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y Development Factors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6초

미국 학교도서관 발전에 있어서 연방 법률과 학교도서관 기준 (The Federal Legislations and School Library Standards in the School Library Development of the U. S.)

  • 곽철완;최재황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9-124
    • /
    • 2008
  • 본 연구는 미국 연방정부의 학교도서관 지원 법률과 학교도서관 기준이 학교도서관 발전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국 학교도서관 관련 기준, 학교도서관 지원 연방 법률과 학교도서관 통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미국의 학교도서관 지원 연방 법률이 학교도서관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연방법률이 효과적으로 수행되기 위해 법률 목적에 부합하는 학교도서관 기준이 만들어져 학교도서관 발전을 유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도서관 지원 연방 법률은 일회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제정되어 지속적으로 학교도서관에 예산을 지원을 하고 있었다. 미국 사례를 통해 본다면 우리나라의 학교도서관 역시 국가적 차원에서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이며 반복적인 지원이 있어야 학교도서관이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초등학교도서관의 자료 선정에서 자기 검열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Self-Censorship in Selection i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 박혜선;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39-262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교도서관의 자료 선정 과정 중 나타나는 사서(교사)의 자기 검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자기 검열 행위를 줄일 수 있는 구조적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국내외 문헌 연구를 통해 자기 검열의 개념을 살펴보고 심층 면담을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여 설문조사를 시행 후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장서 개발 정책과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도서관 장서 관련 민원 요소에서 집단 간 유의한 자기 검열 차이를 발견하였고, 이용자 및 도서관 장서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에서 자기 검열 영향 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심의 기능 강화, 이용자 항의 대응 지침이 포함된 장서 개발 정책 마련, 학교도서관 소장 자료의 폐기 절차 간소화 등을 제안하였다.

학교도서관(學校圖書館)의 비이용문제(非利用問題)에 대(對)하여 (About the Problems of Nonuse in School Libraries)

  • 한윤옥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43-169
    • /
    • 1980
  • The most good library's service will be accomplished for the system of user centralized and we can't expect the development of school library without student's use. This research has been designed for an attempt to know why students don't use the school library. The methods employ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1) To establish some tentative factors affecting the school library's use or nonuse (2) to get necessary data, a questionnaire was made according to the tentative factors. A questionnaire was sent to teacher and students in the 4 sample high schools in Seoul. The followings are the am lysed results. (1) School library's collection are poor. (2) The school library's equipment and position are bad. (3) The guide or use instruction of school library are not carried out. (4) Teacher librarian can not reach the demand of the society and the atmosphere of library are not good. (5) The books are not lent to students and the circulation procedure are complicated. (6) Our country's educational programme does not organize to promote using the school library. (7) Teachers' knowledge for using the library are poor. (8) Entrance examination of the university disturbed to use the school library. (9) The school administration are not enough to understand about the school library.

  • PDF

학교도서관의 독서지도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Facilitating School Library Reading Programs)

  • 장윤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7-4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의 독서지도 프로그램 활성화에 필요한 기본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우리나라 학교도서관에서의 독서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독서지도와 관련된 연구 및 사례 문헌조사를 하였으며 학교도서관의 독서지도 운영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을 대상으로 독서지도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 독서지도 활성화를 위해서는 독서지도 혹은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대한 정의의 확립이 필요하며 학교도서관 담당인력의 대부분이 일반교사로 업무과중, 경험부족, 전문성 부족 등으로 인해 효과적인 독서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여건이 어려운 실정임이 나타났다. 또한 독서지도에 대한 연수 경험이나 방법의 다양성 또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독서지도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교도서관 전담 인력 확보와 전담인력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연수와 지침, 독서지도를 지원할 수 있는 장서개발, 교과 연계프로그램 개발 및 공공도서관과의 상호협력체계 확립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사서교사의 직무소진 경험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Job Burnout of Teacher Librarian)

  • 노동조;김수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27-249
    • /
    • 2018
  • 본 연구는 사서교사에게 직무소진이 발생하는 요인 및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도서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15명의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사서교사의 직무환경, 사서교사의 역할 및 정체성의 문제, 학교공동체 구성원들의 학교도서관 및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 등이 직무소진의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사서교사들에 대한 적절한 보상 체계의 마련, 사서와 사서교사간의 명확한 직무 구분, 학교공동체 구성원들의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 전환을 위한 계기 및 제도적 장치의 마련, 사서교사의 자기계발 및 재충전의 기회 제공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중등학교 시설에서의 커뮤니티공간 연구 (Towards the Community Space for Secondary School)

  • 이금진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12
    • /
    • 2012
  • The opportunity provided for design method and strategy of community space for secondary school through the experience of public library and gallery,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Community space is an important issue in school architecture as it seeks to revive the public area in educational building and to renew the open space as a multi-entertainment space. The latest works of school, however, which are evaluated as well reflected the reality of educational patterns, are still deficient in that communicational elements in school are underdeveloped and inadequate. The cases of this paper, which are grown up as entertainment library and multi-purpose cultural space such as Seattle Public Library, Sendai Mediatech, Tate Modem Gallery, and Kunsthaus, are suitable to offer the method of the creation of community space for school. This paper reviews an assessment of its success in community space for school architecture with multi-entertainment-purpose library and cultural space connected open space and concludes with the establishment of design method for future school; extraction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development of community space in school and proposal of design method; implementation of school renewal with library and gallery plus open space for the creation of identity considering both of study and play.

통합도서관의 발전과 그 효과 (Joint-Use Libraries: Development and Effects)

  • 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37-352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의 통합도서관에 대한 사례와 그 효과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통합도서관 설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통합도서관의 모델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하나는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이며, 다른 하나는 대학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이다. 통합도서관을 운영하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전문인력 활용, 장서의 증가,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효율적인 시설활용 등이다. 반대로 단점은 학교에 위치한 통합도서관의 문제점, 협소한 공간, 소장 자료의 제한, 학교도서관 기능의 축소 등이다. 우리나라의 통합도서관이 성공적으로 설치되고 운영되기 위해서는 인구수, 주민들의 통합도서관 설치 의지, 시설, 법적 문서의 존재 등의 요소가 충족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모델로 농산어촌 지역에는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과 소규모 시에는 대학도서관/공공도서관의 통합도서관의 두 가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정보종속과 정보개발의 상관관계 : 한국을 Case로 하여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Dependency and Information Development: the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ROK))

  • 이제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7권
    • /
    • pp.229-263
    • /
    • 1994
  • The main objective of this article lies in discussing dependecy issues as related to information development in NICs. The theoretical foundation was drawn from theories of 'dependency' and of 'information societies,' The main assertion of the dependency school (the more dependency, the less development) was applied for a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pendency on foreign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STI) resources and indigenous STI development in NICs. Utilizing a case study method, this study explored the causes and results of dependency on foreign STI in a leading NIC­the Republic of Korea (ROK). First identified were the economic factors that might have influenced the ROK's dependency on foreign STI. Also investigated were the social factors that might have had associations with the R&D personnel's dependency on foreign STI.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rea, this study discussed general feature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organizng, and gatekeeping indigenous STIIdentified regarding the ROK's information dependency was the R&D personnel's pattern of using foreign STI resources as well as the country's dependency on foreign STI resources.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socio-economic progress toward an information society in ROK for the past decades. Finally, specific linkages between the selected five variables were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proposed four hypotheses.

  • PDF

Information Dimension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octoral Mentoring: Qualitative Findings

  • Lee, Jongw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5-28
    • /
    • 2018
  • Socialization of doctoral students refers to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y acqui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bout their work, department, university, and discipline for their future career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nformation behaviors, with emphasis on identifying types of information exchanged in mentoring between faculty advisors and their doctoral studen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As a first step to developing a content framework for LIS doctoral mentoring, the author interviewed ten LIS doctoral students from nine U.S. universities. Based on data from these interviews, the author identified sixteen types of information exchanged: language, history, coursework, research, skills, teaching, networking, structure, politics, goals, strategies, values, norms/tradition, rules/policies, benefits, and personal life. In comparison with a content framework used, four dimensions were newly added. In addi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content dimensions, the author observed four meaningful contextual levels to which the content types can be applied: work, department/school, university, and discipline. The qualitative data also showed that interpersonal factors of advisees/advisors and contextual factors might relate to information exchange in doctoral mentoring. In a following paper, the author will present the results of a follow-up survey that tests and generaliz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Factor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xtensive Reading Program Using Online/Offline Blended English Library System in Schools

  • Kwon, Hyekyung;Chang, Kyungsuk;Kim, Yongwhan;Lee, Byeong-Cheon;Jeon, Young-Jo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4호
    • /
    • pp.63-69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could bring about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xtensive reading using online/offline blended English library system called 'Reading Gate'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lthough there are a great number of studies on effects of various extensive reading on linguistic,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how extensive reading programs can be implemented at large scale, e.g., whole school level. After analyzing students' reading levels in 200 schools using the same online extensive reading program called Reading Gate, results showed that while some schools were successful, others were not. Five primary and 13 middle schools were selected as successful schools. Data on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of schools was gathered. Eighteen teachers and seven headteachers took part in the interview. After analyzing these data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extensive reading program, results revealed that the following five factor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blended extensive reading programs: online level-up system, teacher intervention, integration with the curriculum, school-level support, and parents' awareness of literacy. This suggests that each factor might have contributed to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extensive reading program at large scale.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this finding are discuss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