 개발 역량, (8)평가 기준 개발 및 지침 이해 역량, (9)평가자간 신뢰도 제고 역량 등이다. 3) 실행 역량군은 성공적인 미래 인재 선발에 적용하고 실천할 수 있는 역량으로 (10)면접 진행 역량, (11)면접 답변에 대한 실시간 평가 역량, (12)평가결과를 객관화, 수치화하는 역력, (13)평가결과에 대한 통합적 해석 역량, (14)평가 결과에 대한 의사결정 역량이 포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고려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