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Facilitating School Library Reading Programs

학교도서관의 독서지도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 장윤금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critical factors for facilitating school library reading programs and to develop guidelines for school library development. For this. relevant studies including several school library case studi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Also a survey was conducted for school library personnel. The survey findings showed that there was still lack of consensus on defining school library reading programs or school library use programs. Moreover, it is also found that in most cases school libraries neither have professional school librarians nor provide appropriate training to them. As a result it is recommended that for developing effective reading programs, school libraries need to fix the current problems and try to develop collection development plans for supporting reading programs, in cooperation with classroom teachers to develop library reading programs as a part of the curriculum. and ultimately with local public libraries.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의 독서지도 프로그램 활성화에 필요한 기본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우리나라 학교도서관에서의 독서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독서지도와 관련된 연구 및 사례 문헌조사를 하였으며 학교도서관의 독서지도 운영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을 대상으로 독서지도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 독서지도 활성화를 위해서는 독서지도 혹은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대한 정의의 확립이 필요하며 학교도서관 담당인력의 대부분이 일반교사로 업무과중, 경험부족, 전문성 부족 등으로 인해 효과적인 독서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여건이 어려운 실정임이 나타났다. 또한 독서지도에 대한 연수 경험이나 방법의 다양성 또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독서지도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교도서관 전담 인력 확보와 전담인력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연수와 지침, 독서지도를 지원할 수 있는 장서개발, 교과 연계프로그램 개발 및 공공도서관과의 상호협력체계 확립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철완 외. 2005.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에 대한 효과분석과 만족도 조사 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 교육인적자원부 .2003. '초.중등학교 및 대학 도서관 발전 종합계획'.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김종성. 2003. 학교도서관 영역 교과목 운용 실태와 개선방향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2): 371-392
  4. 유소영. 2002. 팬터지를 이용한 독서지도에 관한 연구: 학생들의 창의력 제고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1): 127-143
  5. 이병기 .2003. 웹 기반의 학교도서관 독서교육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14(2): 13-26
  6. 이병기. 2005. 학교도서관 교육과정의 통합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2): 85-105
  7. 한국교육개발원. 2002. '학교도서관 활성화 대책 수립 계획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8. 한국도서관협회. 2003.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9. 한윤옥. 1998. 상상력에 미치는 독서의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특히 영상자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 9:195-206
  10. 한윤옥,곽철완. 2004.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협력모텔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35(1): 337-357
  11. 한윤옥,이승원. 2003. 기초자치단체가 설립한 학교-공공 통합형 도서관 운영사례: 강남 구립 학교전자도서관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 14(2): 59-82
  12.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and Association of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1998.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 Chicago: ALA
  13. Baxter. S.J. and A.W. Smalley. 2003. Check It Out! The Results of the School Library Media Program Census, Final Report. St. Paul: Metronet
  14. Callison. Daniel et al. 2004. Survey of Indiana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A Collaborative project Between the Association for Indiana Media Educators & Indiana University-Indianapolis. Schoo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esented at the 2004 AIME Conference. Indianapolis. Indiana, Nov. 2004
  15. Lance. Keith Curry. Marcia J. Rodney and Christine Hamilton-Pennell. 2005. Powerful Libraries Make Powerful Learners: The Illinois Study. Canton: Illinois School Library Media Associations
  16. Todd. Ross J.. Carol C. Kuhlthau. and OELMA. 2004. Student Learning Through Ohio School Libraries: The Ohio Research Study, Columbus: Educational Library Media Association
  17. Scholastic Library Publishing. 2005. School Libraries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