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y

검색결과 1,820건 처리시간 0.044초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협력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ooperation Models Between School Library and Public Library)

  • 한윤옥;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37-357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강화를 위하여 협력사례를 조사$.$분석하여,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조성하고 이용자 서비스 내실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전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누고, 각 권역별로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협력사례를 조사하기 위한 워크숍을 통하여, 학교도서관, 공공도서관, 교육청 관계자들로부터 의견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제도적인 측면, 인적자원의 문제, 콘텐츠 및 서비스 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3가지 협력 모델을 개발하였다.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협력 모델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이 발달한 대도시에 적합하며, 공공도서관의 학교도서관 지원 모델은 학교도서관이 열악한 중소도시에 적합하며,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 모델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모두가 열악한 농어촌 지역에 적합하다. 하지만, 현재의 지역적 상황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적합한 모델을 채택하여 시범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수정 보완하여 적합한 모델을 적용시켜야 한다.

  • PDF

휴먼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고등학교 도서관의 협력수업 사례에 관한 연구 - 서울 S여자고등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igh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Using Human Library: Case of S Girls' High School Library in Seoul)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5-26
    • /
    • 2020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휴먼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도서관 협력수업의 바람직한 교육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의도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서울 S여자고등학교 도서관에서 운영된 휴먼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수업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여고 도서관에서는 다문화에 대한 인식 개선, 모두를 위한 월경권, 세대공감 메모로, 임신과 출산, 장애인 인식개선의 5개 휴먼라이브러리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둘째, 휴먼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휴먼북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상상을 하면서 몰입하게 되며, 궁금한 것이 있으면 질문할 수 있는 점이 좋다고 하였다. 또한 휴먼북으로 참여해 준 분들이 현실적인 조언을 해주어서 생각보다 배울 점이 많은 것 같고 의미가 있다고 하였다. 그동안 부정적으로 가지고 있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고 응답한 학생들은 다수였다.

학교교육 정보화를 위한 디지털 도서관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ing Digital library for Informatization of School Education)

  • 유양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3-119
    • /
    • 2001
  • 본 논문은 디지털 도서관이 학교의 교수 학습에서 활용되는 방법과 디지털 도서관의 설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한국의 교육 정보화 계획과 학교도서관의 개괄적인 검토를 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이 정보화 사회에서 자율적, 창의적 학습 능력을 배양하는 효수학습 과정 운영의 지원 체제임을 규명하고 학교교육 정보화의 지원 체제를 위한 디지털 도서관 시스템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현단계 우리 학교도서관의 변화와 도전 (Change and Challenge of School Library in Korea)

  • 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7-92
    • /
    • 2003
  • 이 연구는 현재 우리 나라 학교도서관 영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배경과 그 성격, 그리고 그 양상 속에 내재된 과제에 대해 분석적으로 밝혀낸다. 논의는 교육인적자원부가 수립하여 시행하는 학교도서관 활성화 정책의 탄생 배경과 그 영향, 그리고 그 한계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연구자는 현재의 긍정적인 변화 속에서도 여러 가지 도전의 요소가 잔존하고 있으며 이를 적절하게 해결해 나가야 학교도서관이 활성화되고 정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PDF

현단계 우리 학교도서관 발전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derships for Development of School Library in Korea)

  • 김종성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59-286
    • /
    • 2005
  • 이 논문은 현재 우리 학교도서관의 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영향 요소를 리더십의 측면에서 규정하고 그 성격과 상황에 대해 탐구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학교도서관의 변화 과정에서 작용하는 계기와 동기를 현장 리더십, 정책 리더십, 학문 리더십으로 구분하여 그 역할과 실체를 다각도로 조명하였으며 학교도서관의 지속적이며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 각 리더십의 개선 사항과 요건을 제안하였다.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요구조사 분석 (An Analysis on the Needs Assessment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in Korea)

  • 김성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93-112
    • /
    • 2016
  •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요구조사 도구를 사용하여 전국의 학생과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연구에 사용된 요구조사 도구는 한국도서관협회의 기준, IFLA의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 AASL의 기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10개의 시설특성과 세부요소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설문대상은 전국 18개 학교에 소속된 507명의 학생과 134명의 사서교사이며, 이들로부터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수준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학생과 사서교사는 모두 학교도서관의 시설특성의 중요도를 현재 수준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학생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시설특성은 자료 접근성, 편리성, 공간성 순서이며, 사서교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특성은 쾌적한 환경, 확장성, 자료 접근성 순으로 나타났다.

기초자치단체가 설립한 학교-공공 통합형 도서관 운영사례 -강남구립 학교전자도서관의 경우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Combined School-Public Library of Gangnam-gu)

  • 한윤옥;이승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9-82
    • /
    • 2003
  • 서울의 강남구청에서는 2001년 9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15개 초등학교에 학교전자도서관을 설치하여 학생은 물론 주민들에게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학교에서는 빈교실만 제공하고, 운영인력과 운영비는 모두 강남구청에서 지원하고 있다. 이것은 기초자치단체가 설립한 일종의 학교-공공통합형 도서관이며, 이와 같은 통합형도서관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경우 양 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한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서울 강남구청에서 자체예산으로 설립한 학교전자도서관의 운영 상태와 이용만족도를 조사, 평가함으로써 학교-공공통합형 도서관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모델의 하나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학교도서관 시설개선을 위한 요구조사 도구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eeds Assessment Tool for School Library Facilities)

  • 김성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3-73
    • /
    • 2015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시설을 계획하고 개선하는 과정에서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는 표준화된 조사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도서관협회의 기준, IFLA의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 AASL의 기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학교도서관의 시설특성을 파악하였고, 요구조사 도구에 반영되어야 할 특성으로 교육적 활용성, 시설 접근성, 자료 접근성, 쾌적한 환경, 심미성, 공간성, 편리성, 정보기술, 업무 효율성, 확장성의 10개 특성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요소를 우리 도서관 상황을 고려하여 선택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요구조사 도구는 설문지 방식으로 계량적 데이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학교도서관 상황에 따라 조사도구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

학교도서관과 교육과정의 통합 전략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tegration Strategies of School Library into School's Curriculum)

  • 이병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85-105
    • /
    • 2005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과 학교의 교육과정을 통합할 수 있는 전략을 제도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의 초$\cdot$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학교도서관에 관한 사항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를 비교$\cdot$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할 학교도서관 요소를 제안하였다.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학교도서관 관련 사항을 반영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도서관활용수업의 제도화, 독서교육과 정보활용교육 시간의 확보, 독서교육과 정보활용교육의 범위와 계열 설정, 탄력적 시간표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학교도서관정책의 추이와 과제: 인력정책을 중심으로 (Progress and Problems in Korean School Library Policies)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41-70
    • /
    • 2016
  • 이 글의 목적은 한국의 학교도서관정책이 안고 있는 문제의 본질을 밝혀내고 그 원인을 규명하여, 문제의 실효적인 해결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 글은 특히 교육부가 추진해온 학교도서관 인력정책의 부작용과 폐해에 주목하면서, 인력정책이 파행적으로 추진되어온 배경과 원인을 토착적인 시각에서 밝혀내고, 인력정책의 건강성을 회복시키기 위한 실사구시적인 처방을 강구하는데 논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학교도서관의 본질적 기능'과 '전담인력의 자격과 역량'에 관한 기존의 주장과 논리에 비판적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인력문제의 합리적인 해결을 위해 한국 고유의 교육문화와 도서관문화 그리고 인력구조를 반영한 전략과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