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ian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2초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 분석을 통한 도서관활용수업의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Library Assisted Instruction(LAI) Through the Analysis of Japanese Social Studies Text-Books)

  • 노진영;변우열;이병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55-175
    • /
    • 2008
  • 본 연구는 도서관활용수업과 도서관협력수업에 적합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일본의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중학교의 지리(中學校の地理), 중학교의 역사(中學校の歷史))를 분석함으로써 도서관활용수업에 적합한 교과서 개편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신학습지도요령(新學習指導要領)'에 학교도서관 자료의 이용에 관한 사항을 명시하고, 교과서가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수업을 전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교과내용의 전달에 그치지 않고, 학습하는 방법, 자료 활용을 통한 학습을 유도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활용수업과 도서관협력수업을 학교 현장에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도개선의 측면, 교과서 재개발의 측면, 도서관활용수업 교재 개발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문헌정보학 분야 공공도서관 실습교육에 관한 연구 - S공공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hool's Practical Training Program: Focused on a Case of S Public Library)

  • 이수영;김유승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147-168
    • /
    • 2012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실습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실습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연구로서, 표준교과목과 실습교과목 분포 변화를 중심으로, 문헌정보학 분야 공공도서관 실습교육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논한다. 전국 4년제 문헌정보학 관련 학과 및 학부에 개설된 도서관 실습 교과목 현황을 파악하고, 서울시 소재 42개 구립 공공도서관의 실습교육 운영현황을 조사하여, 이를 기본업무형, 참여형, 주도형 등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특성을 살펴본다. 또한 사례연구로서 서울시 소재 S공공도서관과 C대학 문헌정보학과 간 실습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을 파악하고, 참여 학생과 현장 사서들의 실습교육에 대한 요구들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결론에 갈음하여, 문헌정보학 분야 공공도서관 실습교육의 개선을 위해, 교수 교육기관, 사서 실습기관, 학생 등 실습교육 주체들의 당면 과제와 단계적 발전 방안을 제시한다.

관종별 공간구성을 위한 핵심 도서관용품 리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e List Development of Library Goods by Library Types)

  • 안인자;노영희;박미영;이재권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5-220
    • /
    • 2011
  • 최근 도서관 공간과 용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대하면서 담당 사서는 관련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업무 중요도도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업무 수행을 원활히 하고, 이용자의 만족도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공공도서관, 어린이도서관, 학교도서관의 공간구성에 필요한 핵심용품과 비핵심용품을 개발하였다.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은 장서공간, 열람공간, 문화공간 등 9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용품 80-90개(핵심용품 50-60개, 비핵심용품 20-30개)를 도출하였다. 어린이도서관은 열람공간(서가공간, 진입공간), 특별활동공간 등 4개 공간으로 구분하고, 60-70개(핵심용품 30여개, 비핵심용품 30-40개)를, 학교도서관은 장서공간, 멀티미디어공간, 열람공간, 교수학습공간 등 7개 공간으로 구분하고, 90여개(핵심용품 30-40개, 비핵심용품 50-60개)를 제시하였다. 본 결과는 사서의 구매업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추가적으로 관리지침 및 기준, 관리매뉴얼 등의 업무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 기준의 교과서 실현 양상에 대한 분석 - 외재적 응집성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Textbook Implementation Process of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Standards: Focusing on the Extrinsic Cohension between Curriculum and Textbooks)

  • 김강선;노경국;신순아;이민수;소병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67-88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 기준이 교과서로 실현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추후 교과서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도서관과 정보생활』(2011)은 교육과정 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개발된 인정 교과서로, 교육과정 기준과 교과서는 형식이든 내용이든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기준의 '주제'와 교과서의 '중단원'의 개수 대응 수준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하나의 '주제'가 둘 안팎의 '중단원'으로 확산되는 '일대다' 대응 수준을 맺는 반면, 고등학교는 둘 안팎의 '주제'가 하나의 '중단원'으로 수렴하는 '다대일' 대응 수준을 맺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일 내용 체계인 초등학교 교육과정 기준은 학년급별 저학년과 고학년을 구분해 교과서로 개발되었다는 점을 참고할 때 초등학교급별을 고려한 교육과정 기준의 교육내용, 주제 명칭 등 일부 조정이 필요하다.

아이즈너 교육과정에 의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서 교육목표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Educational Objectiv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Textbooks Based on the Eisner Curriculum)

  • 이병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57-80
    • /
    • 2024
  • 아이즈너는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행동목표 외에 문제해결목표, 표현목표의 중요성과 언어적, 시각적, 청각 모드 등 멀티 모달에 의한 의사소통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활용교육을 위해서 개발된 교과서인 '도서관과 정보생활'을 교육목표 유형(행동목표, 문제해결목표, 표현목표)과 멀티 모달(언어적, 시각적, 청각적, 공간적, 행동적)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교육목표 설정과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서는 초등학교 저학년용, 초등학교 고학년용, 중학생용, 고등학생용의 4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과서로부터 교육목표를 추출하여, 사서교사 3인에게 교육목표 분석을 의뢰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목표 유형별로 볼 때, 행동목표의 비중이 지나치게 높게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목표와 표현목표의 비중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문제해결목표는 행동목표와 중복되는 경향이 있으며, 조건과 해결책의 요건을 갖춘 진정한 의미의 문제해결목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특정 대-단원에 집중되어 있는 표현목표는 다른 대-단원에서도 고르게 배치할 필요가 있다. 넷째, 멀티 모달의 경우 언어적 모드의 비중을 줄이고, 시각적, 청각적, 공간적, 행동적 모드의 비중을 높여야 하며, 각 모드의 특성이 명확한 교육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문헌분석을 통해서 도출한 공공도서관 소비자건강정보(CHI) 서비스 연구 (A Critical Analysis of Literature for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 노영희;오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7-77
    • /
    • 2011
  • 인터넷사용량의 증가,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공공도서관에서의 소비자건강정보(Consumer Health Information: CHI)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경우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할 수 있는 CHI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CHI와 관련한 공공도서관의 역할, 공공도서관 사서(소비자건강사서)의 역할, 그리고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CHI 서비스 내용 등을 규명하고자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해야 할 서비스로는 1) CHI 장서 및 정보원 개발, 2) CHI 참고서비스, 3) CHI 이용자 교육, 4) CHI 취약 계층에 대한 서비스, 5) CHI 아웃 리치 프로그램 개발, 6) CHI 협력체계구축 등이며, 각각의 서비스 개발에 대한 현황과 관련 사례를 제시했다. 비록 본 연구에서는 미국 및 국외 나라들의 서비스를 위주로 조사했지만, 연구 결과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CHI 서비스 제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실제 서비스를 개발하는 중요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사서교사 역할 및 자질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연구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n the Roles and Qualifications of Teacher Librarians based o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81-102
    • /
    • 2020
  • 본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사서교사의 역할과 자질에 대한 학교구성원의 인식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의 학생과 교사 대상의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사서교사의 역할, 자질, 건강 및 용모, 도서관환경에 대한 평가라는 4개의 프레임과 20개의 하위범주를 토대로 분류한 뒤 하위범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교구성원의 인식의 중심에 존재하는 핵심적 개념은 학생의 경우 '도서관운영'이었으며, 교사의 경우는 '독서교육'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정보활용교육'은 학생과 교사의 인식을 형성하는 데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수업 지원', '도서관활용수업 및 협력수업'과 같은 사서교사의 교수협력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높지 않은 데 비해 교사들은 이와 관련한 역할을 비중있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료추천과 안내 활동을 하위개념으로 구성하는 '정보봉사'는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중심적 기능을 하고 있으며,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데도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사서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서는 '전문성 및 전문지식'이 중심적인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사서교사의 역할 설정, 학생 및 교사에 대한 대응전략 수립과 인식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서의 핵심가치 제안과 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osal of Core Values and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Librarians)

  • 노영희;심효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23-15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ALA의 핵심가치를 포함하여 국내외 도서관계의 핵심가치와 유사 연구를 전체적으로 조사하고, 국내외 연구자들의 관련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사서의 핵심가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 사례조사, 설문조사 등의 연구절차를 거쳤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의 핵심가치 설정은 필요하다는 인식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4.48), 핵심가치에 대해 알고 있는 정도나 사례 인지 정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둘째, 사서의 핵심가치를 설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사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개선 및 향상, 사서의 전문성 강화 수단, 사서의 가치 수립을 통한 도서관 가치 확립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서의 핵심가치로 20개 정도를 제시했으며, 4점 이하를 나타낸 항목은 2개 항목이며, 18개 항목이 모두 4점 이상의 높은 동의도를 보였고, 특히 전문성, 접근, 다양성, 전문성, 서비스, 리터러시, 공익 항목은 4.4를 넘게 나타났다. 각각의 항목에 대한 관종간 인식차이를 분석했으며, 거의 모든 항목에서 학교도서관은 다른 관종과 유의한 인식차이를 나타냈다. 향후 한국도서관협회차원에서 보다 심도있는 연구를 통해 10개 이내 정도로 핵심가치를 축소하여 공론화하고 이를 전국에 공유하는 것이 권장된다.

한국적 도서관학교육과정 연구 (Occupational Demands and Educational Needs in Korean Librarianship)

  • 최성진;윤병태;구본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2권
    • /
    • pp.269-327
    • /
    • 1985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meet more fully the demands for improved training of library personnel, occasioned by the rapidly changing roles and functions of libraries as they try to adapt to the vast social, economic and technological changes currently in progress in the Korean society. The specific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standard curriculum at the batchelor's level that will properly equip the professional personnel in Korean libraries for the changes confronting them.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remise that to establish a sound base for curriculum development, it was necessary first to determine what concepts, knowledge, and techniques are required for professional library personnel to perform it at an optimal level of efficiency. Explicitly, it was felt that for the development of useful curricula and courses at the batchelor's level, a prime source of knowledge should be functional behaviours that are necessary in the job situation. To determine specifically what these terminal performance behaviours should be so that learning experience provided could be rooted in reality, the decision was reached to use a systems approach to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is an attempt to break the mold of traditional concepts and to approach interaction from an open, innovative, and product-oriented persp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1) identify what knowledge and techniques are required for professional library personnel to perform the job activities in which they are actually engaged, (2) to evaluate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knowledge and techniques that the professional librarian respondents indicate, and (3) to categorise the knowledge and techniques into teaching subjects to present the teaching subjects by their educational importance. The main data-gathering instrument for the study, a questionnaire containing 254 items, was sent to a randomly selected sample of library school graduates working in libraries and related institutions in Korea. Eighty-three librarians completed and returned the questionnaire. After analysing the returned questionnaire,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A) To develop a rational curriculum rooted in the real situation of the Korean libraries, compulsory subjects should be properly chosen from those which were ranked highest in importance by the respondents. Characters and educational policies of, and other teaching subjects offered by, the individual educational institution to which a given library school belongs should also be taken into account in determining compulsory subjects. (B) It is traditionally assumed that education in librarianship should be more concerned with theoretical foundations on which any solution can be developed than with professional needs with particulars and techniques as they are used in existing library environments. However, the respondents gave the former a surprisingly lower rating. The traditional assumption must be reviewed. (C) It is universally accepted in developing library school curricula that compulsory subjects are concerned with the area of knowledge students generally need to learn and optional subjects are concerned with the area to be needed to only those who need it. Now that there is no such clear demarcation line provided in librarianship, it may be a realistic approach to designate subjects in the area rated high by the respondents as compulsory and to designate those in the area rated low as optional. (D) Optional subjects that were ranked considerably higher in importance by the respondents should be given more credits than others, and those ranked lower might be given less credits or offered infrequently or combined. (E) A standard list of compulsory and optional subjects with weekly teaching hours for a Korean library school is presented in the fourth chapter of this report.

  • PDF