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4초

디지털 시대의 학습과 정보 - 학습 코먼스로서 학교도서관 - (Learning with Information in Digital Age: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as Learning Commons)

  • 정진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53-375
    • /
    • 2016
  • "디지털 패러독스"가 "조용한 위기"로 우리의 미래 세대를 위협한다는 심각한 우려가 있으나 이미 디지털 문화속에 살고 있는 우리는 디지털 매체들과 기존의 다양한 정보매체들의 차이와 특성을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학습에 활용해야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기반 의미 있는 학습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이를 적용한 학교도서관 학습 코먼스(Learning Commons)를 제안하는 것이다. 학습을 위해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와 매체들을 다루는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을 전제하여 정보와 학습의 밀접한 연관성, 매체와 학습의 밀접한 연관성, 정보 활용을 통한 의미 있는 학습의 개념을 살펴보고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의 초점은 정보열람과 접근이 아닌 학습이어야 한다는 학습 코먼스의 개념을 학교도서관에 적용 및 분석하였다. 본 논문이 디지털 시대의 학교도서관프로그램 핵심인 정보기반 학습에 의미 있는 학습을 위한 학습 코먼스의 설계를 지원하는 이론적 근거가 되기를 기대한다.

미국의 초등학교 도서관 특별 프로그램에 관한 사례 연구: 텍사스 주를 중심으로 (Case Studies on Special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 Media Centers in Texas, U. S. A.)

  • 정연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21-242
    • /
    • 2002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방안으로 사용될 수 있는 미국의 학교도서관매체센터의 특별 프로그램에 관한 사례 연구이다. 텍사스 주의 7개 초등학교 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특별 프로그램을 사례로 뽑아 프로그램의 종류, 목적, 요소, 효과와 주제에 관해 분석하였다. 특별 프로그램은 도서판매와 교과과정과 연계하여 전시와 진열, 초청 강연, 학습 센터, 실연, 매체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교과과정의 지원과 학생들의 개인적 관심의 충족, 그리고 교사들의 전문적 성장을 공통적인 목적으로 하였다. 특정 집단에 적합한 프로그램의 연결, 교과과정과 연계한 프로그램의 개발, 특정 주제에 관한 재미있고 효율적인 방식의 제공, 즐기면서 충족시킬 수 있는 행사의 진행, 적절한 시기와 시간의 배정이 필수적인 요소였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학교도서관매체센터와 매체전문가의 존재를 확인시켜주었으며 매체센터의 이용을 증가시키고 교실 수업의 지원, 학생과 교사의 개인적인 흥미의 확대, 평생학습자로서의 개발, 학교도서관매체센터의 홍보를 가능하게 해주었다. 그러므로 학교도서관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의 하나로서 다양한 특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교장과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의 관심과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과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merican School Library Media Program Standards and Their Applications)

  • 박명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3-95
    • /
    • 2003
  • 본 연구는 국가적 차원의 학교도서관 기준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미국 학교도서관 국가기준과 주단위 기준을 고찰하고, 학교단위의 학교도서관에서 구체적으로 이를 적용하여 도서관 수업을 전개하는 사례를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얻은 결론으로 한국 학교도서관 기준 설정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 PDF

미국학교도서관기준에 나타난 SLMP의 교육적 이념 (The Educational Idea Presenting In the SLMP's Standards)

  • 김효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2권
    • /
    • pp.121-147
    • /
    • 1985
  • In the modern communicative age, the standards of the school libraries are the qualitative guarantee on the services of school libraries or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as the guidline, the active guide, the policy documentation and criteria for the professional excellence. The standards of SLMP were revised the sixth time by the school library profession(ALA) with the members or agency of NEA in the U.S. There are the first standard was a quantitative; 'the Certain Report'(by A.L.A., 1920) appearing that the school library is the heart of the school, 2nd 1925; turning up the teaching material source and personel, 'School Libraries for today and tomorrow' (by AASL, 1945) incluseing the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he 7th educational ideas in the quantitative feature, 'Standards for School Library Programs' (by AASL, 1960) expressing the instructional material center, communicative environment, learning and teaching laboratory, 'Standards for school media programs' (by DAVI & AASL, 1969) implicating the instructional resource, learning and teaching laboratory, the condition precedent of qualitative education for excellence, 'Standards for media programs; District/school (by AASL & AECT, 1975) containing the improving user's educational experience and personal freedom on the use of SLMP's services. Through changing the standards of SLMP in the US, We have known that the main educational idea in the standards are; (1) SLMP is the instructional force and resource for qualitative, excellence education by learning and teaching laboratory, instructional resource, communicative environment (2) SLMP is the actualizing force and resource for user's self-realization by intellectual and personal excellence, individualizing, humanizing and personalizing education.

  • PDF

택소노미와 CIPP 모형을 활용한 학교도서관 우수프로그램의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Chracteristics of School Library Program Employing Taxonomy and CIPP Model)

  • 강지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63-28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각종 도서관 평가에서 선정된 우수사례 가운데 학교도서관 우수 프로그램 19건 (세부프로그램 161건)을 분석하였다. The Library Media Specialist's Taxonomy와 CIPP 모형을 기준으로 콘텐츠 분석을 시행하였다. 사서교사가 프로그램에 관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택소노미 분석에서는 학교의 구성원이 도서관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7단계가 37.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택소노미의 10 단계 가운데 상위단계 (6~9단계, 사서교사의 관여도가 높음)가 65.9%의 비중을 차지하였다. CIPP 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 (상황) 대부분의 우수 프로그램은 독서교육(41.5%)과 도서관 이용법 교육(11.3%)을 목적으로 하고 있었으며 학습자의 요구로 시작된 사례가 과반(53.8%)을 넘었다. (투입) 우수 프로그램은 다양한 교재교구를 활용하였으며 고정된 시간에 운영되었다. (과정) 프로그램은 다양한 방법으로 운영되었는데, 독서교육(30.4%)과 문화활동(17.3%)이 주를 이루었다. (산출) 프로그램 운영 결과,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와 학생들의 성취도 향상과 프로그램 효과성이 보고되었다.

미국 학교도서관 전문직 자격제도와 배치기준 (A Study on Certification Requirements and Personnel Standards for the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in the United States)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7-90
    • /
    • 2006
  • 본 연구는 미국 학교도서관 전문직(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 SLMS) 자격제도의 구성과 발전, 자격요건, 명칭, 교육 프로그램, 배치규정 등을 분석하였다. 미국의 SLMS의 자격요건은 주에 따라 다르지만 가장 중요한 요건은 교사자격과 문헌정보학 석사학위이다. 자격명칭 역시 주에 따라 다양하지만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Library Media Specialist가 가장 일반적이다. 자격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주 교육청, 준비교육기관(대학), 전문직 단체가 있으며, 전국 교사교육 인가위원회인 NCATE가 ALA와 함께 교육프로그램 인가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SLMS의 배치는 주 교육청 또는 지역 교육기관 인가단체에서 규정하는데 2002년 현재 19개 주가 규정을 갖고 있으며 늘어나는 추세이다. 6개의 지역 인가단체 중 3개 단체는 아주 명확한 규정을 확립하고 있다. 분야별 수석교사 평가제도인 NBPTS와 최근 학교도서관 및 사서교사의 위상을 위협하는 '65% 해법‘에 관해서도 검토하였다.

  • PDF

농산어촌지역의 학교도서관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ies in the Rural Area)

  • 곽철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3-20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산어촌 지역에 학교도서관을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농산어촌 지역의 학교도서관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학교도서관 운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사용된 연구방법은 설문지법과 면담법이 사용되었다. 조사결과 농산어촌 학교도서관의 역할은 독서교육 공간과 학생들의 문화 및 여가활용 공간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생들이 사회생활에 필요한 견문을 넓히는 공간으로 다양한 정보매체 활용을 위한 공간을 강조하였다. 또한 농산어촌의 학교도서관은 지역주민과 결합된 문화공간의 기능을 강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연성 있는 도서관 운영시간, 학업능력 향상 프로그램 교양능력향상 프로그램, 문화공간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학교도서관의 교수 - 학습지원 프로그램 운영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Media Center Program)

  • 김병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65-282
    • /
    • 2002
  • 교수-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는 교사와 학생들의 역할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가르치는 교사에서 안내자로, 경청하는 학생에서 적극적인 참석자로, 기억을중요시하기보다는새로운지식을창조하고, 교과서에 포함된 기본적인 정보에서 보다 다양한 인쇄매체와 전자정보원에서 새로운 정보를 수집하고 발견하며, 사실중심교육에서 문제해결중심교육으로 지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에서 오늘날의 학교교육은 교실중심교육에서 연장된 학교도서관지원교육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이르게 되었다. 새롭게 학교교육을 쇄신하고 개혁하는 운동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훌륭한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을 활용한다는 것은 값진 방법이며 수단인 것이다. 학교도서관에서 교수-학습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운영의 원리를 알아본 다음, 우리나라 학교도서관에서 현재 실현되고 있는 정도와 미래지향적이며 희망적인 프로그램정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프로그램의 현재 실현정도와 미래희망정도와는 13개 문항 모두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교과과정과 관련된 문항의 현재 실현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 PDF

Develop and Deliver Essential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 Eisenderg, Michael B.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5-21
    • /
    • 2011
  • There is an explosion of talk about crucial, new literacies for the 21st Century, for example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media literacy, technology literacy, digital literacy, visual literacy. The other day, there was even an article about "gaming literacy!" How does one make sense of it all? The common factor in all these literacies is "information" -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on use, information processing, information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evaluation. And, these "information" elements come together in information literacy: the ability to engage in effective and efficient information problem-solving. Information literacy is the overarching and unifying literacy, and all libraries have a unique and essential role to play in delivering meaningful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to people of all ages. In this keynote paper and address, Professor and Dean Emeritus Mike Eisenberg will define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library-based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and offer strategie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that are comprehensive(reaching all users), predictable (consistent over time), and accountable(measured and reported).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성남시 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운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Plans for Seongnam Public Library Programs in the Post-COVID-19 Era)

  • 송민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77-18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데이터 포털에 공개된 성남시 도서관 강좌정보 데이터를 토대로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이후 시점의 프로그램 개설 현황을 분석해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한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남시에서 업로드한 파일의 중복 및 오류 데이터 정제 과정을 거쳐 정리한 1,317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①프로그램 주제 및 형태 구분, ②프로그램 대상 이용자 분포, ③프로그램 개설 형태(온라인/오프라인), ④프로그램 개설 시기 및 운영 일수, ⑤이용자들이 선호하는 프로그램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이전에는 온라인 강좌가 개설된 바 없으나, 2020년 8월 이후부터 온라인 강좌가 본격적으로 개설되었다. 또한 2019년은 영유아 및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체험활동 강좌가 많았으나 2020년은 성인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독서활동 강좌가 증가했다. 온라인 강좌 형태는 온라인 화상회의 프로그램을 이용한 실시간 강의, 유튜브 영상 시청 및 라이브 방송, 네이버 밴드 및 카페 활용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