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y Facilities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18초

지역사회(地域社會)에 개방(開放)된 학교도서관(學校圖書館)의 건축계획(建築計劃)에 관(關)한 연구(硏究) - 서울지역 초.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rchitectural Plan of School Library that is Opened to Local Community)

  • 이석민;황희준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65-73
    • /
    • 2011
  • The Educational facilities is accomplishing the role as the community facilities through various programs that the culture leisure long-life education facilities etc. But The local residents do not use that facilities which is opened in the community actually well. Because it does not consider the various things that convenient for resident users who is not student. With sameness, School library which is opened to local community can not expect as a Public library with modem library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pose the direction of architectural plan that must be considered for the sufficient role the School library which is opened to local community as the Public library.

  • PDF

무장애 학교도서관 편의시설의 디자인 (Designing the Barrier-Free School Library Facilities)

  • 김선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21-237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교의 통합교육환경에 적합하도록 장애인 편의시설을 갖춘 무장애 학교도서관을 디자인하는 필요한 방향과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우리나라와 미국을 중심으로 공공기관의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와 관련된 법률과 기준을 조사분석한 다음에, 학교도서관의 특성에 맞는 14가지의 편의시설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렇게 선정된 편의시설별로 무장애 학교도서관의 디자인 지침을 제시하였다.

  • PDF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요구조사 분석 (An Analysis on the Needs Assessment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in Korea)

  • 김성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93-112
    • /
    • 2016
  •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요구조사 도구를 사용하여 전국의 학생과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연구에 사용된 요구조사 도구는 한국도서관협회의 기준, IFLA의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 AASL의 기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10개의 시설특성과 세부요소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설문대상은 전국 18개 학교에 소속된 507명의 학생과 134명의 사서교사이며, 이들로부터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수준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학생과 사서교사는 모두 학교도서관의 시설특성의 중요도를 현재 수준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학생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시설특성은 자료 접근성, 편리성, 공간성 순서이며, 사서교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특성은 쾌적한 환경, 확장성, 자료 접근성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 시설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designing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 김병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1-158
    • /
    • 2003
  • 오늘날 새로운 과학기술의 발전과 교육환경의 변화는 초$\cdot$중등교육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학교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학교도서관 그 기능을 효과적이고 능률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유능한 인력과 풍부한 자료와 훌륭하게 준비된 시설이 뒷받침 되어야한다. 새롭게 개발되는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학생스스로 실현가능하게 하려면 물리적인 공간구성이 효과적으로 설치되고 운영되어야 하므로 학교도서관의 기존시설을 재설계하고 재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을 개관하고 설문지를 작성하여 현재 학교도서관의 시설 및 환경에 대한 현황과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재설계를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PDF

학교도서관의 현황분석을 통한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중학교 도서관의 규모와 배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ement through the Present State of Analysis of the School Library School Library - Focused on the Area and Layout of the Middle School in Daegu -)

  • 임혜원;서희숙;이상홍
    • 교육시설
    • /
    • 제13권2호
    • /
    • pp.15-24
    • /
    • 2006
  • The 7th National Curriculum requires the part of a school library for supporting porformance evaluation, optional activ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school library which is very important part of school education needs support of necessary resources and adequate facilities for performing its function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is reserch is based on the school library for present education to need. And, the objective of this reserch is to grasp the present condition of school library and to show improvement device for planning efficiently the time when school library is designed in future.

학교도서관 시설개선을 위한 요구조사 도구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eeds Assessment Tool for School Library Facilities)

  • 김성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3-73
    • /
    • 2015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시설을 계획하고 개선하는 과정에서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는 표준화된 조사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도서관협회의 기준, IFLA의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 AASL의 기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학교도서관의 시설특성을 파악하였고, 요구조사 도구에 반영되어야 할 특성으로 교육적 활용성, 시설 접근성, 자료 접근성, 쾌적한 환경, 심미성, 공간성, 편리성, 정보기술, 업무 효율성, 확장성의 10개 특성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요소를 우리 도서관 상황을 고려하여 선택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요구조사 도구는 설문지 방식으로 계량적 데이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학교도서관 상황에 따라 조사도구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

학교도서관 헌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Manifesto)

  • 변우열;송기호;이미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73-92
    • /
    • 2014
  •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방침이나 규범을 열거한 규칙이나 법칙이다. IFLA/UNESCO, IASL,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을 비교하고 분석해 본 결과 IFLA/UNESCO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의 임무, 예산 확보와 네트워크, 목적, 직원, 운영 및 관리, 선언의 구현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예산 확보와 네트워크를 강조하고 있다. IASL 학교도서관 선언은 학교도서관의 기능, 자료, 시설, 인적자원, 정보활용능력, 정부 및 공공단체의 지원 등을 구성요소로 하고 있는데, 정보활용능력 육성을 강조하고 있다.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의 이념, 기능, 직원, 자료, 시설, 운영 등을 구성요소로 하고 있는데, 학교도서관의 이념을 강조하고 있다. IFLA/UNESCO, IASL,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을 비교하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학교도서관 헌장은 선진국의 구성요소를 수용하되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강조하여 교육 영역을 별도의 항목으로 하고 학교도서관의 임무, 시설, 인적자원, 교육, 예산, 운영 및 관리, 헌장 구현을 위한 정부의 책임 등을 구성요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인천 'S' 초등학교 학교 도서관 구축 프로젝트 (Interior Project of IN-CHEON 'S' Elementary School Library)

  • 이혁준;이종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19-220
    • /
    • 2005
  • This present study purposed to propose a plan of building a future oriented school library that supports teachers' teaching with various multimedia and Internet materials applicable in class immediately, helps students' self directed learning activities, and plays its role as a cultural center of the local community. As for research methods, this study examines the basic dire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chool libraries defin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 of school libraries. In addition, we survey cases of library plans in Incheon, and suggest standards for planning and propose a plan. Ultimately, we establish a library plan for S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and execute the plan and, in the course, derive ideas for satisfying students' demands with regard to their sentiment, stable and flexible layout and flow lines, facilities and space within the library, etc. What is more, we create indexes for library planning so that school libraries can contribute to various cultural activities and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y beyond their functions as school library facilities.

  • PDF

중등학교 시설에서의 커뮤니티공간 연구 (Towards the Community Space for Secondary School)

  • 이금진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12
    • /
    • 2012
  • The opportunity provided for design method and strategy of community space for secondary school through the experience of public library and gallery,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Community space is an important issue in school architecture as it seeks to revive the public area in educational building and to renew the open space as a multi-entertainment space. The latest works of school, however, which are evaluated as well reflected the reality of educational patterns, are still deficient in that communicational elements in school are underdeveloped and inadequate. The cases of this paper, which are grown up as entertainment library and multi-purpose cultural space such as Seattle Public Library, Sendai Mediatech, Tate Modem Gallery, and Kunsthaus, are suitable to offer the method of the creation of community space for school. This paper reviews an assessment of its success in community space for school architecture with multi-entertainment-purpose library and cultural space connected open space and concludes with the establishment of design method for future school; extraction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development of community space in school and proposal of design method; implementation of school renewal with library and gallery plus open space for the creation of identity considering both of study and play.

AHP를 활용한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지표의 우선순위 분석 (An Analysis on Priority of School Library Evaluation Index Utilizing the AHP)

  • 임정훈;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69-189
    • /
    • 2019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지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현장성이 반영된 평가지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의 대표적인 전담인력인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Analytic Hierarchy Progress(AHP)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평가지표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위 계층 평가영역의 우선순위는 인적자원, 도서관서비스, 정보자원, 도서관경영, 시설 환경 순으로 나타났고, 하위 계층 평가항목의 우선순위는 인력자원배치, 인력자원 전문성,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 교육활성화 노력, 장서 구성 적설성, 장서 최신성, 예산, 시설 접근성, 장서 현황, 시설 설비 적절성, 경영계획, 이용 접근성, 홍보 및 마케팅,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협력, 자료이용현황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현장성이 가미된 학교도서관 평가지표를 적용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